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청소년, 환경을 이야기하다

 

 

 

일본 도카이 대학교 재학생들의 단체인 국제환경연구회 SEE Project(Students Environment Exchange Project)가 주최한 '제6회 도카이대학교 한일 청소년 환경 교류 프로그램', 티펙(TIPEC)이 도카이 대학교 서울센터(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내)에서 개최되었다. TIPEC은 도카이대학교 환경교류를 위한 국제파트너십(Tokai University International Partnership programs for Environmental Communication)의 약자로, 2012년의 테마는 그린 사이언스(Green Science)였다.

 

TIPEC은 한일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이지만,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열려있는 청소년 환경교류프로그램이다. TIPEC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환경에 대한 실험을 직접해본다는 것과 일본의 대학생, 대학원생들과 함께 활동한다는 것이다. TIPEC에 참가한 한국의 중학생들은 서울 곳곳의 환경을 조사하고, 실험하며,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TIPEC의 환경에 대한 활동으로는 야외조사(환경을 찍어봅시다!)와 환경 과학 실험(이산화질소 측정과 녹색분석 - Green Analysis ), 환경심포지엄이 있었다. 야외조사에서는 각 조별로 나눈 참가자들과 조장을 맡은 SEE Project멤버들이 조별로 정해진 서울 시내의 장소를 찾아가 환경이라고 생각되는 곳을 찍고, 그 주변의 방향과 바람, 소리, 온도, 습도, 소리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스쳐지나갈 수 있는 도심의 한 부분을 환경에 대해 생각하며 기록하고, 미래의 환경에 대해 생각해보는 데에 의미를 두어 모두 열심히 참여하였다.

 

▲ 5조의 야외조사 단체사진.

 

 그 다음의 환경 활동인 환경과학실험-이산화질소 측정과 녹색분석-에서는 산성비의 원인물질 중 하나인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해보는 활동이었다. 측정 방법 중 하나는 전력을 사용하는 액티브법이 있었고, 반대로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파시브 법이 있었다. 그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이산화질소를 측정해보고 환경하중(그린 도)을 평가해 보았다. 실험 역시 개인과 환경에 대해 각각 실험을 해보았는데, 환경에 대한 실험은 해당 건물의 곳곳에 환경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개인에 대한 실험은 조별로 한 명이 대표가 되어 부착할 수 있는 실험기구를 하루 동안 갖고 다니는 것으로 실시되었다. 환경적인 면에서 이 실험의 주제는 이산화질소에 대한 노출량을 측정해보는 것이었는데, 각 조의 건물 안에서의 실험은 최대 1.44ppm이, 개인별 실험에서는 최대 0.5ppm이 검출되었다. 이 실험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액티브 법과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파시브 법으로 나누어 실험한 것은 그 다음 환경활동인 환경심포지엄에서 다시 한 번 다루게 된다.

 

 환경심포지엄에서는 앞의 설명과 같이, 액티브법과 파시브법을 Green Chemistry(녹색 화학) 의 측면에서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녹색화학과 그린 분석법의 역사와 배경을 공부한 뒤, 카와무라가 고안한 화학물질의 측정법 중 환경에 좋은 정도를 나타내는 분석환경 효율(Analytical Environmental Efficiency : AEE )에 대해 알아보았다. AEE를 산출하기 위해 액티브법과 파시브법의 감도, 정도, 약품량, 소비에너지, 일회용기구에 대한 항목을 점수화하였는데, 결과적으로 파시브법이 환경에 더 좋은 실험이라는 결과가 산출되었다.

 

 

 ▲ 액티브법

 ▲ 파시브법. 면적이 더 넓은쪽이 더 환경에 좋다.

 

 

TIPEC에서는 환경활동 말고도 많은 유쾌한 활동들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퀴즈대회였다. 퀴즈대회에서는 일본에 대한 이야기와 SEE Project멤버들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아내었는데, 그동안 알지 못했던 이야기-멤버들이 좋아하는 가수, TIPEC 준비 중 있었던일-들을 공유하게되어 친근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룰은 조별로 줄을 서서 각자 자신의 차례가 되면 자신의 몫의 문제를 맞추고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넘기는 것인데, 가장 먼저 마지막 사람까지 차례가 간 조가 이기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참가한 학생의 아버지, 고등학교 선생님,SEE Project멤버 등 여러 손님들과 함께 하여 더욱 즐거운 자리가 되었다.

 

 

 또, 일본 문화 소개 활동으로 일본 음식-메밀소바- 체험, 스이카와리, 특별강연(일본 중고등학생들의 생활 소개), 가루타 등이 있었다. 가루타는 그림카드를 이용한 일본의 전통 놀이로, 앞면엔 그림이 있고 뒷면엔 설명이 있는 카드를 그림이 보이게 모두 펼쳐놓고, 사회자의 설명에 따라 해당 카드를 먼저 집는 사람이 그 카드를 갖는 놀이이다. 마지막에는 가장 많은 카드를 모은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TIPEC에서는 일본명소 가루타를 했었는데 마유, 부도칸, 벚꽃, 라멘 등 일본에 대한 유명한 것들에 대한 것이라서, 놀이를 통해 문화를 배우는 시간이었다.

 

▲ 가루타에 사용되었던 카드들.

 

 

 스이카와리는 일본의 여름 전통으로, 수박 깨기 혹은 수박치기놀이라는 뜻이다. 게임에 지원한 사람이 손수건으로 눈이 가려진 상태로 사람들이 박수와 소리로 알려주는 수박의 위치를 찾아 막대로 수박을 치는 게임인데, 여기서 지원자 말고 다른 사람이 지원자의 눈이 확실히 가려졌나를 확인하기 위해 손수건으로 눈을 가린 상태의 지원자의 앞에 1만엔짜리 지폐를 떨어뜨려본다. 이 규칙은 일본 스이카와리 협회에서 만든 스이카와리 공식 규칙 중 하나인데, 일본에서는 스이카와리 협회까지 있을 정도로 유명한 전통 놀이라고 한다. 참가한 중학생들 중 적극적인 지원자들이 나서 스이카와리에 도전하였고, 그 후에는 모두 같이 스이카와리로 쪼갠 수박을 나누어 먹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보였던 일본 중고등학생들의 생활에 대한 특별강연은 SEE Project에 참가한 도쿄에 소재 중/고등학교의 과학 교사가 강연을 맡았다.학교는 어떻게 생겼는지, 등하교 시간은 언제인지, 어떤 헤어스타일을 하는지, 반 편성은 어떻게 하는지 등 학생들이 공감할 만한 주제들이 많아서 참가자들이 많은 호응을 보였다. 가장 인상적인 점은 고등학생들의 수업이 4시 정도면 모두 끝나고 그 후에는 자신이 원하는 동아리 활동을 한다는 것이었는데, 동아리 활동을 아주 열심히 한다면 10시까지도 이어진다고도 한다. 여러 내용을 설명한 후에 그 선생님은 ‘일본학생들이 한국학생들에게 묻고 싶은 것’ 을 보여주었는데 ‘어떻게 그렇게 예쁘세요?’ 같은 재미있는 내용도 많았다. 이외에도 조금 더 상세히 SEE Project와 TIPEC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이케다 시로씨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Q. SEE Project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발기인인 이케다 시로 씨가 2006년의 여름에 한국에서 환경 회화를 이용한 환경 의식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일본과 한국의 청소년의 환경 의식에는 온도차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거기에서부터, 환경 문제에 관한 국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리 청소년이 청년기부터 환경 문제를 테마로 교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07년 1월 16일에 SEE Project가 설립되었습니다.

