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말, 1회 대한민국 평생학습 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제 1회 평생학습박람회는 '인생 100, 일과 학습의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평생학습박람회 지원체제 및 평생학습 인프라 구축을 통해 평생교육의 의의를 제고하고 즐길 수 있는 평생학습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기획되었다고 한다. 특히 각 시, 도별로 평생학습에 대한 부스가 마련되어있어서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비가 잘 되어있었고 어떤 지역에서 어떤 테마로 평생학습을 실현하는지 잘 볼 수 있었다.

 

 

         

아산시의 부스에서는 짚풀 공예를 배우신 분들이 학부모님이나 아이들에게 손수 짚풀 꼬는법, 엮는 법 등을 가르쳐 주시고 짚풀로 계란 바구니를 엮어 선물로 주시기도 하였다.

 

각 지역의 부스에서는 시,도별로 어떤 평생교육을 추진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보여주었는데, 광주 남구 같은 경우는 [찾아가는 되살림지기 강사 양성], [5070남성요리교실] 같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활동사진도 전시해두었다. [찾아가는 되살림지기 강사 양성]이라는 것은 자원봉사를 하면서 주위에 쉽게 볼 수 있는 폐자원 재활용 방법을 교육하고, 다시 사회에 환원하는 활동을 뜻한다

 

     남성요리교실 활동사진  

 

마지막으로, 이번엔 성인 문해교육 시화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성인문해교육 시화전은 평생학습 박람회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는데, 평생교육을 이수하신 어르신들이 그 동안의 교육 내용을 토대로 시화를 쓰시고 전시하는 행사이다. 이번 시화전에서는 시화전을 감상한 관람객들이 각각 한 장의 엽서를 받아 기억에 남는 시와 그 작가 분에게 응원의 편지를 보내는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었다. 이 응원의 편지는 시화전이 끝나고 어르신께 직접 전해진다고 한다.

 

    왼쪽부터 <알밤>, <아흔 하나> , <안경>

 

 

이번 제 1회 대한민국 평생교육 박람회에서는 첫째로 시,도 별로 주최하는 평생교육을 알아 볼 수 있으며 그 홍보가 노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연령대가 관람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자리였으며, 둘째로 평생교육의 홍보에만 전념한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을 이수하신 어르신들의 경험담이나 시화전, 어르신들의 박람회 직접 참여 등으로 그 필요성에 대해 관람객 스스로가 느낄 수 있게끔 한 것이 흥미로웠다. 마지막으로, 이번 제 1회 대한민국 평생교육 박람회가 아이들과 학부모, 지역 공동체가 한데 어우러져 진행되었다는 점이 기존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을 더욱 긍정적이고 포괄적으로 바꿔놓은 요소가 되었다고 평가 받고 있다.

 


 

 

<유테카에서 글로벌 특별활동을!>

 

요즈음, 청소년들의 교외활동/방과 후 활동이 그 폭을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청소년들은 학교의 창의 체험 동아리 활동을 외에도 라이브 동아리-교외시간을 활용한 자율적인 교내 동아리-를 비롯하여 온라인 상에서도 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유테카를 들 수 있겠다. 유테카는 한 마디로 말하자면 글로벌 특별활동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이다.

 

유테카에서는 마치 학교에서의 동아리 활동과 같이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환경, 의학, 사회 이슈...etc-를 선택하고 세부적인 내용은 액티비티 클럽 소개글을 참고하여 알아본 후, 관심 있는 액티비티 클럽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방식이다. 유테카에서 활동하고 있는 클럽으로는 UHEC(전국고등학교 경제연합), EduEng(영어교육 봉사동아리), M.Y.C(Maximize your computer -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동아리) 등이 있다. 유테카는 한국 학생 9명이 뜻을 모아 특화된 개인의 열정과 관심을 장려하자는 취지로 결성된 사이트로, 전 세계 50여 개국 2000여개 고교 학생들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자신의 특별활동을 공유하고 전파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조성해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유테카와 청소년 특별활동에 대한 보다 많은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UHEC(전국고등학교 경제연합-이하 유헥-)에서 활동 중인 아시리아(닉네임)씨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유테카 홈페이지의 모습.

 

 

 

Q. 처음 유테카를 어떻게 접하게 되셨나요?

A. 유헥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할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이 있을까 알아보던 차에 유헥 창립 멤버이셨던 선배님께서 유테카를 결성하셨다고 하셔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Q. 주로 유헥에서는 어떤 활동을 하나요?

A. UHEC은 경제경영이라는 제한적인 범위를 다루는 단체지만 사회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단체입니다. 그러한 부분들을 유테카를 통해 증명, 입증받고 홍보하고자 했습니다.

