The Korea Foundation portraits Spain by exhibition and lectures

 

 

 

 

Photo by Photo. A Portait of Spain was organized under the sponsorship of Acción cultural Española (AC/E) and supported by the Embassy of Spain in Seoul and the Korea Foundation. The exhibition visits Korea on the occasion of Spain's participation at the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Korea 2012 and it plays a vital role in introducing Spanish culture to Koreans as well as visitors from all over the world. This exhibition held by the work of fifteen photographers who developed their work based on personal viewpoints and represents their own approaches in both content and in their aesthetic way of dealing with images of Spain. The exhibition expressively illustrated the history of Spain from 1950 until recently including the affliction through the trials after war,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the eddy, and preserving people and the urban landscape of the time.

 

 

Luis Arias Romero, an ambassador of Spain in Seoul, stated that The selection of sixty photographs makes up a narrative that ranges from panoramic aerial views of our cities to the most intimate details of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 Spanish people. Reflected here are public and private works, the vibrancy of tourism, the arrival of waves of immigrants, our country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the new fashions and attitudes of the younger generations in contemporary Spain. The art and skill of our most renowned photographers give us the opportunity to enjoy these images of modernity, tradition, and change.

 

 

 

According to congratulatory message from Byung-kook Kim, president of The Korea Foundation, In todays world, Korea is expanding its efforts to raise the global profile of the n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cultural diplomacy. Culture is really a shortcut to mutual understanding, and the cornerstone for strengthen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se cultural exchanges, our nations are being linked through Spanish Literature, and attracted by the artistic skills and virtuosity of Spanish music, art film and dance.

 

 

 

 

Besides the exhibition, The Korea Foundation prepared useful lectures regarding Spanish culture in order to help interpretation of its culture and the display itself. The lectures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ly, Santiago, pilgrims way, secondly, passionate flamenco, Lastly, Spanish regional traditional festival by Elia Rodrigez. Although there were two important lectures that deliver Spanish culture and its importance, the last lecture was the one which can show the Spanish culture and sprit the most. Here are some famous and important festivals which can represent Spainish culture.

 

 

 

 

1. Las Fallas (fireworks march 12th~ 19th)

 

Throughout Valencia region, Las Fallas is held for a week, from March 12th to 19th (the day of San Jose). It boasts a long history from the medieval era. The origin of the festival comes from carpenters who celebrated the end of the winter by burning trees and bushes. Later, it changed into burning dolls, representing the region and the unusable old furniture.

 

 

2. La Feria de Abril (Festival of April)

 

 

In short words, this festival is for participants to have a great time in small artificial island.

 

 

3. Los Sanfermines (July 6th ~ July 14th)

 

 

The most favorite factor in San Fermin is Encierro (cattle driving). During the festival, every morning at 8:00 am, people repeat Encierro.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of cattle driving, which solely leads bulls, in Encierro a lot of people herd cattle together by running. However, as this Encierro is dangerous, people get easily hurt and can even, lead to death. Encierro is also known as the "Running of the Bulls" in Western countries.

 

 

4. La Tomatina (Tomato festival the end of August)

 

 

La Tomatina is held on every August, in Buñol Valencia. In 1945, there was a parade, and some kids jumped to the procession and people got mad. There was a grocery store, and people started to throw tomatoes to each other. Although that particular fight was over, people gathered up next year and started the festival from that day on. This festival got famous after appeared in TV in 1983. Each year the festival gets bigger and bigger.

 

 

After the helpful lecture was over, I interviewed the lecturer, Elia Rodregez, who currently majoring in Korean culture.

 

 

 

 

 

1. Why did you major Korean history and culture?

 

 

Actually, this is the hardest question for me to answer. I firstly majored in Spanish language and literature in Spain. However, as there were a lot of recruiting problems in Spain, I looked for other things to study. Then by some reasons, East Asian Studies caught my eyes and I began to learn Japanese. By some personal reasons, I faced various problems before going to Japan, which made me to come to Korea instead with scholarship. So, I began to learn Korean, by and by, I tried to learn Korean history, religion, culture.

 

 

2. How do you define Korean culture?

 

 

I cannot say this in words. Actually, this is a very hard for me to answer as I am a student currently, who is learning about what culture is. It might be impossible for me to explain what culture is in Spanish too. HaHa

 

 

3. Can you describe Spain in a word?

 

 

Pasión (passion). We have very different cultures from region to region. However, passion is the one which can bond Spain into one. Southern part is more closely related to passion fiesta. If you look at the dance Flamenco, There is no need to talk much about it. About North, as I am from North, it is hard to say it. But its rather closely related to passion of business and study.

 

 

4. If we look as Spanish fiestas, some of them seem to be very dangerous like los sanfermines, tomatina, etc. Why do people enjoy these festivals even though they are so dangerous?

 

 

I think this can relate to passion. Spanish Peoples National characters are very brave. Even in the past, Spanish people like to prove their courage. In this context, bullfighting was born. So as all these factors are mixed, I think it made possible to have different and unique but dangerous festivals created.

 

 

5. W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culture and Spanish Culture?

 

 

Yet, I dont know what really is, but when I studied, this one I could say it clearly: Korea equals monoculture. Groupo (groupism). Spain is so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and it is pretty much personalized and individualized. Like I said in the lecture, East, West, North South they are all cross-cultures. Especially, north and south, they are chalk and cheese. Complicated, Spain uses different languages like Spanish, Catalán, and Basque languages while Koreans use only Korean.

 

 

 


 

 

The Korean Foundation is still making progress on delivering helpful exhibition and lectures regarding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events, please visit www.kf.or.kr

 

 

 

 

학생인권조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부산시 고등학생 및 교육관련 종사자, 외국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

 

사진제공 : 뉴시스

 

학교 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금, 2009년부터 뜨거운 감자였던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관심도 다시 커지고 있.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인권이 학교교육과정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정된 교육청 조례이다. 경기도 교육청의 학생인권조례를 시작으로, 서울과 광주 교육청도 학생인권 조례를 차례로 제시하였다. 학생인권조례의 대표적인 조항들은 아래와 같다.

 

 

 <학생인권조례>

 

1.  집회의 자유 학생들의 집회 자유를 인정하되 학교 내 집회는 학교규정으로 제한할 수 있다.

2.  체벌금지- 학교 뿐만 아니라 유치원과 학원에서도 체벌이 금지된다. 학생은 체벌 등 모든 물리적, 언어적 폭력에서 자유로울 권리가 있다.

3.  복장 및 두발 자유- 용모에 있어 개성을 실현할 권리를 가지므로 자율화를 원칙으로 한다. 규제는 학생이 참여해 만든 학교규칙이나 학생회 자치규제로 사용 및 소지 시간과 장소를 제한 할 수 있다.

4.  휴대폰 및 전자기기의 소지의 자유- 휴대폰을 비롯한 전자기기의 소지나 사용자체를 금지해서는 안된다. 역시 학생이 제정과 개정에 참여한 학교규칙이나 학생회 자치규제로 사용 및 소지 시간과 장소를 제한 할 수 있다.

5.  소지품검사-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 등을 위해 긴급한 필요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학생의 동의 없이 소지품 검사를 해서는 안된다.

6.  자율학습 및 방과후학교의 자유- 학교장 및 교직원은 학생에게 자율학습, 방과후학교를 강제할 수 없다.

7.  종교교육- 학생에게 종교적 행사에 참여하도록 하거나 특정 종교과목의 수강을 강요하는 등 종교자유 침해 행위를 할 수 없다.