 
 
Q. SEE Project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북동 아시아 지역에 있어서의, 환경 문제에 관한 국제 파트너십의 형성을 최대의 목적으로 하며,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풀뿌리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SEE Project의 활동 목적입니다.

 

 Q. 환경과 한일교류 두가지에 모두 노력하시는 모습이 보이는데, 한일교류도 초기의 목표였나요?
환경 문제는 한 나라의 국내 문제가 아니고, 해양의 물이나 공기를 공유하는 지역(예를 들면 일본과 한국)에 있어 국제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입니다. 일본과 한국은 종래부터 정치적, 지리적, 문화적인 교류는 번성합니다만, 개인 레벨로의 교류, 특히 환경 문제를 테마로 한 교류는 그만큼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어느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하는 양자가 얼굴도 모르고 서로 생각하고 있는 것도 모르는 관계에서는 협력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우선은 국제 교류라고 하는 입장으로부터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발상은 SEE Project 설립 당초부터의 큰 기둥이었습니다.
  

 Q. 상당히 전문적인 실험과 보고서에 놀랐습니다. 굉장히 많은 노력이 있었을 것 같아요. SEE Project는 얼마나 많은 준비기간을 거치나요?
TIPEC 2012를 예로 들면, 준비를 시작한 것은 2011년의 가을부터입니다. 일정이나 참가자 수, 회장단 등의 준비나 협의를 했습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3월경부터 검토를 거듭했습니다. 실험 테마나 심포지엄의 내용에 대해서는 복수의 테마를 들어 그 목적이나 참가자의 흥미 등을 고려하면서 SEE Project 멤버들끼리 토론해 7월 초에 하나의 테마를 결정했습니다. 멤버들 자신도 원래 몰랐던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만, 연구논문이나 책 등을 조사해 최신의 지식을 반영한 테마를 만들어냈습니다
 
 
 Q. 말이 통하지 않아 서로 친해질 때 답답한 점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어떠셨나요?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할수록 강하게 느끼는 것 중 하나는 언어의 장벽입니다. 그러니까, 말을 사용해 우리 일본인과 참가자의 생각을 연결해 주는 통역자의 역할이 큽니다. SEE Project에서는 프로의 통역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고 도카이대학에서 알게 된 유학생들이 통역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유학생들은 환경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번역·통역을 하는 과정에서 환경 과학에 대해 우리가 지식을 전달하거나 토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SEE Project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도 중요한 국제 환경 교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언어의 벽은 큽니다만, 깨지지 않는 벽이 아닙니다. SEE Project는 참가자뿐 아니라 통역자나 도우미 학생들에게도 최대한의 경의와 감사의 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Q.이번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것을 느끼셨나요?
이번 프로그램에서도, 많은 일을 한국의 참가자에게 전하고 동시에 많은 일을 참가자로부터 배웠습니다. 역대 행사 중 참가자수가 가장 많았고  보람과 성과를 남길 수 있었다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공공성의 향상을, 참가자 소속 학교의 다양화로부터 감지할 수 있었고, 즐겁게 한국의 학생들과 이야기를 하면서 즐길 수 있었던 것에 대만족하고 있습니다. 국제 환경 교류의 싹이 확실히 커지고 있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Q.한국의 아이들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셨나요?
 지금까지 6년간 한국의 청소년들과 환경 문제에 대해 대화하면 함께 활동해 왔습니다. 기본적으로 그들에 대해서 느끼는 것은 6년간 바뀌지 않았는데, 건강하고 열심히 공부한다는 인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서서히 성숙해 공공성이 높아져 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청소년들의 참가 목적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일본에 강한 흥미가 있다든가 환경에 매우 흥미가 있다고 하는 이유로 참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근래에는 수많은 여름 휴가(방학)에 개최되는 환경 이벤트의 하나로서, SEE Project가 주최하는 활동에 참가해보겠다는 동기로 인한 참가가 많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의 평가 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배경이 된 점도 있지만, 그러한 이유로 참가를 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참가자들이 이 프로그램에의 참가를 계기로 일본에 흥미를 갖거나 환경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질 수 있다면 훌륭한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Q. 청소년들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길 바라시나요?
환경 문제에 대해서, 감정으로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관점에서 생각하는 자세를 기르면 좋겠습니다. 그 위에, 공유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간다는 의식을 갖게 된다면 우리가 활동을 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참가자들 중 상당수에게 일본의 대학생을 이렇게 가까이서 만나보며 이야기하고, 게임을 하며 웃는 경험은 드물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일본에 대한 퀴즈도 함께 풀고, 일본 전통놀이 카루타도 하고 소바를 직접 만들어 먹는 체험은 처음의 어색했던 참가자들과의 거리를 한층 좁혀줬다.

 

마지막 단체사진을 찍고 참가증명서를 받은 다음 해산해도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도, 많은 참가자들인 아쉬운 듯 쉽사리 자리를 뜨지 못했다. See Project 관계자로 만난 도카이 대학교 관계자들은 이미 도카이 대학의 언니, 오빠로 변해 '시로 오빠', '나나코 언니' 등으로 불렸고, 말은 잘 통하지 않아도 아이들이 "샤신, 샤신 (사진, 사진)" 하면 얼른 같이 사진을 찍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다들 기념사진을 찍기에 바빴고 어떤 참가자들은 한류스타의 일본판 시디를 주고받으며 나중에 연락하자는 약속을 하기도 했다. 이렇듯 TIPEC에서 청소년들은 녹색과학에 대한 공부에 더해 여러 가지 의미를 주고받으며,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었다.

 

 

[SEE Project와 TIPEC에 대해서 더 알고싶다면!]

http://cafe.daum.net/TIPEC.2012/    - TIPEC 카페

http://seeproject08.rakurakuhp.net/     - SEE PROJECT 홈페이지

 

 

 

 

 

 

 

 

일본의 여름을 일본 세시풍속전에서!

 

 

 

올해 여름, 약 20일에 걸친 (7월 16일 - 8월 4일) 일본의 세시풍속전이 막을 내렸다. 주한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의 주최로 열린 일본의 세시풍속전은 일본의 여름 전통문화를 주제로 하였다.

 

주요한 체험행사로는 긴교스쿠이(金魚すくい) , 요요쓰리(요요물풍선 낚기), 일본의 전통 의상 입어보기, 모래 그림그리기, 전통 놀이기구 체험이 있었다. 긴교스쿠이(金魚すくい) 는 한국어로 ‘금붕어 건지기’라는 뜻으로, 종이 뜰채를 어항에 집어넣고 금붕어를 조심스레 건져 올리는 놀이이다. 이 놀이는 일본의 축제인 마쯔리에서 자주 행해지는데,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에도 많이 등장하는 장면이다. 간단해보이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은 놀이이기에 유쾌한 놀이로 일본인에게 대중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요요쓰리는 속에 물이 들어있는 요요풍선을 종이끈으로 들어 올리는 놀이인데, 종이가 젖으면 종이끈이 끊어지게 된다.

 

일본의 세시풍속전에서 제공된 일본의 전통 의상 체험에서는 간편함을 위해 정식 기모노와 함께 합피(法被, はっぴ)라는 겉옷이 주로 준비되어 있었다. 합피는 축제기간 혹은 장인들이 입는 옷으로 일반적으로 허리 또는 무릎까지 오는 길이라고 한다. 그리고 예약으로 이루어지는 체험교실로는 일본문화 소개와 종이공작교실, 대나무 곤충채집통 만들기가 있었다. 대나무 곤충 채집통 만들기 교실은 일본의 전통공예품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즈오카현의 명물 스루가 죽세공의 기법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일본 영화에 대한 특별 상영회도 열렸는데, 영화 <후미코의 바다>를 무료 상영하고 여배우와 면담하는 자리를 가지기도 했다.