 

Q. 유테카에서 활동을 하면서 좋은 점이 있다면 무엇을 꼽을 수 있을까요?

A. 유테카 활동의 장점은 보다 넓은 세계를 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생각지도 못했던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친구들의 우수한 활동들을 보고 다시금 새로운 목표에 도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주는 점이 최대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Q. 세계 여러 나라의 학생들과 함께 하는 특별활동 사이트이다 보니, 활동들이 거의 다 영어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영어로 진행되는 점에 큰 무리는 없습니다. 유테카에 참여할만한 역량을 가진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은 보통 영어(외국어)라고 큰 부담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대부분이 한국어 기본에 영어혼용으로 진행되어 영어회화에 익숙한 외고생이 아니더라도 일반고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폭이 보장된다고 봅니다.

 

Q. 특별활동에 있어서 조언을 해주신다면?

A. 교내활동만큼이나 외부활동과 동아리활동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많은 정보와 기회를 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크고 넓은 세계를 보다 빨리 접할 수 있으며 한층 성숙한 사고를 가지게 도와주는 것이 동아리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은 기회가 열려있으며 본인만 낯설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그 기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관심과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커뮤니티 활동이라는 점과 그 일원의 자격은 모두에게 주어져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유테카에서는 액티비티 클럽을 바탕으로 엑스포도 개최한다고 한다. 지난 해 7월에는 두 번째로 글로벌 청소년 특별활동 엑스포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청소년 엑스포는 앞에서 소개한 여러개의 많은 액티비티 클럽들이 한 자리에 모여 부스를 열어 홍보전도 펼치고, 자신의 액티비티 클럽을 소개하는 행사이다. 자세한 세부 내용은 유테카 홈페이지 (www.youthec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청소년 활동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들-

 

www.youtheca.com - 동아리 활동이나 자신의 테마에 맞는 활동을 정하기에 좋다.

 

www.mizy.net - 국제교류나 다문화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에게 좋다.

(주요 프로그램 :국제교류기획캠프, 미지온데이, 지구마을 선생님 등)

 

www.haja.net - 직업 체험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

(주요 프로그램:하자 작업장학교, 로드스꼴라, 연금술사 프로젝트)

 

http://iye.youth.go.kr/default.jsp - 청소년 국제교류, 해외체험을 원하는 학생에게 좋다.

(주요 프로그램:꿈과 사람속으로 청소년 해외자원봉사단, 국제회의, 행사 참가단)

 

 

 

 

동북아역사재단과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공동 주최한

청소년을 위한 역사 콘서트

 

광개토대왕 서거 1,600 주년 기념

 

광개토대왕이 꿈꾼 나라

 

 

동북아와 세계 전체를 불행하게 만들었던 잘못된 역사관과 그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을 직시하여 장기적, 종합적 역사분석과 체계적, 전략적 정책개발을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2006년에 출범한 동북아역사재단은 청소년들에게 우리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안목과 보존의식을 심어주고자 2011년부터 대한민국 청소년을 위한 역사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2011년 10월에 열린 첫 번째 콘서트를 시작으로 이번에 다섯 번째를 맞이하여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와 공동으로 개최한 [청소년을 위한 역사콘서트]는 지난 10월 28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세 시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400여명의 학생과 일반인이 참가한 가운데 광개토대왕 서거 1600주년을 기념하여 ‘광개토대왕이 꿈꾼 나라’ 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역사 콘서트 - 청소년을 위한 올바른 역사 이해와 상호소통의 장

이번에 진행된 역사 콘서트 다섯 번째 이야기 역시 아래에 정리된 것처럼 이전 네 번의 역사 콘서트와 마찬가지로 청소년들이 동북아시아에서의 역사 갈등에 대하여 바르게 인식하고, 직접 참여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호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또한 미리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우리 청소년들은 한국역사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자랑스러운 인물로서 광개토대왕을 선정하였는데, 이에 광개토대왕과 고구려의 역사, 문화에 대해서 평소 청소년들이 궁금해 하던 것을 전문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활한 소통의 큰 장으로서 이번에 다섯 번째 콘서트가 개최되었다고 한다.

 

2011. 10. 31 제 1회 역사 콘서트: 한국 청년, 세상의 중심에서 독도를 외치다

2011. 12. 05 제 2회 역사 콘서트: 고구려를 찾아서

2012. 03. 10 제 3회 역사 콘서트: 희망을 말하다 -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하여

2012. 05. 26 제 4회 역사 콘서트: 독도를 지키는 사람들 - 안용복, 김장훈을 만나다

2012. 10. 28 제 5회 역사 콘서트: 광개토대왕이 꿈꾼 나라

 

이번 역사 콘서트에서는 주요한 프로그램으로서 광개토대왕비 탁본체험과 퀴즈 맞추기의 사전행사를 비롯하여 광개토대왕 이야기(KBS 드라마 광개토대왕 정기창 작가), 고구려의 왕과 역사이야기(임기환 서울교대 교수, 금경수 재단 연구위원), 21세기 광개토대왕이야기(청소년 참여마당) 등의 본 행사 그리고 충주시립국악단 ‘우륵’의 축하공연 등이 어우러져 그 열기를 더했다.