8.  임신, 출산, 성적지향 보장-임신, 출산, 성적지향, 성별정체성을 이유로 차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예를 들어 동성애자나 어린나이에 임신한 학생)

 

 

2012 1 26일 공포된 학생인권조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상충된 의견을 가진다는 이유로 무효소송이 되었으나, 후에 국회 입법조사처가 학생인권조례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교육과학기술부는 초중등교육법시행령 개정안을 국회에 통과시켰다. 현재 경기도 지방에서는 2011 3월부터 시행을 해오고 있고지방에서는 여전히 학생인권조례가 합당한지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학생인권조례의 주인인 학생과 그 옆에서 바라보는 어른들의 생각은 어떨까? 그들의 생각에 귀기울여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해보았다.  

 

              학생 여러분, 학생인권조례의 조항에 찬성하십니까?  

 

 

 2012 3 19일에서 20일까지 진행된 설문조사는 부산에 거주중인 고등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시행이 되었다.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전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조사하기 위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알고 있었다라고 답한 학생이 37, ‘모르고 있었다라고 대답한 학생이 29명으로 학생이 주인이 되어 이끌어야 할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관심이 아직은 부족해보였다. 찬성률 1위를 달렸던 조항은 복장 및 두발 자유화였다. 학생시절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 싶은 욕구를 억제해서는 안되고, 억제하면 할수록 반항심이 생겨 더 과하게 표출하고 싶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복장 및 두발 자유화의 찬성율을 뒤따라서종교교육의 자율화’, ‘자율학습 및 방과후 학교의 자율화’, ‘임신, 출산, 성적 지향보장’, ‘소지품검사의 자율화체벌금지’, ‘휴대폰 및 전자기기’, 그리고 가장 낮은 찬성률을 기록한 집회의 자유순이었다. 학생들은 아직은 집회를 열 정도로 이슈거리를 찾는 나이는 아니라고 언급하며 굳이 학생인권조례에 집회의 자유가 들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었다.

그렇다면, 이 외에 학생들이 바라는 학생인권조례의 조항에는 어떠한 조항이 있을까? 학생들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의견인 만큼 귀기울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과목 선택의 자유를 주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수업 과목 선택의 자유와 더불어 과목 선생님 선택의 자유를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고, 그 외에 교사의 권력규제에 대한 목소리도 높았다. 특히나, 자신의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알고 있는 담임선생님의 학생의 정보유출에 대해 규제를 가하고 싶다는 학생도 있었다.

  

 

 

성인여러분, 학생인권조례의 조항에 찬성하십니까?

 

 

 

2012 03 26일부터 27일까지 시행된 설문조사는 부산에 거주중인 교육관련직 종사자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높은 찬성률을 기록했던 조항은 자율학습 및 방과후 학교의 자율화이었고, 그 뒤로 종교교육의 자율화소지품검사의 자율화’, ‘휴대폰 및 전자기기의 자율화’, ‘복장 및 두발자유집회의 자유’, ‘체벌금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찬성률을 기록했던 임신, 출산, 성적지향 보장 순이었다.

특히나 34명중 18명이 반대, 즉 절반이 넘는 성인이 반대했던 임신, 출산, 성적지향 보장의 보편적인 이유로는 정신적 미성숙체인 청소년을 보호해야 한다’, ‘성적지향보장 자체가 자율적, 보편적 허용의 포괄적 의미를 배포한다’, ‘한국의 정서에 맞지 않다등이 나왔다.

 

기타 반대의 이유로는

체벌금지 반대(14) : 적절한 체벌은 행동강화 효과가 있고, 벌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집회의 자유반대(11) : 집회 등의 방법보다는 사회의 장에서 타인과의 원활한 소통의 방법을 가르쳐 주는 방법과 그런 장을 마련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휴대폰 및 전자기기의 자율화 반대(10) : 수업 및 재량 활동 시간에 스스로 절제하지 못해 학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소지품검사의 자율화 반대(8) : 학교 교내 안전을 보장하고 생활지도를 위한 최소한의 유해물품(흉기, 담배 등) 소지 등의 검사는 필요하다.

종교교육의 자율화 반대(8) : 교과과정의 하나일 뿐 믿으라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면 상관없을 것 같다. 그리고 종교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도 필요하다.

자율학습 및 방과후 학교의 자율화 반대(6) : 학교의 지도, 학습 내에서의 강제성은 필요하다.

등이 있다.

 

설문에 응답해준 한 교육자는  개인적인 자아 존중과 더불어 사는 성숙한 미래 시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 교육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가치 판단과 일의 계획적인 추진을 위한 사고력은 24.5세에 완성이 됩니다. 인권은 당연히 가장 소중한 권리입니다. 그러나 권리에 따른 책임감이 아직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온전히 기대될 수 없으므로 부분적 통제와 간섭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더 나아가서 학생인권조례이므로 학생의 본분에 맞는 합리적인 학생생활 규칙으로 제정하여 학생들로 구성된 자치 위원회에서 관리하는 방안도 고려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이야기했다.

 

 

학생들과 어른들의 가치관 차이가 학생인권조례의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듯 했다. 특히나 '임신출산성적지향의 보장'의 조항은 학생들은 절반이상이 찬성을 보였지만, 어른들은 절반이상이 반대를 보였다.

그렇다면, 제 3자의 입장인 외국인들이 보는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의견은 어떨까? 다른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그들의 조항에 대한 찬성의 의견은 그들의 문화와 풍습이 반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문화의 사람들, 그들의 생각은?

 

 

Maddie Boyles(메디 보일스)-미국 : "나는 '두발과 복장 자유화'에 찬성해! 우리는 각자의 개성을 실현 할 자유가 있어. 미국에서는 대다수의 학교가 두발과 복장을 자유화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왜 두발과 복장을 규제하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아. 학생의 단정함과 성적을 위해서라고는 하는데, 과연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지, 혹시 어른들께서 이 규제가 자신들의 이상적인 규제가 아닌가하생각이 들어. 6번 자율학습 및 방과후 학교의 자유화에 대한 조항도 찬성해. 우리는 공부만이 아니라, 외부활동(특별활동)도 많이 해야 된다고 생각해. 각자마다 다른 생각, 경험, 재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책에서만 얻는 공부가 아닌 다양한 활동을 통한 공부도 필요해. 하지만 만약 학교에서 거의 '하루종일을 책으로만 하는 공부'를 시킨다면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경험들을 준비하기 힘들 것 같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교교육의 자유에 찬성표를 던질께!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종교에 대한 자유가 있고, 자신이 추구하는 종교가 있는데, 학교에서 특정 종교에 대한 학문을 강요한다면, 개인의 자유에 대한 침해가 아닐까?"

 

 

 

 

 

Lan Anh Nguyn(란안 웨인)-베트남 : "나는 두발 자유화에 찬성해. 왜냐하면, 베트남의 가족들 중에는 풍습이나 문화 때문에 머리를 자르지 않기를 원하는 부모님들도 계셔. 우리는 염색은 안 되지만 퍼머를 한다든가 머리를 기르는 것은 자유야. 그리고 머리가 길다고 해서 학습에 지장 주는 일은 없다고 베트남에서는 여겨. 또한 내가 찬성하는 조항은 학교 내의 휴대폰 및 전자기기의 소유. 선생님들께서 학생들을 믿기 때문에 핸드폰을 교내에서 소지하고 있는 것은 학생에게 자율적으로 맡기셔. 또한, 위급상황에 대비해서 핸드폰을 가지고 있도록 하지."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학생인권조례의 기준과 어른이 생각하는 학생인권조례의 기준이 다르다는 것 그리고 어떠한 조항을 실시하든간에 단점과 장점이 공존한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장벽을 넘기 위해 학생은 어른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어른들은 학생의 의견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아직 학생인권조례의 실시가 신생아 단계인 대한민국의 실정을 고려하여, 외국의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사례에 관심을 가지고 적용하는 방법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학생인권조례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의 사이트들을 방문하면 각 지역마다 내세운 학생인권조례 전문과 그에 대한 찬반의견을 상세히 볼 수 있다.