 

 

01

02

03

1. 요요쓰리(물풍선낚기) 

 2. 긴교스쿠이(금붕어 건지기)

3. 합피 (일본 전통 의상) 

출처>
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iceshiny&logNo=113941291

2. http://hyogo-tourism-kr.blogspot.kr/2010/08/blog-post.html

3. http://tanakaya7108.tsukuba.ch/d2010-07.html

 

 

 

세시풍속전의 전시도 행사 못지않게 재미있고 흥미로운 볼거리들이 가득했다. 먼저, 일본의 1년을 테마로 한 목각인형 전시가 특이했는데 정월, 칠석과 같이 한국의 1년과 비슷한 모습이 눈에 띄어 친근감을 자아냈다. 이 목각인형 전시에서의 일본의 1년은 [쇼가쓰(정월)-세쓰분(입춘전날)-히나마쓰리-입학식-단오절-쓰유(장마)-다나바타(칠석)-시원한 여름저녁 - 보름달구경(쓰키미)-가을축제-만추-낙엽태우기] 로 소개되었다.

 

 

 

▲ 3월. 히나마쓰리.

히나마쓰리 : 여자 아이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매년 3월 3일에 열리는 축제.

전통인형인 하나닌교와 복숭아, 떡, 과자 등을 올려놓고 딸의 행복을 빌어주는 풍습.

 

 

▲ 7월. 칠석 (다나바타)

 

 

▲ 9월. 츠키미(月見)

츠키미 : 보름달 구경, 15야 라고도 함.

한국의 추석인 음력 8월 15일에 햇곡식과 술을 두고 달을 구경하는 풍습.

 

 

▲ 12월. 낙엽 태우기

 

 

 

또 다른 특이한 일본의 전시품 중에는 가가미모치와 가부토, 하마야 등이 있었다. 가가미모치는 둥그렇게 생긴 장식용 떡을 정월에 신불에게 바치는 풍습에서 사용되는 떡의 이름으로, 크기가 다른 두 장의 떡을 겹쳐 올려 그 위에 다이다이라고 하는 감귤 종류의 과일을 얹은 것이다. 가가미모치라는 이름의 유래는 옛날에 제사에 사용하던 청동 거울의 형태를 본따 만들었으며 그 이름을 따와서 거울(鏡-가가미) 떡(모치) 라고 해서 가가미모치, 즉 거울떡이라는 이름이 된 것이다.

 

 

                                                                               ▲ 가가미모치

 

 

그리고 가부토는 일반적인 사무라이들의 투구와 모양이 거의 똑같은데, 일본의 옛 장군들이 썼던 투구를 본따 만든것으로 남자아이들이 옛 장군들처럼 용감하고 늠름하게 자라도록 기원한다는 뜻에서 집안에 장식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하마야는 액운을 부수는 화살이라는 의미를 가진 일본 전통의 물건으로, 정월에 신사나 사원에서 참배객들에게 준다고 한다. 하마유미라고 부르는 활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고 하는데, 가끔은 건물이 새로 지어졌을 때 혹은 아기가 태어났을 때 축하한다는 의미로 선물하기도 한다고 한다.

 

 

                                                                                 ▲ 가부토

 

 

▲ 아랫쪽에 보이는 나무로 된 물건이 하마야.

 

 

이렇듯 특이한 일본의 전통이 많이 소개된 일본의 세시풍속전에 대해 한 관람객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안녕하세요, 일본의 세시풍속전에 어떻게 오게 됐나요?

A. 국내 저자가 쓴 서울투어책을 읽었는데, 일본영사관에서 7월에 문화행사가 있다는 글귀를 본 후,

    일본영사관홈페이지에서 "일본문화세시풍속전"이랑 행사가 진행된다는 정보를 접한 후 세시풍속전을 관람하게 되었어요

 

Q. 이번 세시풍속전에서 어떤 전시/체험이 가장 흥미로웠어요?

A. 의상전공자라 유카타입는 체험을 하고 싶어 '세시풍속전'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생각만큼이나 즐거운 경험이었어요.아, 금붕어잡는놀이도 기억나네요-!!


Q. 이번 행사로 일본의 새로운 점을 느끼게 되었다면 무엇인가요?

A.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자주 보기때문에 새롭게 느낀점은 없는 것 같고,

     일본음식모형들을 보니 일본가서 다 먹어보고 싶긴 하더라구요. (하하)

 


 

일본의 세시 풍속전은 잘 아는 듯 했던 이웃나라 일본의 새로운 모습을 많이 보여주는 행사였다. k-pop이나 비빔밥, 김치만을 안다고 해서 한국의 다양한 멋이나 생활을 알 수 없는 것처럼, 일본을 알아가는 것도 그와 같기에 이번 세시풍속전은 일본인들의 생활과 문화를 잘 반영한 행사라고 볼 수 있다. 주말 혹은 여가에 단편적인 일본의 모습에서 벗어나 공보문화원에서 열리는 다른 행사에 참여해보는 것도 좋은 체험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8월 이후의 한일 교류 행사

 

 

●2012년 7월 13일(금) 〜8월 10일(금) 응모기간 
제15회 ‘일본체험콘테스트 in 대한민국’


●2012년 8월 6일(월)〜12日(일) 
3.11 이후의 건축전 


●2012년8월 13일(월)〜21일(화)
제33회 한일아동작품교류 전시회 


●2012년 8월 15일(수)  13시 30분〜17시 30분 
36차 모의국제연합총회 


●2012년 8월 19일(일)〜23일(목) 
GFSC 희망・꿈 한국수학여행 프레젠트 

 

●2012년 8월 24일(금)〜9월 3일(월)
제2회 도쿄예대동문전시회 

●2012년 8월 24일(금) 15시〜17시 
제43회 서경대학교 비즈니스어학부 일어전공・일어학과 일본어연극 ‘희망의 선물'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문서 참조.

 

:  한일교류 정보.hwp

 

 

 

 

 

 

 

 


 


 

 

 

대한민국 청소년, 뜨거운 중남미의 열정을

서울 한복판에서 만나다!

 

-2012 중남미 문화 축제의 현장, 국립중앙박물관 방문기-

 

 

 

활기차고 뜨거운, 열정의 나라 하면 떠오르는 국가들이 자리잡은 중남미. 이런 중남미에 대한 대중적인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흔히 '라틴아메리카'로 불리우는 중남미는 다소 생소한 대륙이기도 하다. 

그러나 지난 5월 26일부터 6월 3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외교통상부 주최로 청계광장과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에서 열린 2012 중남미 문화 축제 (http://www.latinfestival.kr) 에서는 '라틴의 열정'을 조금 더 가깝게 느껴볼 수 있었다. 


 

중남미 문화 축제는 쌍방향 문화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외교통상부가 2006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행사. 그동안 아프리카 문화 축전, 아랍 문화 축전, 실크로드 문화 축전 등 우리에게 상대적으로 생소하고 문화적 교류가 미진한 지역인 동남아, 아랍, 중앙아시아, 흑해연안 국가를 집중적으로 소개해왔다. 올해에는 중남미를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좋아할 만한 행사들이 열렸다. 라틴의 문화를 한껏 느낄 수 있는 공연, 식음체험부터 문화 설명회, '라틴아메리카를 만나다' 전시회 등의 행사들이 많은 인기를 끌었다.