 

청소년을 위한 역사 콘서트 [광개토대왕이 꿈꾼 나라] 개요

일시: 2012년 10월 28일(일) 14:00 ~ 17:00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

주최: 동북아역사재단

후원: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사전행사> 사회: 이찬우(전문 MC), 한수빈(가람중학교)

● 광개토대왕비 탁본 체험

● 고구려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퀴즈 게임

● 고구려 고분벽화 2D, 3D 복원영상(동북아역사재단 제작)

● 대한민국의 꿈(반크 제작)

 

<본 행사> 사회: 정용실(KBS 아나운서)

● 이야기 손님과 함께!- 정기창(KBS드라마 광개토대왕 작가)- 임기환(서울교육대학교 교수)- 금경숙(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이세훈(반크 글로벌역사외교대사 4기 리더)- 최주희(청주중앙여자고등학교)

● 함께 나누는 광개토대왕의 꿈!- 이야기손님과 객석참가자들과의 대화

●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느끼다!!- 축하공연: 충주시립국악단 ‘우륵’

 

<함께 하는 행사>

● 3D 광개토대왕비 만들기

● 활쏘기 등 전통놀이 체험

● 포토존에서 사징찍기 - 역사 콘서트에 다녀왔어요

● 도서선물 - 젊은이들에게 전하는 한국사이야기!

● 참가소감 나누기 - 참관기를 올려주시는 분들에게 소정의 선물 증정

 

 

21세기에서 바라본 광개토대왕의 리더십 그리고 중국의 동북공정

 

이번 역사 콘서트 본 행사의 이야기 손님으로 초대된 KBS 정기창 작가는 ‘광개토대왕의 리더십과 21세기’ 라는 주제를 통해 역사드라마를 제작하면서 광개토대왕만이 가지고 있는 리더십을 발견하게 된 계기를 소개하였다. 특히 광개토대왕은 정복군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지역을 정복한 후에는 그 지역을 고구려로 편입하려고만 하지 않고 그 지역의 문화도 수용하는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그러한 광개토대왕의 포용적인 모습을 바탕으로 21세기에도 모든 걸 아우를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함을 깨달았으며, 가깝게는 북한, 멀게는 전 세계를 끌어안아야 하고, 군사력보다는 경제력, 경제력보다는 문화를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두 번째로 무대에 오른 임기환 서울교대 교수는 ‘광개토대왕에 대한 평가’를 주제로 제시하면서 광개토대왕에게는 영토를 확장하는 것도 중요하였지만 그보다 중요했던 과제는 당시 강대국들에 둘러싸여 있던 고구려를 세계의 중심으로 만드는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서 고구려 내부적으로 사회적 시스템까지도 안정시켰다는 점을 들어 비록 이에 대한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아니지만 새로운 사회체제에 대한 개혁군주로도 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동북아역사재단의 금경숙 책임연구위원은 중국 정부의 동북공정으로 이야기를 확대하면서 청소년들에게 동북공정의 정의부터 이것이 진행된 이유, 동북공정이 1992년 한중 수교 당시부터 서서히 준비되어온 만큼 치밀한 국가적 사업이라는 점 그리고 이에 대한 우리 입장과 우리 청소년들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사에 대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접근 방법 자체가 완전히 다르며, 중국에서는 고구려 유적지를 단순히 관광지로 생각하고 고구려사에 대한 관심도 없고 정도 없지만, 우리는 우리의 것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 느끼는 감정 또한 다르기 때문에 고구려사는 당연히 우리의 것임을 강조했다.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평화와 번영의 바탕 - 동북아역사재단

 

이처럼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역사 콘서트]라는 올바른 역사이해와 상호소통의 큰 장을 마련하고 있는 동북아역사재단이 꿈꾸는 미래는 무엇이며 또한 그 미래를 위해 어떠한 프로그램들을 준비하고 있을까? 동북아역사재단 홍보교육실 교육팀 정은정 선생님을 통해 그 궁금증을 풀어보았다:

 

● 동북아역사재단의 설립 취지와 배경은 무엇입니까?

“2006년 9월에 설립된 동북아역사재단의 직접적인 설립 배경은 2005년에 일본에서 다케시마의 날을 지정하면서 영토문제가 극한적으로 치닫게 되고, 위안부 문제, 동북공정과 같은 문제들이 계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한시적인 대응보다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공공기관 중 하나로서 동북아 문제를 중점적으로 고민하는 전략 싱크탱크, 연구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역점을 두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무엇인가요?

현재 여러 가지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한국과 중국 간의 역사문제들은 고대사, 특히 아직까지 잘 발표되지 않은, 그래서 연구가 더 필요한 사항들이 주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한일 간의 현안들은 위안부 문제, 야스쿠니 신사참배 문제 등 일제 식민지 시대에 관한 것 들입니다. 현재 이해 당사자들이 생존해 있고, 추가적으로 사료들을 발굴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진상조사 같은 작업들이 주요한 사안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역사 속에서의 갈등 문제는 나라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 청소년들이나 시민들께서 바르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제대로 교육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전략을 수립해서 그에 따라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역사 콘서트 외에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2006년부터 청소년들이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갖고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역사 체험 발표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였으며 전국적으로 200여 개의 동아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역사 아카데미가 있고 또 저희가 직접 학교로 찾아가는 강좌도 운영하고 있는데, 지정기간 중에 신청해 주시면 동북아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강좌를 학교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중국 내 고구려 유적지들이 훼손되고 안내문 등의 내용들이 왜곡되는 현실 속에서 동북아역사재단은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까?