 

서울학생인권조례 - http://www.st-rights.or.kr/index/index.do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 서울본부 - http://www.sturightnow.net/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제정 자문위원회 - http://human.kerinet.re.kr/

 

 

 

 

 

 

 

 

메세지를 전달하는 뜻깊은 예술축제

  •  고양시 경기도에 위치한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에서 제1회에 이어 제2회 국제만화예술축제가 열렸다.이 축제의 특별전으로는 아톰을 그린 만화가로 유명한 테즈카 오사무의 전시행사가 있었다.

    2011.12.21~2012.4.1에 걸쳐 열린 제2회국제만화예술축제는 3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 다양한 작품들로 보는이들에게 즐거움을 전하고 있다는 현장을 직접가보았다.

축제속으로~!


성공리에 마친 제 1회에 이어 제2회 국제만화예술축제가 올해에는 ‘환경, 생태, 생명’을 주제로 하고‘만화와 예술의 소통’을 모토로 하여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었다.      이번 축제의 주제인 작품들을 보면 글로만 많이 접해보던 환경,생태,생명에 대하여 색다르게 경험해 볼 수 있다.요즘 어디서나 환경,생태,생명이 많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가족과 함께 관람하고 즐길수 있는 축제이다.   또한 우리나라 작가들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유명한 다양한 작가들과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국내작가과 국외작가의 작품경향을 비교하며 보는재미도 쏠쏠하다.

또한 이번 축제의 특별전으로 전시되고 있는 테즈카 오사무의 작품들을 보며 추억속의 만화를 직접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이다.

제2회국제만화예술축제와 테즈카오사무의 특별전의 가장 큰 특징인 관람객들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다고 있다는점이 인상적이다.국제만화예술축제는 주제와 같이 환경,생태,생명에 대해 테즈카 오사무의 전반적인 작품들은‘공동체의 평화롭고 조화로운 삶’이라는 메세지를 전달한다.

축제의 관람객과 인터뷰

Q.어떤 이유로 제2회 국제만화예술축제에 오시게 되었나요?

A.작년에 열린 제1회 국제만화예술축제에 왔었는데 이번에는 제2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제가 평소에 즐겨보고 한국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전기를 쓴 '소중한 날의 꿈'의 원화와 국내최초로 테즈카 오사무의 대표작 및 미공개 작품들의 원화와 습작노트를 볼 수 있다고 하여 오게되었습니다.

Q.이번 축제의 가장 큰 매력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A.우리나라 유명한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외국유명작가들의 원화를 볼 수 있고 사진도 원하는 대로 마음껏 찍을 수 있다는것.그리고 작품들 하나하나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읽을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일반관 제1전시실

환경 애니메이션 ‘나무를 심은 사람“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프레데릭 백 작품                                                 5년만에 신작을 들고 한국을 방문한 오노 준이치 작품                                    환경을 주제로 한 설치 작품을 선보인 타시마 세이조 작품                           후 얀얀 작품                                     현대미술 작가인 백종기,찰스장,이하,마리킴,양재영이 테즈카 오사무의 주요 캐릭터인 아톰을 소재로 한 작품               이애림,재이박,조문기 작가가 주제에 걸맞는 평면과 설치등의 작품                국내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 작가인 박형동,노준구,오정택,이승현,이덕화,만화가 김홍모,고경일,이해광,정은향,이호,석정현작품

 

 

    기획관 제2전시실

만화계의 거장인 백성민작품              타무라 시게루작품                            소중한 날의 꿈의 작품

 

 

    독립관 제3전시실

아키야마 타카시작가의 작품:

아키야마 타카시는 세계적인 일러스트레이터로 유명한데 이번 축제의 주제인 ‘환경,생태,생명’ 를 ‘메시지 일러스트레이션 포스터’로 잘 보여줌

 

 

테즈카 오사무 특별전:아톰의 꿈

                       이번 축제의 특별전으로 열린 테즈카 오사무:아톰의 꿈에서는 테즈카 오사무의 많고 다양한 원화들을 눈앞에서 생생하게 볼 수 있는 동시에 사진도 마음껏 찍을 수 있어 눈도 바쁘고 손도 바쁜 전시전이다.                                                                                                     전시관 구성으로는 정글대제,리본의 기사,철완 아톰,블랙잭,불새,아돌프에게 구한다로 이루어져 있고 테즈카 오사무작가의 성장사진,유년시절 작품,만화 및 애니메이션 스케치,출판물 묘지등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테즈카 오사무는1928년 11월 3일 오사카 도요나카시 출생. 1945년 오사카대학 의학전문부 재학 시절, 17세의 나이에 <마아짱의 일기장>으로 만화가로 데뷔하였다. 이후 <철완 아톰>, <리본의 기사>, <정글 대제>를 비롯하여 700여 편의 만화와 60여 편의 애니메이션을 남겼다. “망가의 신”, “재패니메이션의 창시자”로 불리며 세계 만화 및 애니메이션 역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약력
1928  오사카 부 토요노 군(현 오사카 부 토요나카 시)출생.

1939 본명 오사무(治)에 한자 ?를 붙여 手治?(테즈카 오사무)를 펜네임으로 정함.
1945 오사카 대학 의학전문학부 입학.
1946 데뷔작인 4컷만화 <마아짱의 일기장>을 『소국민신문』 오사카판에 연재하기 시작함.
1947 사카이 시치마의 원작을 각색한 장편만화 <신보물섬> 간행. 
1950 <정글 대제>를 『만화소년』에 연재하기 시작.
1951 <아톰 대사>를 『소년』 매거진에 연재. 이듬해부터 조연에 불과했던 아톰이 주인공으로
          발탁되어 <철완 아톰>으로 장기 연재되기 시작. 오사카 대학 졸업.
1953 『소녀 클럽』에 <리본의 기사>를 연재하기 시작.
1963 후지 TV에서 일본 국내 최초로 30분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철완 아톰> 방송 시작. 
1966 일본 최초의 30분 컬러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정글대제>로 TV 기자회상 특별상 수상. 
          ‘오사무 프로 상사’를 발족하고, 새로 창간된 잡지  『COM』에 <불새> 연재 시작.
1968 만화 제작을 위한 주식회사 ‘테즈카 프로덕션’ 설립.
1970 <불새>로 고단샤 출판문화상 아동 만화 부문 수상.
1975  <블랙잭>으로 제4회 일본 만화가협회상 특별상 수상.
1986 <아돌프에게 고한다>로 고단샤 만화상 수상.
1988 전후 만화와 애니메이션계의 창조적인 업적을 인정받아 마이니치상 수상.
1989 2월 9일 향년 60세에 위암으로 타계.
1990  일생의 업적으로 제19회 일본 만화가협회상 문부장관상 수상.
1994  효고현 다카라즈카 시에 ‘테즈카 오사무 기념관’ 개관.

 

 

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 청소년들의 달콤한 프로젝트

 

 

 

 

“네팔의 어린이들을 도와주세요!”

 

발렌타인을 앞둔 주말 오후, 서울 강남 한복판에서 노란색 조끼를 입은 중고등학생들이 함께 이런 소리를 외치고 있었다. 이들이 모인 이유는 단 한 가지. 바로 네팔의 탁아소 건설에 사용될 금액을 마련하기 위한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판매를 위해서다.

 

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World Hope Asia & Africa Foundation, 이하 와프)에 소속되어 현재까지 활동 중인 이 청소년들은 지난 1월 네팔로 자원봉사를 다녀왔다. 그곳에서 네팔 어린이들의 열악한 생활·교육조건을 몸소 느끼고 네팔의 어린이들에게 작은 희망을 전해주고 싶은 의지가 모여 오늘의 행사에 이른 것이다. 청소년들은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사전에 직접 제작한 네팔 아이들의 삶에 대한 팸플릿을 행인들에게 나누어주며 모금 행사에 참여할 것을 독려하는가 하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다니며 플래카드를 통해 와프가 하는 일을 홍보하기도 했다.