 

공연장 입구에 자리잡은 '라틴아메리카를 만나다' 전에서는 라틴아메리카 13개 국가(도미니카, 멕시코, 엘살바도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브라질, 과테말라, 에콰도르대사관, 칠레, 온두라스, 페루)의 대표 관광 사진 외에 각종 영상물도 상영하고 있었다. 특히 이 전시는 일반적인 박물관처럼 전시물을 딱딱한 배열로 두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로 걸어두어 많은 관람자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라틴아메리카를 만나다' 전은 공연장 입구에서 열리고 있는 만큼, 공연에 들어가려는 사람들이 거쳐가는 곳이기도 했는데 이 곳에 늘어선 긴 줄은 공연에 대한 관심과 열기를 나타내기에 충분했다. 공연에 대한 인기가 높은 것은 바로 국내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수준급의 퍼포먼스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TV 에서나 주로 보던, 전통 복장을 입은 중남미 현지인들이 삼바, 레게, 보사노바, 탱고 등 라틴의 다양한 음악 장르에 맞춰 열정적인 댄스를 선보였다. 자메이카의 씨-샤프(C-Sharp)팀, 아르헨티나의 헤수스 아리엘 이달고, 콜롬비아의 끄레올(Creole)팀 등 해외에서 초빙된 공연단들이 분위기를 띄웠고, 한국의 남미 음악단인 ‘라-퍼커션’ 팀까지 가세하면서 공연의 열기는 더욱 뜨거워졌다. 


 

<사진 출처- 중남미 문화 축제 웹사이트>

 

 

이번 라틴 음악 공연은 말의 머리뼈로 만든 악기, 빨래통을 이용한 악기 등 우리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악기로 정겨운 소리를 만들어내 관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관객들은 라틴의 음악에 매료되어 일어나서 크게 박수도 치고, 다함께 어울려 춤을 추기도 했다. 라틴음악을 통해 관객석이 하나가 되었던 것. 특히 이번 행사에는 젊은 층의 참여가 많았는데 공연하는 도중 열광적으로 반응을 보였던 이현지 (이화여고, 17) 양과 짧게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이현지 (이화여고, 17)

 


Q.아까 굉장히 열광적으로 반응하던데요.

제가 원래 이런 스타일은 아닌데, 라틴 음악 공연하는 것을 보니 저도 모르게 몸이 흔들렸어요. (웃음) 라틴 음악을 오늘 처음 접해봤는데, 이렇게 흥이 나고 재미있는지는 정말 상상도 못했어요. 화려한 의상을 입고 퍼포먼스를 해서 그런지.. 집에 가서 라틴 음악에 대해 찾아보려고 해요!

 

Q.이번 중남미 문화축제를 어떻게 찾게 되었나요?

시험도 끝나고 주말에 답답해서 친구들과 가볼 만한 곳을 생각해봤어요. 사실 다른 곳들은 너무 많이 가봐서 별로 재미가 없었어요. 그래서 어딜 갈까 하고 고민하다가 마침 여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중남미 문화축제가 열린다는걸 알았어요. 중남미에 대해 아는 것도 없고, 또 행사 내용을 찾아보니 재미있는 것도 많을 것 같아서 왔죠. 저희 집이 여기랑 가깝거든요. (웃음) 그래서 겸사겸사 왔습니다.

 

Q.여길 둘러보면, 다른 청소년들도 굉장히 많이 왔어요. 청소년의 입장에서 중남미 문화축제가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높은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요?

음.. 일단 저희는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 같아요. 예전에는 중남미 음악은 거의 들어본 적이 없었거든요. 새롭다는 점에서 가장 많은 관심과 인기를 끈 것 아닌가 싶어요. 또, 지금 저기 밖에 나가면 할 수 있는 식음체험도 그래요. 저도 빨리 가서 식음 체험을 해보려고 해요. (웃음) 식음체험이나, 라틴 음악 공연처럼 우리가 접하지 못했던 문화들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어서 인기가 많은 것 아닐까요?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지만요..(웃음) 아마 중남미 문화축제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축제도 다양하고, 수준높은 체험행사가 열린다면 아마 저를 포함한 다른 청소년들에게도 인기가 많을 거에요.

 

 


     이현지 양의 말처럼 이번 중남미 문화축제에서는 라틴 음악 공연과 더불어 식음 

     체험이 축제를 더 풍성하게 만들었다. 



 

     식음 체험에 소개된 메뉴는 중남미 지역의 전통 음식들로, 소프트 타코, 고기 라이스 부리또, 께사디 

     야 등 식사류뿐만 아니라 나쵸칩스, 쌀 음료인 오르챠따 등 디저트 류도 있었고, 특히 께사디야는 직접

     만들어 먹을   있었다. 식음 체험행사는 유료로 진행되었는데, 다양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중남

     미 문화축제의 취지에 맞춰 환경이 어려운 다문화 가정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

     다.  중남미의 맛을 느끼는 동시에 국내 다문화 가정 자녀도 도울 수 있는 일석이조의 기회였기 때문

     인지, 식음험은 가히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쌀 음료 오르챠따와 함께 직접 만든 께사디야를 먹고 있는 신지선(42) 씨와 자녀들


    

     께사디야는 전병에 치즈를 채워 고기와 해산물, 야채 등을 함께 구워 만든 치즈 전병요리로, 이번

     식음 체험에서 유일하게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었던 요리였다. 그래서였는지, 께사디야는 어린

     이와 청소년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았다. 청소년들은 전병을 펼쳐 놓고, 그 위에 자신이 원하는 재

     료를, 먹고 싶은 만큼 뿌리면서 께사디야를 만들고 있었다. 서울시 중랑구에서 왔다고 밝힌 신

     지선(42) 씨는 아들 재영, 딸 혜진과 함께 직접 만든 께사디야를 먹으며 웃음꽃을 피우고 

     었다. 맛있게 식사를 하고 있는 이 가족에게 중남미 음식에 대한 평을 들어보았다.

 

Q. 지금 먹고 있는 음식의 맛은 어떤가요?

 

이름이 께사디야라고 하는데 영양가도 높은 것 같고, 맛도 있어 여러모로 좋은 것 같아요. 지금 여기 콩과 양파, 파프리카 등 다양한 채소가 들어가 있는 데다가 고기까지 있어 한끼 식사 대용으로도 좋을 것 같고, 또 별로 맵지도 않아서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처럼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을 것 같네요. 특히 콩 덕분에 씹을 때마다 고소한 맛이 나는 것이 일품이고, 편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어서 지금처럼 막 공연을 보고 나왔을때도 금방 만들어 먹을 수 있어 좋았어요. 이 음식이 알려지면 한국에서도 꽤 많은 인기를 모을 것 같은데요? (웃음)

 

Q. 공연도 보고 왔다고 했는데, 중남미 문화축제를 즐기고 느낀 생각, 자유롭게 한마디 해주세요.

 

가장 좋은 점은 서울의 한복판인 여기 박물관에서 이런 행사가 열려 모두가 편히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좋다고 느껴졌어요. 저도 별 어려움 없이 올 수 있었거든요. (웃음) 그리고, 음악 공연도 매우 인상깊었어요. 하지만 제가 제일 좋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은 지금 체험하고 있는 식음체험이라고 생각해요. 쉽게 접하지 못했던 중남미 음식의 맛을 알아보고, 또 새로운 맛에 빠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니까요. 특히 학생들이나, 우리 애들이 좋아하는 것처럼 어린이들이 이 음식을 좋아하는 것 같은데, 엄마로서 새 간식거리도 생겨서 좋네요. 집에 가서 만드는 법 좀 자세히 봐야겠어요. (웃음)

 

 많은 관람객들, 특히 청소년들이 이번 중남미 문화축제를 통해 수준 높은 공연과 다양한 행사를 즐김으로써 중남미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축제에 참가한 이들 중 중남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청소년들은 앞으로도 자라가면서 중남미와 다양한 분야에서 만나고, 또 소통을 이어나가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우리가 잘 모르는 문화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함으로써,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세계에 더 열린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던 축제였다.