문화재 보존권 같은 경우에는 모든 외교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국경이 나뉘어 있고 극단적인 방법을 동원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저희가 할 수 있는 일은 세계 문화유산의 공동 개발에 참여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사실 이런 문제들은 워낙 국제적인 정치상황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민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단시간에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양국의 국민정서를 고려해서 노력하고 있고, 저희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논리나 전략들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동북아시아의 보다 발전적인 미래를 위해 동북아역사재단은 어떠한 역할을 할 계획인가요?

동북아시아에서 한중일 삼국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고, 삼국간의 긴밀한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에서 한국이 삼국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 공동체적인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부분에서 우리 재단이 나름대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중일 삼국이 각자 예민해하고 갈등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역사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공동의 인식을 바탕으로 서로 대립되지 않도록 근본적으로 갈등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아직 유럽처럼 긴밀한 건 아니지만, 한중일의 교류가 계속해서 점점 더 긴밀해지고 있으니까,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구상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중심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즉, 평화를 전제로 하는 동북아시아의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최근에 한중일 삼국 간에 역사적 갈등과 영토분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청소년들이 가다듬어야 할 자세는 무엇일까요?

어떤 문제이던 간에,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너무 우리의 시각만을 고집한다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습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조금은 현실적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그러려면 상대가 이렇게 얘기할 때 내가 어떻게 얘기할 것인지, 자기 논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내가 한국에 태어난 이상 정체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 역사를 단순히 입시나 시험과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우리 역사를 사랑하고 관심을 갖고 우리의 역사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즉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입장이 되는 것, 다시 말해 성숙한 시민의식이 우리 청소년들에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러려면 우리도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아야 하고, 높고 깊게 또한 넓게 바라볼 수 있는 열린 시각을 갖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광개토대왕이 꿈꾼 나라, 우리 청소년들이 꿈꾸는 나라

 

미국을 넘어서는 새로운 정치경제적 절대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다소 그 힘은 빠졌지만 고유의 치밀한 전략과 아직까지도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계를 호령하는 일본과 함께 새롭게 동북아시아 삼국지를 열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에게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마련하고 있는 역사콘서트는 분명 그들의 올바른 역사인식과 이해를 돕는 안성맞춤의 장임에 틀림없다. 더구나 최근 한일 간의 독도분쟁과 중일 간의 다오위다오(샌카쿠열도) 분쟁에서처럼 삼국 간의 마찰이 단순히 이론적인 역사인식의 차원을 넘어서 실제적이고 극한적인 영토분쟁으로 치닫고 있는 만큼 정치적, 경제적 대결에서 군사적인 충돌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긴장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앞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우리 청소년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아니 동북아시아를 넘어 성숙한 세계시민으로서 세계 공동 번영의 숭고한 목표를 이뤄내야 할 의무를 수행하려면 그 첫걸음으로서 역사에 대한 바른 인식과 확고한 신념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자주 그리고 보다 더 많이 제공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동북아역사재단의 역사 콘서트와 같은 좋은 프로그램들이 보다 많이 생겨날수록, 우리 청소년들이 꿈꾸는 멋진 나라, 아름다운 나라 대한민국이 보다 빨리 이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며 많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

 

 

 

 

 

 

 

 

 

Youth, moving toward the island

 

제 12회 여수국제청소년축제

 

청소년들이 기획하고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국내 유일의 진정한 청소년 축제

 

 

(여수국제청소년축제 제공)

 

매년 열리는 제 12회 여수국제청소년축제가 많은 이들의 기대를 품고 올해도 7월 24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되었다. 국내외 청소년이 약 600명이 모여, 국제교류를 하고 더불어 해양스포츠, 섬 탐방을 즐기면서 친구라는 것은 국가, 인종,문화를 초월한다는 것을 보여준 제 12회 여수국제청소년축제! 사전 축제인 제 12회 여수국제청소년캠프는 외국청소년 150, 국내청소년 150명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첫째 날은 아이스 브레이킹, 둘째 날은 팀 별로 5개의 섬(개도, 금오도, 백야도, 여자도, 적금도)중 하나의 섬을 맡아서 탐방하기, 셋째 날은 엑스포 관람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축제인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총 1000명의 국내 그리고 외국청소년들이 참여하여 청소년들만의 축제를 열었다.

 

 

 

전국 각지, 세계 각지에서 모인 참가자들로 구성되어 한층 더 다양성을 느낄 수 있었던 제 12회 여수국제청소년축제! 여기서 한 참가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지요드벡 유느숩(Ziyodbek Yunusov)-우즈베키스탄

 

 

 

 1. 여수국제청소년축제에 참가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지인의 추천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워낙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해서 흔쾌히 지원하였죠. 저 외의 많은 친구들은 페이스북을 통해서 이 프로그램을 알게 되어 지원했다는 사람들도 많았어요.