 

          

  

기대와는 달리 바쁜 사람들의 시선이 그리 호의적이지만은 않았다. 팸플릿을 받기조차 거부하고 무시하는 사람들, 바쁘다는 핑계로 못들은 척 하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시간이 지날수록 와프 청소년들의 활동은 오히려 활발해졌다. 네팔의 아이들을 위한 도움을 더욱 큰 목소리로 호소했고, 이러한 그들의 모습은 사람들의 마음을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초콜릿에 관심을 가지는 여학생들부터, 네팔을 돕는 의미 있는 행사의 목적에 대해 알고 큰 금액을 기부해주시는 어른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현장에는 훈훈한 장면들이 연출되었다.

 

 

 

이 날 행사로 총 집계된 금액은 40여만 원. 비록 건설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금액은 아니지만, 와프 청소년들의 노력이 빛을 발한 시간이었다.

 

필자는 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에서 일하고 계시는 김필주 실장과 오늘의 행사와 자원활동을 주도한 이승아 양과의 인터뷰를 통해 조금 더 세부적인 내용에 대하여 들어보았다.

 

▶김필주 실장(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문화교류협력팀)

 와프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필리핀의 도시로 이주한 원주민들과 거리의 아이들에게 쉼터이자 배움의    공간인 도서관을 오픈하면서 시작한 교육 개발 구호 사업이 오랫동안 준비한 가운데 2011년 1월 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로 시작을 했습니다. 교육이 희망이란 생각에 희망을 주는 국제 구호 기관으로 시작을 했습니다.

 

 와프는 정확히 어떠한 활동을 하는 기관인가요? 이제까지 와프가 걸어온 길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와프는 교육과 문화교류, 국제협력을 통해 아시아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청소년이 교육받을 권리를 누리고 삶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국내외 청소년이 국제사회에서 세계시민의식을 갖춘 적극적인 주체로 성장하여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지구촌을 희망하는 교육문화개발기관입니다. 와프는 2000년도 초반 필리핀의 도시이주 빈민과 청소년들의 교육과 구호사업을 시작으로 도서관을 통한 교육·구호사업을 진행해왔고요, 2011년 한국에 외교통상부 소관 정식 NGO로 등록을 하여 ‘도서관 1촌 맺기‘(도서관 보급),’어린이노동자 드림 프로젝트‘ 등을 주요사업으로 진행하여 왔습니다.

 

와프의 상징이 인상적이네요. 색종이 비행기에 담긴 의미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청소년들과 어린이들이 함께 그 꿈을 하늘위로 펼쳐보자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종이비행기로 우리 청소년들의 희망 메시지가 지구촌의 어둡고 절망 가운데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전달이 되기를 소망하는 의미입니다.

 

 

국내의 불우한 청소년들이 있음에도 해외로 봉사를 나가는 것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요. 

네, 저희도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을 이해합니다. 그렇지만 이미 ODA(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로 해외원조가 8억 달러가 넘는 우리의 세금이 정부와 유엔을 통해 빈곤국가의 구호사업과 교육 사업에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해외 자원 활동은 좋고 싫고의 문제를 떠나서 해야 하는 것이 되어 버렸습니다.

 

무조건 해외로 나가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해외 자원 활동 자체를 하지 않는다면 과연 현지인(수혜자)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 것인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요? 그렇기에 불필요한 해외자원 활동은 없앤다 하더라도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활동은 유지해서 수혜자 중심의 국제 구호·교육 사업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와프에서는 해외 자원 활동을 최대한 줄이고 현지 인력을 통한 모니터링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국제구호나 사회봉사에 관심있는 청소년들이 와프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어렵지 않게 참여할 수 있는 활동에는 ‘어노반(어린이 노동 반대) 캠페인’이 있습니다. 레드카드에 ‘어린이 노동 반대 합니다’라고 쓰고 서명을 해서 국제노동 기구에 보내는 프로그램이지요. 이 밖에도 와프에서는 ‘도서관 1촌 맺기’, ‘착한 인형 보내기’, ‘HOBAG (희망의 가방)보내기’ 등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Think Globally, Act Locally' 가 와프에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사고의 폭을 넓히자는 것입니다. 국제사회의 흐름과 이슈, 빈곤과 환경 등 우리가 돌아볼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행동이 없다면 이 모든 것이 공허한 울림에 불과하겠지요. 그래서 우리 지역에서부터 작은 행동이라도 실천에 옮기자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해외봉사단체와 차별화된 와프만의 장점이 있다면 자랑해주세요.

 제가 존경하는 선생님께서 월드비전, 유니세프, 굿네이버스 등 많은 기존의 NGO들이 있는데 굳이 와프를 만든 이유가 뭐냐며 특별한 것이 없으면 그만두라고 하시곤 했어요.(웃음) 와프의 특별한 점을 이야기하자면 와프가 어떤 활동을 하는지 자연스레 소개가 될 것 같습니다. 와프는 다른 기관들과는 달리 청소년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 국제 교육·구호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해 나가는 곳입니다. 물론 기본적인 큰 틀은 본부에서 구성되겠지만,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청소년 기획단이나 참가자(동아리)들에 의해 꾸려지는 활동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와프가 지향하는 목표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희망도 없이 살아가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수많은 청소년들과 어린이들에게 희망을 주려고 합니다. 그 희망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청소년들이 지역과 사회, 더 나아가 국가와 세계를 바꾸고, 영향력 있는 개개인으로 성장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승아 (한국외국인학교·Korea International School)

와프에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국제 구호단체에 대한 소개를 보고 어려운 지역에서 봉사해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우연히 와프라는 기관에 대해 알게 되었고, 네팔의 어린이들을 도와주는 이번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네팔에서 봉사활동을 하면서 새롭게 느낀 점이 있다면?

직접 네팔에 가서 눈으로 보고 경험을 해보면서 그곳 어린이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또, 외국인 노동자들이 왜 힘들게 한국까지 와서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인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가 있었다면 소개해주세요.

첫째 날, 네팔의 한 벽돌 공장에 방문했습니다. 그 곳에서 무거운 벽돌을 나르는 5~6살 어린이들을 볼 수 있었지요. 그 어린이들의 발은 심하게 붓고, 굳은살이 생겨 우리가 나누어 준 신발들도 겨우 신을 수 있는 정도여서 매우 안타까웠습니다.

 

       

 

이번 행사를 기획하게 된 구체적인 계기는?

네팔 벽돌 공장에 있는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상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그 아이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주자는 취지에서 이번 행사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초콜릿 판매의 수익금은 어떤 일에 쓰이게 되나요?

네팔 벽돌 공장 옆에 탁아소를 만들고 그곳에 계실 선생님을 모셔오는일에 쓰이게 됩니다.

 

판매를 하면서 느낀 점, 특히 힘들었던 점이 있다면?

판매하는 동안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큰 관심을 가져주지 않아서 조금 힘이 들었지만, 그래도 네팔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과 소중한 성금을 기부해주시는 분들 덕분에 더 열심히 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네팔의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다른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있나요?

이번에 다녀 온 프로그램과 같은 맥락의 네팔 봉사활동이 3년간 이어질 것이고, 이외에도 아이들이 네팔어나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계획입니다.

 

미지센터의 청소년들에게 와프의 일원으로서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전해주세요.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 한국에서 봉사할 때와는 색다른 경험을 했고, 얼마나 많은 지역들에서 우리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우리에게는 작은 것일지 모르지만 우리의 작은 도움이 필요한 제 3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큰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함께 네팔의 어린이들을 도울 수 있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웃음)

 

 

나도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희망의 메신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잠깐, 와프란?