Nonverbal performance with chopping boards and knives

 

Nanta mixes Korean traditional beats with the modern performance cultures and

 breaks the borders of countries

 

Photo credit to NANTA

   

  Like the hot weather in this season of summer, 'Hallryu', Korean wave, is the hot topic to foreigners. Hallryu's spread of Korean televisions and stars has been spread out to the performance arts. In the year of 2011, last year, according to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over 1.1 million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had the experience of watching a performance art during their visit in South Korea. Out of these tourists,according to PMC production in 2011, 700 thousand foreign tourists, 64% of the tourists, watched the performance 'Nanta'.

    

Nanta started in 1997 at Hoam Art Hall. It has been known for its unique performance style of a nonverbal performance. There is no talking, actors are dressed as chefs, and they hold knives and pound them on chopping boards. This may sound boring. Yet the performance includes lively dancing and making Korean traditional beats while mixing with modern music and performance cultures. Nanta is breaking the borders of performances between countries. Nanta is already probably familiar to lots of foreigners. Therefore to know about the role of Nanta in the world market an interview with Young Joo Lee from the PMC Production(Co.) Nanta Marketing team.

 

Q.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start of Nanta?

 

A. Song Seung Hwan, a famous Korean actor, has always been interested in performance arts. Through his interest in such area, he started to make performance arts in Korea. At first he started small. However, as he started to expand the scale of the works, he grew to realize that language was a barricade for Korean works to spread out into the world. Song wanted to make a Korean performance work that can be loved by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While thinking about what can be a special attraction of Korean pieces, he came up with the idea of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Mixing familiar beat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eats seemed like the completion of a new kind of performance. Therefore on stage, there are traditional Korean wedding ceremonies as backgrounds while there are familiar tools such as knives, chopping boards, pots, and plates.

 

Q. Nanta is currently performed throughout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other countries is Nanta planning on expanding to and how is Nanta going to achieve these goals?

 

A. Nanta is a piece of work that has been made with the thought of oversea expansion since the planning stage. Overseas markets biggest barrier was the language barrier. However there is no longer this barrier since Nanta is a nonverbal performance. Nanta team belives that there is still many countries to expand to. Through continuous foreign marketing, we plan to make Nanta world famous. According to a research on December 31st, 2011, Nanta has been performed in 41 countries, 274 cities and 21, 760 times total.

 

Q. What makes Nanta special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 works?

 

A. In Korea we have Korea traditional beat that is wordly acknowledged for its speciality. In Nanta we use this acknowledged traditional beat for audiences to feel the exciting atmosphere. Combining korea traditional beats with modern performance culture, Nanta is now a strong performance that can have a strong place in the world market. Also nonverbal performances had the defect of repeating the same beat. Therefore it gave the audience boredom due to repetition of beats. However Nanta has been able to overcome this defect. By setting the ordinary and familiar kitchen as the background of the stage and adding dramatic factors to the performances, anyone can enjoy the joyous atmosphere. Also another special point of Nanta is that audiences can come up to the stage and take a part of the show. Nanta's specialty of all is that audiences and actors can symphathize with each other during the performance.

 

Q. How does Nanta show parts of Korea? Also do you think Nanta can now be absorbed as a part of Korea's culture and history? Yes or no, and why does Nanta Team belive so?

 

A. Nanta has done a well job on melting the Korean traditional factors modernly. Korean dishes with soul, chopping board noises that remind people of the traditional beats, and actors continuous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show the Korean's characteristic of having lots of feelings for each other. Also the traditional instruments that have been interpreted modernly and fashionably throughout the performance takes a big role in helping the audience understand Korean culture. Due to these reasons Nanta team believes that Nanta is already part of the Korean culture.

 

Q. What kind of role does Nanta do in the global century?

 

A. Nanta mixed the friendly beats with the traditional beats. Through this mixture it shows Korean arts throughout the world. Also it helps performances in the world to be officially named as a brand, have their own theaters, and have long term performances. Lastly, Nanta has a value as a traveling product. As the values go up, it draws many tourists to Korea and helps increase the income for tourism industry.

   

  Since 1997, Nanta has been continuously acknowledged for its speciality through awards such as Grand Prix, Republic of Korea Culture and Art Award, and more. Theaters specially made for Nanta is placed in Gangnam, Jeju, Hong Dae and Myeong Dong. Also performed at Broadway in New York as the first Asian performance work. Korea has been criticized for its weak performance and culture life. With the strive of Nanta toward the world, there is bigger hope for Korea to expand on the cultural life. Overcoming the language barrier and specializing the Korean traditional specialties was the key point of success in the oversea market.

 

Iwamoto Yuka(Photo credit to Nanta)

 

   Nanta is a Korean performance art. However now foreigner actors perform on the Nanta team also. In 2009, Iwamoto Yuka became the first foreign actor to be part of the performance team. She came to Korea in 2002 on a tour with her family and watched Nanta. From this occasion, she was amazed by the delightful new performance and dreamed of performing on the stage herself. With this dream she came to Korea in 2007 and started her way into becoming a Nanta actor. In 2012 out of 50 actors she is the only foreign actor.

The auditions are held in at random times of year, according to the schedules of the Nanta team. In the 2012 audition notification, if you are over 24 years who can travel to foreign countries, you are legible. As the Nanta is becoming a wordly performance, foreign actors performing such art will be a visible bridge of the global century.

 

For further information about Nanta and ticketing please visit http://nanta.i-pmc.co.kr/Nanta/en/Intro.aspx (english website).

 

For further notification on the audition for Nanta team as an actor please visit

http://www.i-pmc.co.kr/community/notice.asp (Korean website).

 

 

2012 상반기, 판게아는 내 친구 2차 활동

일시: 2012년 5월 12일(토) 14:00~17:00

장소: 미지센터 나눔방

 

 

 

 

 

 

 

 

 

 

 

 

The Korea Foundation portraits Spain by exhibition and lectures

 

 

 

 

Photo by Photo. A Portait of Spain was organized under the sponsorship of Acción cultural Española (AC/E) and supported by the Embassy of Spain in Seoul and the Korea Foundation. The exhibition visits Korea on the occasion of Spain's participation at the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Korea 2012 and it plays a vital role in introducing Spanish culture to Koreans as well as visitors from all over the world. This exhibition held by the work of fifteen photographers who developed their work based on personal viewpoints and represents their own approaches in both content and in their aesthetic way of dealing with images of Spain. The exhibition expressively illustrated the history of Spain from 1950 until recently including the affliction through the trials after war,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the eddy, and preserving people and the urban landscape of the time.

 

 

Luis Arias Romero, an ambassador of Spain in Seoul, stated that The selection of sixty photographs makes up a narrative that ranges from panoramic aerial views of our cities to the most intimate details of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 Spanish people. Reflected here are public and private works, the vibrancy of tourism, the arrival of waves of immigrants, our countrys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the new fashions and attitudes of the younger generations in contemporary Spain. The art and skill of our most renowned photographers give us the opportunity to enjoy these images of modernity, tradition, and change.

 

 

 

According to congratulatory message from Byung-kook Kim, president of The Korea Foundation, In todays world, Korea is expanding its efforts to raise the global profile of the nation an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cultural diplomacy. Culture is really a shortcut to mutual understanding, and the cornerstone for strengthen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se cultural exchanges, our nations are being linked through Spanish Literature, and attracted by the artistic skills and virtuosity of Spanish music, art film and dance.