 

2. 여수국제청소년축제만의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6일간 프로그램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전액 무료라는 것이에요. 저 같이 한국에서 공부와 함께 일을 병행해가는 사람들을 위해선 정말 좋은 기회이죠. 무료로 한국을 여행하고 한국이라는 매력있는 나라를 탐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좋았어요.

 

3.여수국제청소년축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점은 무엇인가요?

 

한국인뿐만아니라, 남아시아 국가에서 온 사람들, 유럽에서 온 사람들 등 전세계에서 온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저는 그 사람들과 같이 밥을 먹고, 활동을 한 것을 잊을 수 없을 것이에요.

 

4. 여수국제청소년축제를 통해 얻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한국인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고 존경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일본인, 태국인, 이집트인, 독일인, 러시아인 등 많은 나라 사람과 그 나라에 대해 알게 되고 친구가 되었어요. 빨리 그들의 나라를 방문해 보고 싶네요.

 

5.     12회 여수국제청소년축제가 보안해야 할 점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프로그램 진행 속도가 느려서 기다려야 할 때가 있었고, 스케쥴 조정에 있어서 문제가 생길 때도 있었어요. 하지만 저는 긍정적인 사람이고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해요. 그래서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추억을 준 여수국제청소년축제에게 정말 고맙단 인사를 하고 싶어요.

 

 

 

 

 

지금까지 참가자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면, 이제는 여수국제청소년축제를 기획하신 분들의 이

야기를 들어보자!

 

 

 

 

1. 처음에 여수국제청소년축제를 주최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사실상, '여수'란 곳은 2012년 세계해양EXPO 빼고는 알려진 것이 없는 단순한 시골동네입니다. 그래서 여수시청의 축제관광과 사람들이 모여서 어떻게 하면 여수에 대해서 알릴 수 있을까, 뭔가 다른 지역과 차별화 된 것이 없을까 하다 생각해낸 것이 청소년축제입니다.

 

청소년은 미래의 역사주인입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만의 전폭적인 축제는 찾기가 매우 힘듭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1999년부터 개최된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청소년이 문화작업자가 되는 최초의 '작업장 축제'로 관람 위주의 진행을 탈피하고 청소년 축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작업의 지시형태가 아닌 스스로 찾아가는 공동의견의 수렴 형태로 이루어진 축제여서 청소년들의 참여열기 또한 뜨겁고 열광적이지요.

 

처음에는 '여수청소년축제'라는 이름으로 청소년축제, 즉 청소년들이 부스를 운영하고 무대에서 자신들의 끼를 발산하는 청소년들의 무대가 메인이 되는 축제였습니다. 하지만 점차 해를 거듭하여 청소년들의 국제적인 교류를 위해 국내외 외국인 참가자들을 모집하자는 의견이 나와 지금의 '여수국제청소년축제'가 되었습니다.

 

2. 여수국제청소년축제가 다른 축제들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무엇보다도 청소년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한다는 축제는 국내유일 여수국제청소년축제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매년마다 개최되는 여수국제청소년축제의 첫걸음은 청소년기획단을 국내외로 모집하는 것이지요. 올해 여수국제청소년축제의 청소년기획단은 국내청소년 20명, 국외청소년 20명으로 총 40명으로 다국적기획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한국인 기획단 20명은 6월중에 미리 여수에서 사전워크숍 및 답사를 실시하였고, 본 행사가 시작되기 전 4박5일동안 국.내외 기획단원이 모두 모여 프로그램을 확정하고, 기획된 프로그램을 일일히 참여해 보며 참가자들의 입장에서 생각하여 기획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다 하였습니다.

 

3. 올해 여수국제청소년축제의 다른 해들과 다른 특별했던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올해는 영광스럽게도 여수에서 전세계가 주목하는 2012년세계해양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이 덕분에 국내외 청소년들에게 무료로 엑스포를 하루동안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는 값진 기회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엑스포에서 각 나라의 관을 구경하는 외국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나라의 관에 가게 되면 한국 청소년들이나 다른 나라 청소년들에게 관람 도중 설명을 곁들여주면서 자신의 나라에 대해 소개할 수 있던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 댄송페스티벌과 국제청소년캠프만이 열렸던 다른 해들과 달리 좀 더 풍성한 볼거리와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었습니다.

 

4. 앞으로 여수국제청소년축제가 발전할 방향은 무엇인가요?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여태껏 진행되어왔듯이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축제를 만들어 나갈것입니다. 올해까지만해도 14개국의 국외청소년들이 참가를 했는데, 참가하는 외국청소년들의 수와 국가를 늘리는 것이 최종적으로 저희의 목표입니다. 그리고 더욱 탄탄한 구성으로 댄송페스티벌과 국제교류캠프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더욱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즐거움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축제를 만들도록 저희는 노력할 것입니다.