아시아 아프리카 희망기구의 별칭인 와프는 교육과 국제협력을 통해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의 소외된 청소년이 삶의 비전을 제시하고, 국내외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교류와 나눔의 장을 확산하여 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지구촌을 희망하는 비영리 교육문화기구이다.

 

 

와프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Let's Take Action!

 

1. 꿈꾸는 도서관 1촌 맺기

책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은 인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키운다. 그러나 아시아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학교와 지역청소년센터에는 도서관을 관리 유지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거나 도서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와프는 독서의 소중함을 알고 적극적으로 나눔을 실천하고자 하는 학교, 기관 및 기업과 아시아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학교와 일촌을 맺어주어 영문도서 기증 및 도서관 지원 모금 활동을 한다. 또한 독서교육, 영어교육, 미술·음악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교사 워크숍과 사서 교육을 진행하여 도서관이 지속적으로 운영,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움직이는 희망학교

네팔 정부와 UN 및 NGO 단체들은 어린이 노동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학교교육을 장려하고 있으나, 한 사람이라도 일하지 않으면 온 가족이 굶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학교에 가기가 매우 힘든 상황이다. 또한 학교에 가더라도 기초교육부족으로 인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노동 현장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에 와프는 현지 교사와 대학생 자원활동가를 직접 노동 현장으로 파견해 기초 언어, 셈, 보건교육 등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어린이와 부모 스스로가 어린이 노동을 끝내기 위해 앞장설 수 있도록 희망의 물결을 일으키고자 한다.

 

3. 꿈꾸는 HOBAG 프로젝트

꿈꾸는 HOBAG은 HOPE(희망)와 BAG(가방)의 합친 말로써 한국 청소년과 일반 시민이 더 이상 쓰지 않는 책가방과 학용품을 나누고 꿈과 희망을 키워줄 응원의 메시지를 담은 희망 가방을 아시아 아프리카의 소외된 지역의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는 빈곤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전달하는 '작은 나눔 큰 꿈 지원' 프로젝트이다.

 

4. 착한 인형 보내기 캠페인

착한 인형 캠페인은 초, 중,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프로젝트로서 아프리카 어린이 에이즈 환우 및 지체부자유 아동들에게 청소년들이 직접 작성한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편지와 인형을 보내는 정서적 구호 프로그램이다. 국제이해 교육을 통해 한국 청소년들에게 국제사회 이해와 고통 받고 있는 아시아, 아프리카 어린이들에 대한 상황을 알리고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시작되었다.

 

5. 6.12 세계 어린이 노동 반대 캠페인

어린이의 인권과 교육권을 박탈하고 빈곤을 악순환 시키는 어린이 노동 문제를 국내 청소년과 시민들에게 알리고 작은 관심과 나눔으로 열악한 환경 속에 살고 있는 어린이들의 삶에 희망을 가져오는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캠페인. 세계 어린이 노동 반대의 날(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인 6월 12일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시작된다. 세계 어린이 희망 사진전이 열리고, Red Card to Child Labour 사진 서명운동이 이루어진다. 이 밖에도 다양한 거리공연이 마련되어 있다.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HAHA(Head and Heart to Action) 네트워크

 

1. 와프 청소년 기획단

HAHA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청소년과 청년의 네트워크. 와프와 함께 지구촌 이슈를 알리고 실천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와프가 청소년의 목소리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연중 상시 전국의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프로그램 일정에 따라 모집이 이루어진다.

 

2. 와프 동아리

와프 동아리는 아시아 아프리카 소외 지역의 청소년과 지구촌 이슈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 각 학교에 스스로 동아리를 만들어서 활동하는 청소년 자치활동이다. 관심 있는 지구촌 이슈와 해결방안에 대해 연구하며, 도서관 지원 사업, 꿈꾸는 HOBAG 프로젝트 등 와프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 실행한다. 매해 3월 초,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모집한다.

 

www.whaf.or.kr

 

 

전세계 기아들 위한 따뜻한 나눔 콘서트!

 

STOP HUNGER!2012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

 

 

전 세계에는 먹지 못하고, 배우지 못하고, 병에 걸려 힘들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그런 기아들을 위한 나눔을 실천하는  STOP HUNGER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콘서트2012 2 28,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기아문제를 부각시키며 STOP HUNGER 캠페인을 알리고 나눔의 실천을 함께 할 후원자들을 모집하는 동시에, 노래로 모두를 하나로 만드는 나눔 콘서트이다이 콘서트가 다른 일반 콘서트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바로 이렇게 단순한 콘서트가 아니라 기아 문제에 대해 다양하게 알 수 있는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콘서트의 주제이기도 한 기아들에 대한 사진전을 보며 행사 시작을 기다리던 중 정정섭 기아대책 회장의 개회사로 콘서트가 시작되었다. 정 회장은 세계에 굶주리고 있는 기아들을 위해 다른 나라의 도움을 받았던 우리가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자고 강조했다. 이어서 기아대책 서울동부지역본부장인 전응림 씨가 사회로 나선 가운데 광진구 지역 회장의 격려사와, 기아대책 홍보대사 개그맨 정범균의 유쾌한 웃음 선사, 광진구 지역아동센터연합의 가야금, , 장구 등 축하공연이 계속됐다.

  

이번 콘서트는 ‘STOP HUNGER’ 나눔 콘서트인 만큼, 다양한 볼거리와 노래뿐 아니라 기아 문제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시간이 이어졌다. STOP HUNGER 캠페인의 목표, 기아대책의 나눔 행사, 대학교 캠페인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이날 콘서트에서는 기아대책 홍보대사인 유은성, 기아대책 음악대사인 김 브라이언아카펠라 그룹인 다이아가 음악을 책임졌다. 이들은 'You are so beautiful', '행복한 만찬',  '그 사람을 살릴 수 있죠' 등 나눔과 관련된 따뜻하고 아름다운 노래들을 감미로운 목소리로 불러나갔다.

 

노래 공연이 끝난 뒤, 사회자와 가수들이 서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시간에 가수들의 기부, 나눔 활동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고, 서로에 대한 공감대를 가지고 나눔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되새겼다.

 

 

마지막으로, 이 콘서트의 본질적 의미인 “STOP HUNGER” 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STOP HUNGER  캠페인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 우리가 가져야 할 따뜻한 나눔의 자세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기아대책 회장, 이사장, 광진구청장, 송파광진구 지역회장 등 참가자 대표들이 STOP HUNGER 의 트레이드마크인 빨간 손바닥을 달고 다시 한번 강조하며 훈훈한 분위기로 마무리되었다.

 

 

 

기아대책 식량지원 나눔 콘서트의 역사

기아대책 식량지원 나눔 콘서트는 2010년 한양대에서 행해진 것을 시작으로, 2011년 콘서트에 이어, 올해로 이어오고 있다. 2010년 당시 2PM, , 리쌍, 민경훈, 마야 등의 가수들과, 2011년에는 FT아일랜드, 꿈이있는자유, 대니 정 등의 가수들이 콘서트에 참여하였다.

올해에는 지금까지의 콘서트와는 달리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가 행해지기 때문에 2 28, 3 4, 3 23일 열린 바 있고, 앞으로도 매달 열릴 예정이다.

 

청소년들이 이 콘서트에 참여하는 방법? 

기아대책 홈페이지 (http://www.kfhi.or.kr/) - 동행 행복한 이벤트 란에 들어가서 2012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 배너를 클릭한다 

해당 월, 날짜, 장소에 맞는 콘서트를 골라 덧글로 응모 신청하면 완료!  당첨을 기다리면 된다. 12매를 주니 친구와 같이 가는것도 좋을 것이다. 