 

 

 

 

Besides the exhibition, The Korea Foundation prepared useful lectures regarding Spanish culture in order to help interpretation of its culture and the display itself. The lectures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ly, Santiago, pilgrims way, secondly, passionate flamenco, Lastly, Spanish regional traditional festival by Elia Rodrigez. Although there were two important lectures that deliver Spanish culture and its importance, the last lecture was the one which can show the Spanish culture and sprit the most. Here are some famous and important festivals which can represent Spainish culture.

 

 

 

 

1. Las Fallas (fireworks march 12th~ 19th)

 

Throughout Valencia region, Las Fallas is held for a week, from March 12th to 19th (the day of San Jose). It boasts a long history from the medieval era. The origin of the festival comes from carpenters who celebrated the end of the winter by burning trees and bushes. Later, it changed into burning dolls, representing the region and the unusable old furniture.

 

 

2. La Feria de Abril (Festival of April)

 

 

In short words, this festival is for participants to have a great time in small artificial island.

 

 

3. Los Sanfermines (July 6th ~ July 14th)

 

 

The most favorite factor in San Fermin is Encierro (cattle driving). During the festival, every morning at 8:00 am, people repeat Encierro.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of cattle driving, which solely leads bulls, in Encierro a lot of people herd cattle together by running. However, as this Encierro is dangerous, people get easily hurt and can even, lead to death. Encierro is also known as the "Running of the Bulls" in Western countries.

 

 

4. La Tomatina (Tomato festival the end of August)

 

 

La Tomatina is held on every August, in Buñol Valencia. In 1945, there was a parade, and some kids jumped to the procession and people got mad. There was a grocery store, and people started to throw tomatoes to each other. Although that particular fight was over, people gathered up next year and started the festival from that day on. This festival got famous after appeared in TV in 1983. Each year the festival gets bigger and bigger.

 

 

After the helpful lecture was over, I interviewed the lecturer, Elia Rodregez, who currently majoring in Korean culture.

 

 

 

 

 

1. Why did you major Korean history and culture?

 

 

Actually, this is the hardest question for me to answer. I firstly majored in Spanish language and literature in Spain. However, as there were a lot of recruiting problems in Spain, I looked for other things to study. Then by some reasons, East Asian Studies caught my eyes and I began to learn Japanese. By some personal reasons, I faced various problems before going to Japan, which made me to come to Korea instead with scholarship. So, I began to learn Korean, by and by, I tried to learn Korean history, religion, culture.

 

 

2. How do you define Korean culture?

 

 

I cannot say this in words. Actually, this is a very hard for me to answer as I am a student currently, who is learning about what culture is. It might be impossible for me to explain what culture is in Spanish too. HaHa

 

 

3. Can you describe Spain in a word?

 

 

Pasión (passion). We have very different cultures from region to region. However, passion is the one which can bond Spain into one. Southern part is more closely related to passion fiesta. If you look at the dance Flamenco, There is no need to talk much about it. About North, as I am from North, it is hard to say it. But its rather closely related to passion of business and study.

 

 

4. If we look as Spanish fiestas, some of them seem to be very dangerous like los sanfermines, tomatina, etc. Why do people enjoy these festivals even though they are so dangerous?

 

 

I think this can relate to passion. Spanish Peoples National characters are very brave. Even in the past, Spanish people like to prove their courage. In this context, bullfighting was born. So as all these factors are mixed, I think it made possible to have different and unique but dangerous festivals created.

 

 

5. W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culture and Spanish Culture?

 

 

Yet, I dont know what really is, but when I studied, this one I could say it clearly: Korea equals monoculture. Groupo (groupism). Spain is so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and it is pretty much personalized and individualized. Like I said in the lecture, East, West, North South they are all cross-cultures. Especially, north and south, they are chalk and cheese. Complicated, Spain uses different languages like Spanish, Catalán, and Basque languages while Koreans use only Korean.

 

 

 


 

 

The Korean Foundation is still making progress on delivering helpful exhibition and lectures regarding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events, please visit www.kf.or.kr

 

 

 

 

 

    1st MIZY Youth Reporters expand the territories for teenagers to make an impact toward the world

As a teenager, I wondered what kind of impacts I can make in the world that I am living in. After a long period of thinking, I have always been disappointed with the fact that I am only a teenager. Because I am a teenager I believed that my power will be small and that there would not be people listening toward my words. However, as I started MIZY Youth Reporter program, my doubts about my abilities as a teenager has changed.

             The MIZY Youth Reporter program started in January of 2011. Through document screening and interviews, 15 teenagers of age between 15~24 were selected to grow as an active citizen of the global society. Every month each youth reporter wrote an article related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articles varied from author interviews, international events, global campaigns, current events and etc. All of the articles contents differed from one another, yet all with the purpose to expand the territories as a teen journalist toward the global world.

             At first, I couldn’t tell that people were reading our articles. Yet, as more articles of the MIZY Youth Reporters are posted on the Mizy Tistory, it was clear that more people were visiting the website. With the start of about 40 people visiting the website, now over a hundred of people visit to read our articles and read other Mizy Center news. Also many more people have been responding to the articles by commenting on the articles and showing interests. My doubts about the effects that teenagers can make have slowly changed through my growing as a 21st century citizen of the world. As I was coming to an end as the 1st youth reporter of MIZY, I interviewed hundred teenagers varying from actively participating teenagers to timid teenagers. They were asked about how much of an impact that they can make toward the world currently as a teenager.


As shown above, 98% of teenagers themselves believe that they can make at least some kind of effect in the world. Personally, I have experienced that my words can be heard to other people and even though it might have only been a small impact, I am expanding the strengths to make bigger effects in the world. As many of the Youth Reporters of MIZY experienced the same kind of feeling as I did, I have interviewed ChoRok Lee, a junior at Dae-W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a member of the 1
st MIZY Youth Reporter, about her experience as a youth reporter. She is a young but dedicated teenager that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global society. I decided to hear about her experience as a youth reporter on how it helped her to grow as a more active teenager. 

Photo credit to Mizy center



Q. How did you get to apply to a teen journalist at Mizy?

A. Hi. I have participated to writ e monthly English articles about international affairs and exchange as a member of MIZY Youth Reporters. I applied in January and after some orientation sessions we began writing the articles and upload them online, on the MIZY Tistory page. I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 issues and activities, so I wrote mostly about them as my theme throughout the year. My purpose in writing was to inform other fellow students who also have the same interest with me but is short in information where they could contribute their passion to. I thought not only could this activity benefit me by the means of improving article writing skills but also benefit those who are willing to search for their ways to specify their dreams and interest. And also officially writing a piece of an article gave me the sense of being the spokesperson of the contemporary affairs.

 

Q. What helped you grow as an active teenager while participating as a MIZY Youth Reporter?

A. Well the most obvious answer that is expected at this question is when someone read my article and was inspired by it and went ahead to dream of becoming a diplomat. But I remember I visited New York to attend the Youth Assembly in the United Nations. It wa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ugust about MDGs and future roadmaps. I actually hoped to see Mr. Secretary General Ban but I was not lucky enough. But it was told that he peeked at us having a conference twice! Anyways I was able to interview numerous students and activists from all six continents and numerous of countries. It was the biggest breakthrough in my temporary career as a Mizy Youth Reporter.


MIZY Youth Reporters program surely is not the only program that is expanding the territories for teenagers to speak and be heard. There are many other programs launching or being progressed inside of MIZY Center and also outside. What is important is that many teenagers realize their power as a teenager and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ociety as a valued citizen. With realizing the importance of making one small effect at a time, MIZY Youth Reporters 2nd has officially started. Through the baton touch from the 1st youth reporters to the 2nd, the MIZY Youth Reporters are starting on ground that the first reporters have opened. 1st reporters duty was to open the ears of many people to hear our voices. Now I believe that the 2nd   reporters' duties are to expand effects of voices of teenagers.