 

 

 

 

 

 

 

 

 

 

여수국제청소년축제에 참가하는 방법?

 

 매년 열리는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매년 지원하는 전세계 청소년을 대상으로 참가자들을 뽑는다. 축제는 매년 약 7월 중순이나 말에 열리며, 16세에서 23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참가자들을 모집하고 있다.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참가자로써 지원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다.

 

1. 국제교류캠프참가(일반청소년참가자) : 여수국제청소년축제의 사전 프로그램인 캠프뿐만아니라 본 프로그램인 축제까지도 참가하는 청소년.

 

2. 자원봉사 통역요원(전국 통역가능 청소년 - 일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능통자 우선 선발) : 여수국제청소년축제는 각국에서 온 청소년들을 위하여 통역자로 활동하는 청소년.

 

3. 자원활동가(축제 전반 운영 보조) : 종합상황실운영, 홍보, 환경미화및 청소, 관광안내소 운영, 댄송운영, 국제교류캠프 및 축제 전반 진행보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여수 지역 청소년.

 

4. 청소년기획단 (청소년 캠프 기획단) : 사전축제인 청소년캠프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캠프가 열리는 3일동안 팀의 리더로써 활동하는 청소년.

 

 방학 기간동안 뭔가 알차게 보내야 될 것 같은데, 막상 하려니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때, 전세계 청소년들이 모여 자신들만의 축제의 장을 펼치는 여수국제청소년축제에 지원하여 참가해보는 것은 어떨까? 어느샌가 나도 모르게 전세계 청소년들과 함께 축제속에 빠져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될 수 있을것이다.

 

여수국제청소년축제 홈페이지 : http://www.ystour.kr/kr/festival/youth.jsp

 

 

Korean Women's Literature 30 Years

From 14 Sep 2012 to 3 Nov 2012, an exhibition of Korean Female authors was held in Young-In Museum of Literature(영인문학관). The exhibition held some personal artifacts of famous Korean female writers. Along with the exhibition, the Young-In Museum of Literature had lectures every Saturday that concerned with the writers.

Due to the belief of 'male chauvinism', women in Korea did not have the chance to pursue their dreams but rather stay at home to do daily chores. However with the start of Na Hye Sok(나혜석) in 1918, Korean women started to break out from the old belief and published works that were hardly praised by others. To commemorate the courageous individuals, the Young In Museum of LIterature not only exhibited the literary works of the writers, but also showed some articles of old newspapers to describe the challenging lives of the Korean female writers.

Who are some female writers of Korea?

1.나혜석 (Na Hye Sok)

Although born in the male-centered society of Joseon, Na Hye Sok acheived her dream to become a writer and a painter. After graduating Jin Myeong Girl's High School with an astonishing score, Na continued her studies at Tokyo Women's Art college in Japan. She became Korea's first female professional painter and the first female feminist wirter in Korea. Na Hye Sok encouraged other females to break out from the traditional roles of women and have ambitions for the things that they desired. With her first work, Kyonghui (경희), which was published in 1918, Na Hye Sok seeked for women's self discovery and the true meaning of a new life for women.

Na Hye Sok

 

Photo Credit: Daum

2.노천명(Noh Chun Myung)

Noh Chun Myung was born in the disordered period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s she graduated Jin Myeong Girl's High School and Iwha Women's University, Noh spent busy times by joining a culture employment reporter at Chosun JoongAng Daily. She also became a culture employment reporter at Chosun Daily. Later in 1940s, she became a reporter in two other departments, Maeil Shinbo and Seoul Shinmun. Noh is famous for her work, "Sa Seum"(사슴) as she described her personal solitude and sadness by picturing deer as 'an animal sad for its long neck'. Unlike other fellow writers, Noh did not show interest in political movements but rather put her effort in giving lectures at her old school.

Literary works of Noh

3.박경리(Park Kyung Li)

Park Kyung Li was also born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when the limitation on women's roles was most strict. After studying at Jinju Girls' High school (진주고등여학교), Park made her literary debut in 1955 with 'Gyesan' (Calculations). However, Park is most well-known for her 16-volume novel, 'Toji' which clearly depicts the turbulent history of Korea betwee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is highly praised novel was later adapted to other forms of art, such as television series and operas. By criticizing traditions, Park described the importance of human dignity in all her works.

Park Kyung Li

The exhibition had a great meaning its visitors. Visitors could appreciate the works of female writers who had suffered a great pressure under the society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existence. Young visito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the female writers because of the well-known works and they showed regret to the hardships the writers had faced in their lives.

The 8th Charity Flea Market-WeAJa

On the 14th of October, WeAJa Charity Flea Market was opened in 4 areas of the nation (Seoul, Busan, Dajeon and Jeonju) with the theme of 'Sharing makes the economy strong! The earth strong as well!'

WHAT IS 'The 8th Charity Flea Market-WeAJa'?