 

한국기아대책

  한국기아대책은 1989년 국내 최초로 해외를 돕는 NGO 로 설  립 되어 현재 전세계 82개국에 1298명의 기아봉사 단원을 보내 구호개발사업 (해외어린이개발, 수자원개발, 보건/의료사업, 농업개발사업등을펴고있다. 국내에서는 321개의지역회와 286개의복지시설을통해어린이개발사업과급식,교육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다. 국제기아대책은 1971년설립되었고, 유엔경제사회이사회 (UN ECOSOC) 협의지위 자격을 인정받았다.

 

 기아대책트위터 : http://twitter.com/hungersaver

 기아대책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hungersaver 

 기아대책미투데이 : http://me2day.com/hungersaver

 

 STOP HUNGER 캠페인 

 

 

 STOP HUNGER 는 유엔새천년개발목표 (MDGs)의 첫번째 목표인 ‘절대빈곤과기아퇴치’ 를 달성하기 위해 작년부터 시작된 세계빈곤국가에 식량을 지원하는 캠페인으로,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세계 절대빈곤 인구를 1% 줄일 수 있다. STOP HUNGER 2011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고 10 15일에는 전국에서 동시에 식량키트 제작행사가 열렸다. 올해에도 진행될 예정이나, 도와줄 나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다.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On January, it was the 1000th Wednesday gathering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 problem. The news had provoked my attention to the matter and I began to research more about the rising issue of Japanese comfort women. For this reason, I visited the ‘House of Sharing’ to find out more about the problem. After the visit to the “House of Sharing”, the experience and some research helped me to learn a lot about the problem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Who are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On August 1944, the essential work order for comfort women was announced in Korea and this allowed the

Japanese military to force sexual work to Korean women. Although legally-coercive conscriptions were not brought into action, the Japanese military began to forcibly employ women. From December 1941, Japanese rebel forces began to hit their stride in female-chasing. This happened in ways like kid-napping, using violence, etc. Poor women aged between 10 and 20 were lured by the promise of successful labor options. Although it is not easy to calculate the exact number of women kidnapped, it is assumed that the whole population would be roughly 50,000~200,000, more than 80% of them Korean (Statistics from the Korea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Unfortunately, this event did not only occur to young Asian women. For instance, Dutch women living in the Java Islands were also victims of this crime.

 

Information about the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Once captured, these young women were sent to China, Japan, South-east Asia and many different locations that were conquered by the Japanese. Once settled into the comfort stations, women suffered from a lethal sexual-slave life, hard for any human to endure. Each woman was obligated to receive 35~70 men a day. In the daytime, they served soldiers and petty officers and at night, they were constrained to serve commissioned officers. The brothels, where many of these women lived, were not even provided with acceptable sanitation facilities. Being open to these terrible environments, many women suffered from painful diseases. Three times of venereal disease examinations were held each month for every female and private actions like going out were strictly restricted.

 

What is the “House of Sharing”?

 

Currently, the surviving Korean victims of this event are habiting in the “House of Sharing”, a facility located in Gwangju City on the outskirts of Seoul. It was built with the funds from private Korean nationals and a Buddhist organization.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an extended history hall that includes great artworks by the survivors, artifacts, photographs. Opened in 1998, the hall also includes a re-creation of a room in a comfort station. Through the history hall showcase, they inform the world of the Japanese military’s ‘sexual slave’ brutality. All those showcases remain as the key evid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the servant women issues. During the time when I was at the “House of Sharing”, I met the Secretary-General Kim Jung Sook of International Peace & Human Rights Center and gained the opportunity to hear her opinions through e-mail.

                        

 

1. Could you introduce the ‘House of Sharing’ for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The “House of Sharing” is a home built for the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during the early 1990s. This place was constructed with the contribution from many Korean citizens, also those who supported the Buddhism. On October 1995, the “House of sharing” first opened in Mapo, Seoul and after many moves, it settled in its current place on December 1995. Currently, 8 old women who were sufferer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dwell together in the “House of sharing”. These women have Korean language classes, drawing classes and they hold exhibitio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inform the public of the truth of Japanese military’s brutality. Also, they are participating every Wednesday in the “Wednesday protest”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for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ate the reality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nd to request a formal apology.

 

2.  How would you like to promot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For to publiciz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the “House of Sharing” had opened a History Hall from 1998 and taught some history that could not be obtained in school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is problem is being sent to others through homepages and social networks like Twitter and Facebook. Also, the “House of Sharing” is organizing volunteer groups from many schools and preparing a program where students can visit the History Hall once in every year. By offering students these opportunities, they are provided with a motivation to share this problem with many of their friends and bring others to participate as well. In addition, the “House of Sharing” is alarming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to many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through its 2 day and 1 night human rights camp.

 

3. What do you expect from students, regarding the problem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s a historical problem which has not yet been fixed. It has not ended just by being hauled and continually violated by the Japanese soldiers. Many victims of this crime are suffering from troubles, which they received as an aftermath of the crim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e victims have always mentioned to students that a soldier should make an effort to protect a country, politicians should assure a comfortable living for all of its citizens, and students should keep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tudy hard. The old women victims also emphasized that every person should try to make a good effort within their fields to make their country stronger and make sure that no more victims like themselves come out.

A doorplate of the “House of Sharing”

The History Hall of the "House of Sharing"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solv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but students should firstly take in mind the victims’ hope, “People should accept the tragic events we had to endure as a history for everyone to know”.

 

 

 

 

 

 

 

 

 

 

 

미지에 첫 발을 내딛다


 


2월 25일, 미지센터는 새로운 얼굴들로 북적였다. 미지센터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2월의 '미지 ON DAY(이하 미지온데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러 온 청소년들이었다. 

 

참가자들은 처음 본 친구들과 한 조를 이루어 앉으니 어색해하다가 이내 곧 조심스럽게 말을 떼기 시작했다. 어느 학교에서 왔는지, 그 학교는 어떤지, 여긴 어떻게 알고 왔는지 등을 물으며 새 학기 친구를 사귀듯 서로 자연스럽게 말문을 텄고, 그렇게 미지온데이는 설렘과 기대감으로 가득한 가운데 시작되었다.

 

미지온데이는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미지' 를 공식적으로 방문하는 프로그램. 2000년 5월 출범한 청소년 특화센터인 미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립 목적인 세계시민으로의 성장과 문화 간 이해를 돕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이 날 프로그램은 전세정 청소년 운영위원의 퀴즈로 시작됐다. 미지센터를 처음 방문한 친구들이 대부분이었기에 미지가 하는 일과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각자 교류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대화가 이어졌다. 이어 미지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자 참가자들의 미지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를 체감할 수 있었다. 함께 참가한 학부모들도 국제교류기획캠프 등 미지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에 동참했고, 미지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에 대한 관심도 엿볼 수 있었다.


 


미지 소개와 프로그램 설명 시간이 끝나고 미지센터 최영란 팀장이 마련한 게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최 팀장이 제안한 게임은 한 마디로, 사탕을 나눠 갖는 게임이었는데 처음 규칙은 조원끼리 보이지 않는 주머니에서 사탕을 1개 이상씩 꼭 가져가고 한 조를 모두 돌고나서 주머니에 사탕을 남지 않게 하는 것이었다. 가장 중요한 규칙은 대화를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만약 조를 돌고도 사탕이 남는다면 다시 몇 개의 사탕을 보충 받고 다시 게임을 시작하는 것이다. 대화 없이 게임을 시작하니 모두 조용한 가운데 사탕을 가져갔다. 조원이 모두 하나씩 가져가려면 얼마나 가져가야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게임을 하자 게임은 규칙대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생각보다 적은 사탕의 수에 사탕을 한 개도 받지 못한 조원도 있었고, 사탕을 너무 많이 집어 실패한 조도 있었다.