 

 

       Who said that donations are only done by money? The Hat Knitting Campaign defines another type of donation in the global world.

 

           When people think about the world ‘volunteer’ or ‘donation’ we often think about the red charity boxes that we put money into. Or often people relate volunteer work to cleaning up after messes or other physical activities. However, Save the Children’s Hat Knitting Campaign is defining a new type of volunteer for the people across the world. Since 2007, Save the Children,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elping the world’s child poverty, has been pursuing the ‘Hat Knitting Campaign’. This campaign is meant to help infants dying due to diseases that can easily be treated. What makes this campaign special is the fact that instead of just simply donating money; participants knit hats with their own hands to ship to infants in developing countries. Now beyond just money, there are efforts sent along with the donations.

           The ‘Hat Knitting Campaign’ is growing steadily with lots of attentions. Now this campaign is celebrating its 5th year and stands with a goal to ship 15 thousand knitted hats to Zimbabwe and Bangladesh. To hear about the enormous spread of contribution-culture set by this campaign, I interviewed Park Young Ee from the Save the Children Communication Team.


          
The ‘Hat Knitting Campaign’ holds its significance for defining a new type of ‘volunteer’ and ‘donation’. Instead of just donation money, each time I knit I can think about the infants that will be wearing the hat in my hands after a couple months. The participants love, effort and care will be shipped across the Zimbabwe and Bangladesh. The positive energy this campaign is sending not only to the participants but also to the people across the world is making the world feel like a warmer place.


Photos are credited to Save the Children

 

Q. What is the starting background of the ‘Save the Children Hat Knitting Campaign’?

 

A. Annually Save the Children publishes ‘State of the World’s Mothers’. In this, there was a rank for ‘good countries to be a mother at’. According to this ranking, in the whole world, every year about 7 million infants under 5 have their breath taken away. Out of these infants 2 million babies die on their day of birth, and 4 million lose their precious lives within a month.

 

The deaths of these infants are due to easily cured diseases such as pneumonia, diarrhea and malaria. There are easy and quick ways to save the infants from losing their lives such as malaria prevention mosquito net, antibiotic, moisture supplement and etc. To provide easy ways for people to help these infants, we have started this campaign.

 

Save the Children has started the ‘Hat Knitting Campaign’ in South Korea 2007 and is continuing the 5th season this year with United States, Canada, Germany,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Hong Kong.

 

Q. When most people think about ‘volunteer’, people think about doing chores for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or doing their works for them. However, the ‘Hat Knitting Campaign’ is a unique type of volunteer. You knit the hats at home and send them on a plane to be shipped across to countries such as Africa. What do you believe is the unique way of volunteering that this only this campaign offers?

 

A. The ‘Hat Knitting Campaign’ is not only a donation type of giving. Instead it holds great significance for settling a new type of contribution culture-giving by making by the hand. Also in the hat knitting kit cost, along with the cost for the kit, there is also a donation included to sponsor foreign nutrition business. When you buy the kit, you can donate and knit the hat and contribute it. Since in this campaign, you can contribute twice, the fact that the happiness will be twice is something that makes ‘Hat Knitting Campaign’ different with other volunteers.

 

Q. The campaign could’ve been called ‘Sock Knitting Campaign’ or ‘Scarf Knitting Campaign’. Out of so many products, why did Save the Children specifically choose ‘hats’? Was there a special situation related with hats?

 

A. Wool hats are known to keep the baby’s body heat and act as an incubator like a kangaroo care. Through this way, the percentage of the death of infants can be lowered to about 70 percent- the reason why Save the Children started the ‘Hat Knitting Campaign’. 

 

Q. This campaign started in 2007 and is already continuing its 5th season. What is the special key to maintain a campaign for continuous times?

 

A. Since the campaign started in 2007, as the years pas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campaign and the number of hat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Especially last year, in the season 4, with 61,488 participants and 141,574 hats have been gathered from all over the country, allowing it a byname of ‘national campaign’. The reason that this campaign can be continued is due to the participants. Even though the knitting process is hard, many participants are willing to challenge themselves to knit to contribute. The participants who have been calling for the kits even before the season started,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every season, participants knitting all winter long and sending a whole basket and etc. are the people who has made this campaign and raised this campaign.

 

Q. Is there an ultimate goal for the ‘Hat Knitting Campaign?

 

A. The ‘Hat Knitting Campaign’ progressed as the save the infants under 5, as a part of the EVERY ONE Campaign. (EVERY ONE Campaign is a campaign to save help children grow healthily until the age of 5. The reason why we help children until they are 5 is because if they are healthy until 5 years old they grow a level of immunity that allows them to age until their 70s.) This campaign is a global campaign that started in 2009 to protect children’s dying from diseases that can be easily cured, in about 50 countries across the world. Every year about 8.1 million infants are dying due to easily cured diseases. Save the Children is working in countries with high infant mortality rates such as Mali, Nigeria and etc. They are supplying medicines and medical supplies and training region medical treatment human resources to protect babies against unnecessary deaths.

 

The ultimate goal of EVERY ONE Campaign is the 4th and the 5th goal in the MDGs, reduce child mortality and improve maternal health. United Nation’s MDG(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s an agenda adopted by the agreement of 191 participating countries in 2000. The MDG is 8 international promises to make poverty in half by the year of 2015.

 

* Goal 4(Reduce child mortality): By the year of 2015, according to the standard measured in 1990, reduce the child mortality in to 2/3rd.

*Goal 5(Improve maternal health): Between the years of 1990~2015 reduce the death of mothers with babies to 3/4th.


 

Do you wish to participate in Save the Children ‘Hat Knitting Campaign’?

1. Type ‘save the children’ at gsshop.com

2. Buy the ‘Hat Knitting Campaign’ Kit

3. Learn how to knit on http://moja.sc.or.kr/moja_season/moja_5/menu2/way_tab1_1.php

4. Knit!

5. Send it to ‘Save the Children’ by February 29th of 2012.




 

 캐나다 밴쿠버 시내 한복판에 슈퍼맨이 서류가방을 들고 출근을 하고 마녀가 가게에서 주문을 받는 날. 바로 10월 31일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이다. 매년 10월 31일은 할로윈 데이로 캐나다를 비롯해 많은 서양 국가에서는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남녀노소 모두가 만화 캐릭터, 마녀 등 평소에 하지 않는 특이한 분장을 하고, 아이들은 ‘Trick or Treat’을 외치며 이웃들의 집을 방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색적인 광경이기에 한국 유학생들 및 관광객들도 모두 들떠 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흥미로운 할로윈

 우리나라에서는 할로윈이 사실상 없다. 외국어 학원이나 놀이공원에서 할로윈 기념행사를 개최하긴 하지만 서양에서 즐기는 할로윈과는 사뭇 다르다. 항상 외국 영화나 드라마에서만 보던 할로윈을 캐나다에서는 직접 경험해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을 키우는 집과 노부부가 사는 집에서는 특히 할로윈을 위해 1-2주 전부터 집 마당을 장식하고, 동네 아이들을 위해 초콜릿과 사탕을 사놓았다. 할로윈 당일, 시내에서는 주로 젊은이들이 원더우먼, 슈퍼맨, 마녀 등의 개성 있는 분장을 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 주택가에서는 대부분 가족 단위로 할로윈 분장을 하고 있었다. 