WeAJa is an event that is co-hosted by the JoongAng Media Network,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Jeollabuk-do Province. This event aims to sell donated goods and revert the sum to charity. Starting from 2005, it has raised 1 billion, 9 million and 290 thousand won for donation.(Statistics: JoongAng Daily)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is consisted of more than 33 social enterprise booths, auctions of public figure donation and JoongAng Media Network zones.

The Seoul Market was opened in Seoul World Cup Stadium North Plaza and the opening ceremony commenced the event at noon. Along with host representatives, there were many visitors to share the meaning of this event.

Flea Market

Throughout the whole North Plaza, there were numerous booths that sold products from different social enterprises. This was a great chance for promoting valuable products and introducing visitors to unique ideas. A large booth named 'Beautiful shop' sold coffee and other drinks made from fair-trade ingredients. The booth was organized by 'Beautiful Coffee', a Korean fair trade organization.

Other booths included unique dolls made from re-cycled materials. One social enterprise, 'Yonzdoll' explained that all of their products are made of materials that were collected from thrown away garments. Another enterprise named 'Touch for Good' filled their booth with neat bags made from used banners. Visitors learned the environmental contributions of these social enterprises.

Apart from social businesses, student voluntary groups participated in the flea market as well. Whimoon Boys High School's voluntary group, Doongwoori, opened a market of 100 handmade recycled notepads and 800 re-used goods. From 2010, this group has participated in the WeAJa Seoul Market and donated the profit to the Seoul Daecheong Welfare Center for th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I had the chance to hear some words from the 2012 Doongwoori's leader, Kim Woo Jin.

Could you briefly explain what ‘Doongwoori’ is?

 

‘Doongwoori’ is a student voluntary group that aims to help the elders who live alone. Our group visits senior citizens every month to share talks or give a hand to anything that they need help in. Also, Doongwoori participates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trip to the YangJae Citizen’s Forest, WeAJa Flea Market, Kimchi Making (Kimjang), etc.

 

Why did ‘Doongwoori’ participate in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We participated with the aim to help old citizens keep warm during the harsh winter by giving financial aid for heating bills through the profit we make in WeAJa Charity Flea Market.

 

What materials does ‘Doongwoori’ sell in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We sell secondhand books, clothes, stationery and donations from public figures. To add, we sell re-cycled materials that had been collected through the whole year for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What have you learnt by participating in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Through my experience in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I learnt the correct attitude of volunteering and some economical concepts. By bargaining with visitors, I learnt the ways to satisfy both the interests of the buyer and the seller. Also, I found out that volunteer activities are not limited in active helping but it can also be accomplished through fundraising.

The WeAJa Charity Flea Market did not only offer its visitors with valuable goods but it also encouraged participants to take some action to help poor nieghbours and save the planet. With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s, all gathered together to celebrate the idea of 'sharing'.

 

Fashion answers cultures

        We all derive to look good, but we all have different ways to look good.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have different eye and skin colors. Even though we all look different on the outside, people all derive the same purpose-good-looks. In order to look good, the first thing that most people concentrate on is fashion. With the start of the windy weather in October, fashion across the world is changing in a fast speed. In Korea, from October 22~28th, Seoul Fashion Week, a global fashion business event held by Seoul City to show the fashion of the upcoming season. Also the New York Fashion Week was held last month. People all want to look good. However, each culture has their unique way of looking good.

           Out of the many people in the world, who are the most interested and sensitive to fashion? As a person who just has passed one’s own teenager years, one has no doubt that the answer is teenagers. Teenagers are very sensitive and aware of what kind of clothing their friends wear. As there are Fashion Weeks in each country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clothing style also differs. Therefore, the styles of teenagers are different in these two countries.

Let’s take a look at the daily fashion differences of the teenagers from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United States of America Fashion

Andrew Droste(19)

Boys

Boys in the United States dress very dandy. In the summer they usually dress with a clean t-shirt and jeans. When it gets cold, they try not to wear too many layers. The key to their fashion in “simplicity”. This helps the boys dress very neat. Also usually tennis shoes are worn.  

 

Sarah Kraft(19)

Girls

When the key to boys fashion was simplicity, the key to girls fashion in the United States is “vivid uniqueness”. Fashion is something that defines personality and characters to many young girls. They try not to be something that someone else has. Also they are not afraid to dress short and wear clothing that many show lots of the skin.

 

South Korea

JongGeun Park(20)

Boys

Korean boys can be fashion by layering. Often they layer shirts on the inside and a knit or a cardigan on the outside. Also a new “it” item for Korean boys was tee-shirts with different colorings on the shoulder and arms. Besides jeans, they also wear cotton pants.

 

Dakyung Yoo(20)

Girls

There is a big hit in the cold weather for girls in Korea-skirt leggings. It is leggings that are connected to a skirt. On top, they usually wear knits or simple shirts as shown. They are usually afraid to show their skins off. Also more than uniqueness, they derive the same kind of dress codes.  