 

하지만 두 번째 게임을 시작하자 이야기는 달라졌다. 이번엔 주머니의 사탕의 개수와 보충받는 사탕의 수를 알 수 있었고 대화가 가능했다. 단 세 가지의 규칙만 달라졌을 뿐이었다. 특히 내가 참여했던 조의 상황은 정말 대조적이었다. 처음엔 집어가는 사탕을 한 개도 받지 못한 조원이 있어 게임이 실패한 반면에 두 번째 게임에선 남은 사탕의 수와 그 두 배가 보충된다는 것을 알고 조원들끼리 협동해서 모두 똑같이 열 개가 넘는 사탕을 받고도 게임을 계속할 수 있었다.

 

게임을 마치고 최 팀장은 주머니의 사탕을 지구의 자원으로, 보충될 사탕을 재생하는 자원으로, 조원들을 각 나라라고 생각해보라고 말했다. 처음의 어려운 용어가 담긴 설명 때보다 게임을 진행한 후 소감을 발표하는 경우가 참가자들이 많아졌다. "이해하기 쉬웠어요," "국제교류가 어떤 것인지 알 것 같아요," "게임이 정말 상징적인 것 같아요" 등 게임 후 소감발표시간은 다양한 의견으로 더욱 뜻깊었고,  게임을 통해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졌던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깝게 다가왔다.


강의가 끝나고 청소년운영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미지센터 시설을 둘러보았다. “남자친구 만들어서 꼭 오세요” 하는 농담에 웃음을 터뜨리며 어느새 친해진 참가자들은 사진을 찍으며 구경하기 바빴다. 한층 가벼워진 분위기 속에서 두 번째 강의를 마친 후 미지온데이 일정이 끝났다. 

이번 미지온데이 프로그램에서 활약이 돋보였던 미지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청운위) 전세정, 최지석 위원을 만나보았다.

 

 

1) 이번 미지온데이를 준비하면서 어떤 점을 느끼셨나요?


전세정 청소년 운영위원(이하 ‘전’) : 국제교류활동을 미지센터로 처음 접해본 저로서는 이번 미지온데이가 고등학생으로서, 청운위로서 마지막 미지센터 활동이라 의미가 아주 컸어요. 의미가 큰 만큼 제가 전달하고 싶은 바를 경험담으로 많이 담아 표현했는데 참가자분들께서 공감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최지석 청소년 운영위원(이하 ‘최’) : 청소년 운영 위원으로서 가장 자주 하는 행사가 미지온데이인만큼 국기캠(국제교류 기획캠프) 다음으로 제일 기억에 남는 행사에요. ‘내가 정말 미지센터를 대표해서 홍보하는 역할을 맡았구나.’ 하는 마음에 자부심이 들고 그만큼 열심히 준비하기 때문에 책임감도 들어요.


2) 매달마다 미지온데이의 주제가 다르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미지온데이는 어떤 주제로 준비하셨나요?

전 : 청소년 운영위원들이 13명인데 3-4명으로 팀을 나눠서 네 팀이 돌아가며 일년의 미지온데이를 맡아요. 일 년에 3번에서 4번 정도 미지온데이를 준비하는 거죠. 주로 요즘 소식이나 미지센터의 행사에 대한 정보를 주제로 삼고 홍보하고, 미지센터에서 겪었던 경험담을 공유하면서 공감대를 만들려고 노력해요.

최 : 이제 3월이면 새로운 ‘청운위‘ 분들이 활동을 새로 시작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저는 청소년 운영위원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3) 참가자의 반응을 어떻게 느끼셨나요?

 

 전 : 참가자 분들의 연령이 거의 중고등학생이시다 보니 나이차도 많지 않고, 동갑인 분들도 많아요. 앞에 나서서 발표해 본 일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강연을 한다는 게 부담이 되고 또 제일 힘든 일이기도 해요. 그런데 이번 미지온데이 참가자분들의 반응이 참 좋았던 것 같아요. 강연이 끝나고 핸드폰번호를 알려드리는 시간이 있었는데 후에 문자도 많이 왔어요.

최 : 1월 미지온데이를 시작할 때, 접수하신 분들 중에 여러 사정으로 불참하신 분들이 많아 이번에도 걱정이 많이 됐어요. 그런데 걱정했던 것이랑은 다르게 소통도 더 잘되고, 반응이 정말 좋았어요. 관심도도 열정도 많아 보였구요, 미지센터에 대해 알고 싶어서 오신 분들이 많았거든요.

 

4)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으시다면 해주시겠어요?

 

전 : 어떤 분들이든지 미지센터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다는 점,이걸 꼭 말씀드리고 싶었어요. 청소년운영위원도 미지센터 운영에 청소년이 직접 참여하는 활동이잖아요, 청소년들이 미지센터를 더 가깝게 느꼈으면 좋겠어요.

최 : 미지온데이는 청운위가 심혈을 기울여서 기획하고 진행하는 프로그램이에요. 미지센터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구요. 이번 참가자 분들이나 다른 청소년 분들도 청운위에 대해서 많은 관심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한동안 아쉬움으로 쉽게 자리를 떠나지 않는 친구들이 보였다. 청소년 운영위원에 대해 관심이 있는 참가자들은 위원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며 이것저것 묻기도 하고, 전화번호를 교환하고 사진을 찍기도 했다.

처음 시작할 때 어색하게 마주앉아 핸드폰만 만지작거리던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언니, 언니하며 작별인사를 친구들이 여럿이었다. 경험담을 나누며 가까운 공감대를 갖고 싶다던 전세정 위원과 최지석 위원의 바람은 이미 이루어진 듯 보였다.

이번 미지온데이는 국제교류와 더불어 미지센터, 그리고 다른 국제 활동들에 청소년들이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게 해주었다.




 

 

지금은 창의력 시대

 

 

21세기는 흔히 '창의력시대'라 일컬어진다. 전세계에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스마트폰 열풍이 불어닥친 이후 스티븐잡스의 창의력이 더욱 주목을 받게 된 것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무관치 않다.

 

그러나 이렇게 멀티미디어매체가 점차 발달하고 머리보다는 눈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청소년의 생각하는 힘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줄어들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현재의 청소년 중 상당수는 어릴 때부터 창의력을 길러준다는 장난감을 갖고 놀았다. 그러한 장난감 중 대표적인 것은 우리나라 제품이 아닌 '레고' 등 외국인들이 만든 것이었고,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한국인들이 문제의식을 갖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그 중 '포디프레임'이라는 제품이 이미 한국을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창의력을 길러주는 장난감을 수입하는 나라에서 수출하는 나라로 바뀔 수 있을까?

 

그러한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해 포디프레임 개발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포디프레임을 개발한 이유는 뭔가요?

 

A. 제가 포디프레임을 개발하게 된 크게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세상은 점점 복잡해지고,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이해하고 알아야 하는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것도 설명하기 어려운데 보이지 않는 것을 이해시키는 일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더욱이 첨단화된 입체 구조물을 사람들에게 쉽게 설명하기는 더 더욱 어려운 문제입니다.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 수 있을까 고민하다 포디프레임을 개발하였고 이와 비슷한 이유로 학생들의 학교 교육에 대하여 생각해보았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매우 어려워 하는데 칠판, 책으로 하는 평면적인 수업이 아니라 포디프레임같은 입체적인 제품을 이용하여 직접만들어 보고 스스로 깨닫고 익히며 어떨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두 번째로는 창의력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창의력 있는 인재가 글로벌 리더로 각광받는 시대에 창의력을 길러주는 제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자신이 머릿속에서만 생각했던 것들을 직접 손으로 만들 수 있게끔 말입니다.

 

Q. '제 3의 흙'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포디프레임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자유로운 상상을 구체적인 구조물로 무한히 표현할 수 있다는 것과,  교구의 재료가 가볍고, 적은 재료로도 튼튼한 구조물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Q. 올해 5월경에 스웨덴으로 포디프레임을 이용하여 봉사하러 가는 중학생들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무엇인가요?