 

할로윈 당일에 해가 질 무렵, 사람들은 집 마당에 놓은 ‘Jack-o'-lantern’(할로윈을 기념해 호박 속을 파 표면을 개성 있게 장식해 놓은 호박 등불) 안의 초에 불을 붙여 놓는다. 불이 켜져 있는 집은 아이들의 ‘Trick or Treat’ 방문을 환영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Jack-o'-lantern'의 불이 꺼져있거나 집에 불이 꺼져있다면 방문을 하지 않는 것이 예의이다.
 


 

Trick or Treat!
 

 저녁 6시가 넘자 귀엽게 변장을 한 아이들이 한 손에는 바구니를 든 채 부모님과 동네를 돌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이웃집 문을 두드리며 ‘Trick or Treat’을 외치는데, 이는 “과자나 사탕을 주면 장난치지 않을게요.”라는 뜻이다. ‘Trick or Treat’은 3살의 어린 아이부터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이들이 이웃집들을 방문해 사탕이나 초콜릿을 받는 할로윈의 대표적인 풍습이다. 내가 살고 있는 캐나다 BC주의 주택가에서도 어김없이 아이들이 다양한 의상을 한 채 사탕, 초콜릿을 바구니에 한가득 담고 돌아다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모든 가정에서 수시로 집 대문을 두드리는 아이들을 살갑게 대해주었으며, 특히 노부부들은 아이들의 방문을 더욱 반기는 분위기였다.
 


 

익살스러운 장난이 허용되는 할로윈 데이

 할로윈 데이에는 평소에는 할 수 없던 장난들을 마음껏 할 수 있다. 올해 할로윈에도 역시  개성있는 할로윈 장난들을 볼 수 있었다. 집 마당을 공동묘지로 꾸미는 것은 예삿일이었고, 지붕과 차 위에 거대한 거미를 올려놓거나 좀비와 해골, 귀신을 집 앞에 설치해 놓기도 했다. 할로윈을 맞이해 집을 잘 장식하거나 톡톡 튀는 장난을 많이 준비한 집이 단연 인기가 많았다. 내가 거주하는 동네에서 가장 사람이 몰려 있는 곳은 공동묘지로 마당을 꾸며 놓고 붉은 조명, 뿌연 연기와 함께 소름끼치는 음악을 틀어놓은 집이었다. 주민들은 평범한 일상 속에서 지내다가 익살스러운 장난들에 매우 즐거워하는 듯 보였다. 


 

 할로윈 데이는 귀신을 쫓기 위한 켈트족의 풍습에서 비롯되었으며 지금은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일상에서 할 수 없는 독특한 분장과 장난을 하며 특별한 추억을 쌓을 수도 있고 ‘Trick or Treat’과 같은 풍습으로 이웃들과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수도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진정한 할로윈을 경험해보고 싶다면 캐나다 등 할로윈 데이를 즐기는 국가에서 보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특별한 할로윈을 보내는 방법!


1.
외국에서 할로윈을 보내게 된다면, 한번쯤은 시내가 아닌 주택가에서 보내는 것을 추천!

 캐나다 밴쿠버의 경우, 할로윈 당일 저녁시간 쯤 많은 사람들이 독특한 할로윈 복장을 한 채 축제를 벌인다. 또한 곳곳에서 열리는 할로윈 기념 파티에 참석해 할로윈을 보내기도 한다. 물론 축제와 파티도 참석하면 재밌는 시간을 보낼 수 있지만, 주택가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할로윈을 경험할 수 있다. 한번쯤은 익살스러운 할로윈 장식들과 함께 실제 동네 아이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하는 ‘Trick or Treat’ 등을 보며 가족과 이웃 중심의 할로윈을 보내는 것도 소중한 추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할로윈 의상 입어보기!

 캐나다에서 할로윈 데이를 보내게 된다면 꼭 할로윈 의상을 입어보길 권장한다. 한국인들에겐 할로윈이 낯선 문화이기 때문에 할로윈 의상을 입지 않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할로윈 의상을 입는다면 할로윈의 즐거움이 배가된다고 확신한다. 할로윈 시즌 전에는 많은 가게에서 할로윈 의상을 판매하므로 직접 친구, 가족들과 함께 할로윈 의상 쇼핑을 해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될 것이다.  

  

3. Pumpkin Patch에 가보기!

 'Pumpkin Patch'란 할로윈 데이 장식을 위한 호박을 파는 곳이다. 'Pumpkin Patch'에 가면 깜짝 놀랄 정도의 넓은 호박 밭이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이곳에는 호박을 비롯해 다양한 호박 장식품, 할로윈을 기념하는 행사들이 마련되어 있다. 할로윈을 위한 호박은 'Pumpkin Patch'에서 구입해보는 것도 할로윈을 즐기는 방법 중 하나이다. 


 


 

4. Trick or Treat for UNICEF!

 할로윈이 어린이 자신들이 세상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도 보여줄 수 있는 날이 될 수도 있다. 바로 ‘Trick or Treat for UNICEF’를 통해 아이들과 학생들은 자신만의 특별한 모금 활동을 해볼 수 있다. 캐나다 어린이들에게는 ‘Trick or Treat for UNICEF’이 오래된 할로윈 전통 중 하나이다. 할로윈 밤에 이웃집을 돌아다니면서 캔디와 함께 전 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모금을 해보는 활동인데, 이웃들의 인정을 마음껏 느낄 수 있는 할로윈에 소중한 봉사를 통해 나눔을 실천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Trick or Treat for UNICEF’ 사이트에 들어가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할로윈 모금활동을 하는 방법이 상세히 나와 있다.

*사이트: http://youth.unicefusa.org/trickortreat/participate/




“Books, thousand of eyes looking at the futur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2011

 


The history of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2011

Over 23 countries, 572 publishing companies and 774 booths, total of thirteen thousand people were all gathered to witness the 2011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which took place on June 15th through June 19th held in COEX A, B hall.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started in 1947, a book fair with only Korea books. However, starting from 1995, they categorized their title as an international book fair festival which portrayed immense signs of popular growth. Year by year, more countries started to participate, along with increasing numbers of steadfast programs, creating stimulating readers interests.

This year many readers were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writers (e.g., Cho Kyung Ran, Koo Byung Mo). Also the E-Square (Electronic Publishing Square) show casted electronical book devices. They also had world pop-up books on display and held an event, specifically where individuals can create their own. In hopes that next year’s fair will provide readers with much more experience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one of the sponsors from the book fair festival, Kim Eun Hee from the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Kids enjoying the animation booth


1.    If you could describe the 2011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in a short phrase, how would you describe it and why?

-       This year slogan is “Books, thousand of eyes looking at the future”. In terms of this slogan, I want to tell you that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is a festival that connects not only Korean readers but also the international readers together. There are domestic halls, international halls along with children halls. Also there are many events held for many visitors of the fair to enjoy among the books.

-        

2.    How is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2011 different from the 2010 fair?

-       “In terms of what has improved compared to last year, first of all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2011 opened more space for the readers and writers to meet. Also to reflect the big issues and changes due to the electronic publishing, we expanded the contents for the E-Square (Electronic Publishing Square). Lastly, lots of special exhibits and open spaces for visitors to participate were provided.”

3.    What is the ultimate goal for the fair?

-    “The fair has a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traditional book contents. It is true that the popularities of books are decreasing due to diverse cultural contents. Therefore we are opening gates for publishing companies to connect with readers. Also it allows publishers to actively trade copyrights. In addition, we are pursuing many seminars to help current publishers develop.”

4. To what kind of people would you recommend this fair?   

-    “I would like to recommend this fair for not only readers but to everyone because there are events held that does not have age limits for the enjoyment of reading books. This year, the pop-up books were especially loved also I want to recommend to families with children. Especially, our B hall has a children hall, so there are many chances and events for the family to become o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