 

A.  스웨덴은 창의력 교육으로 인정받는 국가인데요, 우리나라 학생들이 포디프레임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스웨덴에 가서 그곳 초등학생들에게 포디프레임을 이용한 교육 나눔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포디프레임의 사전적 의미는 ‘4차원’(four dimension) + ‘프레임’(frame틀 또는 뼈대, 구조, 짜임새, )을 뜻하는 합성어이다. 포디프레임을 통해 사용자(유아에서 어른까지)가 사물이 구성되어가는 것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이름을 굳이 외국어로 붙인 것은 글로벌 시대에 맞춰 국내에 머물지 않고 세계로 나가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실제로 이러한 의지가 서서히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데 한중일 포디프레임 국제교류를 비롯해 지금까지 미국,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중국, 일본, 홍콩 등에 포디프레임을 소개하는 행사들이 펼쳐졌다. 우리 장난감이 세계로 뻗어나가 세계 청소년들의 창의력을 길러주는 시대가 멀지 않은 것 같다.

 


 


 

Running 42.195Km through the Seoul City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eld with 1,000 of international participants while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Runners will have to concentrate on the road itself during a marathon. However the viewers of the marathon can enjoy the view of the road that the runners are running down. On March 18
th the 83rd DongA Marathon Contest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will be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over the world. Besides the significance of this contest being held in Korea, there is another important meaning of this contest. As the runners run the course, they run through the Seoul City from GwangHwaMun Plaza to Jamsil Main Stadium.

         This contest has been held since 1931 not simply as a marathon but also to show the beauty of Seoul City during the run. In the terms of globalization,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viewpoints on showing the beauty of Korea’s capital and also brings many countries into one place at one time. An interview with JongHyun Eun from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executive office talks about the specialization of this contest in the global century.

              
 
Q. Are there only Korean participants or are there also foreigners? What are the percentages?

A. There are about 38 different country participants in the marathon. In numbers there are about a thousand of them and as a percentage, there is about 5% foreigners.
 
Q. Is there a special reason why the 83rd DongA Marathon Contest is called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A. The course of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42.195 Km. The course starts at the GwangHwaMun Plaza and goes through the downtown of Seoul City and ends at Jamsil Main Stadium. It was constructed to go through many different sights of Seoul City while running the marathon. Since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the only marathon that goes through the center of Korea’s capital Seoul City, this marathon was named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this year.

 

Q.  Compared to other marathon contests, what kind of special meanings does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ave in global ways? What makes this marathon different with others?


A.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83rd DongA Marathon Contest) was made by DongA Ilbo in the year of 1931. It is a marathon contest with the 2nd longest history in the world; following the Boston Maratho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the Korean marathon history. Not only did this contest distribute development toward the history of marathon in Korea but also expanded the sport of marathon as a public sport rather than a sport for just elite runners. As a matter of fact, gold medalist Son Ki Jung from the 1936 Berlin Olympic, gold medalist Hwang Young Jo from the 1992 Barcelona Olympic and gold medalist Lee Bong Joo from 2001 Boston Marathon are all DongA Marathon participants. Through these medalists, Korea was able leave big foot prints in the history of marathon in the world.

 

 Q. The nam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Contest’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global century that we currently live in. What kind of special global aspects does this contest have?


A.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as been labeled as the top rank ‘Gold Label’ in the IAAF(International Amateur Athletic Federation) since the 81st contest in 2010-which is the first history of any Korean marathons to be ranked in label. Until the 83rd marathon contest, it has been certified 3 years in rows along with Boston, New York, Chicago, London, Berlin and worldwide leading contests. We invite foreign elite runners, a thousand of foreign masters participants, 20 thousand Korean masters participants, 3,500 volunteers, Seoul City public service personnel, marathon organizing committee and about a thousand of Seoul City citizens who cheer for the participants. This marathon is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while we show the beautiful scenes of Seoul and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raise the sports capability of South Korea.

         

             If over 18 years old and able to finish the course in 5 hours anyone can participate in this contest. The recruit for runners to participate in this contest is usually held in December. There is a fee of 40, 000 won and the money collected from this contest goes to Ethiopia Dijeluna Tijo Area to support young marathon runners, their families and societies.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shows Seoul’s beauty, Korea’s interest in marathon and also contributes gathering of many countries into one.

 

 

Foreigners and Koreans can register to enter in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n two ways.

1) You can register on your own by logging onto http://marathon.donga.com/seoul/international_e1.html (english version website).
Click on REGISTER on the left side of the web page.

2) You can register through an agency that registers for you in foreign countries.



 

 2012년 3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는 전 세계 50여개국 정상 및 국제기구 수장이 참가하여, 테러집단으로부터 핵물질 시설을 방호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핵 안보 분야 최대 규모의 정상회의다.

이러한 국제행사를 앞두고, 대한민국의 대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9.11 테러 이후 핵을 이용한 테러의 가능성이 또 하나의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는 현재의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캠퍼스 국제관 애경홀에서 진행된 '대학생 모의 핵안보정상회의(Model Nuclear Security Summit)'는 ‘2012 서울핵안보정상회의 준비기획단’과 ‘아시아교류협회’,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서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를 기념하기 위해 개최하였다. 한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을 비롯 전국에서 모인 150여 의 대학생들이 참가하였으며 각국의 대표와 국제기구의 수장을 비롯하여 의장단, 스테프, 기자단까지 모두 학생들의 주도하에 진행되었다.


  본격적인 행사에 앞서 주최측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3일 일정의 막이 올랐다. “이번 모의회의는 2012년 3월말 서울에서 개최되는 핵안보정상회의를 대학생들의 눈과 마음으로 관찰해보자는 취지로 진행되고 있다" 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김봉철 교수의 말처럼, 이번 행사는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문제들을 대학생들의 눈으로 바라보고 직접 논의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었다.

실제로 "이 행사가 글로벌 이슈에 좀 더 관심을 갖는 기폭제가 되었다"는 조재민 학생(나이지리아 대표, 전남대학교 재학)의 말에서 나타나듯 이번 행사에 참가한 학생들은 이번 모의회의가 세계안보와 핵의 위협과 같은, 국제적인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는 행사였다고 입을 모았다.


 이전에는 주로 책에서만 봐왔던 국제사회의 이슈들을, 실제 국제회의에서 적용되는 절차와 실제 회의장과 비슷한 환경 속에서 논의하면서 몸으로 직접 느껴볼 수 있었던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김봉철 교수는 이번 행사에 대해 “향후 한국사회는 물론 국제사회를 이끌어 나가게 될 젊은 대학생들이 국제적 마인드를 가지고 글로벌 리더십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3일동안 참가자들에게 주어진 3가지 의제(핵테러 위협에 대한 국제적 협력 모색, 핵물질 및 원자력 시설 관리, 방사성물질 방호대책 마련)에 대한 논의는 51개국 대표를 맡았던 학생들이 공동선언문에 담겨졌다. ‘모의핵안보정상회의’의 마지막 날인 3월 4일 오후 4시, 의장 역할을 맡았던 김준기 학생의 공동선언문 낭독으로 3일간의 일정이 끝났다.

  이번 대학생 모의 핵안보정상회의에 참가한 학생들에게는 오는 26일과 27일에 열리는 ‘2012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직후인 3월 28일, 실제 회의가 진행되었던 원탁 회의장을 견학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국제사회에 진출할 꿈을 꾸는 대학생들이 핵 안보와 같은 국제사회의 이슈를 접하고 경험할 수 있었던 이번 행사는 150개의 꿈의 발자국을 남기는 행사였다.



대학생 모의 핵안보 정상회의 관련정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