              Two cultures were compared through fashion. Boys seem to have much similar fashion to each other even though they are in different countries. The fashion code for boys all over world seems to be simple. Even though they may look similar, differences still exist. For example, boys in the USA like to wear their jeans very big while boys in Korea prefer to wear jeans that are their size. Yet, the girls fashion differed visibly. While one culture liked uniqueness and is not afraid to show their skin, another culture likes to be sensitive to each others’ fashion and not show too much skin. These differences do not only come from the fashion taste of each culture. Fashion is the hint to a culture. Through fashion people can see each other’s cultures. What is important is that people accept each other’s differences and acknowledge it-not discriminate it.

 

 

'청소년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ean Women's Literature 30 Years  (0) 2012.11.08
The 8th Charity Flea Market-WeAJa  (0) 2012.11.08
인천 차이나타운 중국어마을  (3) 2012.10.23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0) 2012.10.19
We Need More Scientists  (0) 2012.09.25

대한민국 속의 작은 중국

인천 차이나타운 중국어마을

 

중국에 가지 않아도 다양하고 실감나는 문화체험 가능

 

 

13억에 이르는 거대한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 그토록 많은 수의 중국인들은 중국대륙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 널리 퍼져 고유의 전통과 문화를 간직하며 활력 넘치는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교(華僑)라고 불리는 이들은 정착하는 곳마다 차이나타운(중국식 거리)을 형성하고 있는데, 영국의 런던, 프랑스의 파리,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캐나다의 밴쿠버에 생겨난 차이나타운처럼 우리나라에도 13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인천 차이나타운에 중국인의 생생한 숨결이 간직되어 있다. 인천에 화교가 정착하게 된 것은 1882년 임오군란 당시 청나라의 군인과 함께 건너온 40여명의 군역상인들이 정착한 것을 시작으로 1884년 인천 선린동 일대에 중국 조계지가 지정되면서 청나라의 영사관이 들어서고 중국식 건물들이 하나 둘 늘어나면서 본격적으로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지닌 현장으로서, 또한 지금도 중국인들이 머물며 생업을 영위하고 있는 생생한 삶의 현장인 인천 차이나타운을 무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제대로 그리고 손쉽게 중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야심차게 운영하고 있는 중국어마을 프로그램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인천 차이나타운 속 중국어마을은

 

[인천 차이나타운 중국어마을] 프로그램은 몇몇 대학이나 사설기관에서 방학을 이용하여 집중적인 중국어 연수를 목적으로 장기간의 어학연수 프로그램의 형태로 [중국어마을]을 운영하는 것과는 그 기획 의도가 출발점에서부터 다르다. 우선 [인천 차이나타운 중국어마을] 프로그램은 인천 중구 선린동에 위치한 유서 깊은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실생활과 사람을 연결하여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단기 복합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일 조계지 등 자연스럽게 형성된 차이나타운 내 역사현장들을 둘러볼 수 있는 것은 물론 한국산동예술문화원, 중국문화체험관 등 새롭게 보강된 체험현장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인천화교협회와 식당, 상점들과 같은 생활현장에서 중국인들과 직접 만나고 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비록 하루 동안의 짧은 시간이지만 문화를 이해하면서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중국문화의 독특한 공간이 다양한 콘텐트와 함께 프로그램 속에 녹아있어 미래를 짊어질 우리나라의 중고생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중국을 이해하고 그들의 중국에 대한 호기심과 지적 욕구를 채울 수 있는 출발점으로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중국어마을 체험 프로그램 개요

운영일시: 월2회 (둘째, 넷째 토요일)

운영시간: 10:00 ~ 16:00

장 소: 차이나타운 내 체험코스(중국어마을문화체험관, 한중문화관 등)

대 상: 중, 고등학생 참가인원: 70~80명

신청방법: 참가자 모집 공문 발송에 의한 학교별 신청(※개별신청 불가)

문 의: 관광진흥과 관광진흥팀(032-760-7823)

웹사이트: www. ichv.go.kr

 

 

세부일정:

09:30 ~ 10:00 접수 및 치파오 착용

10:00 ~ 10:15 홍보영상 촬영 및 오리엔테이션

10:15 ~ 10:45 친교의 시간

10:45 ~ 11:45 중국 전통놀이 체험

11:45 ~ 12:45 중국어전용 식당과 상점 탐방

12:45 ~ 15:30 마작, 경극 검보분장 체험, 중국노래 배우기

15:30 ~ 16:00 설문지 작성, 퇴소식

 

삶의 현장에서 느끼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치파오 복장 입어보기 / 우롱차 맛보기

 

한중문화관 3층 중국문화체험코너에서는 중국 청나라 시대의 전통의상인 치파오를 입어볼 수 있다. 가지각색의 치파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자들도 준비되어 있다. 치파오를 입은 채로 중국 전통 차인 우롱차를 마시면 마치 중국에 온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자장면 박물관

 

인천 차이나타운 하면 빠뜨릴 수 없는 것은 한국식 자장면이다. 자장면은 중국에서 이주해온 화교들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탄생시킨 음식이다. 현재 자장면 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은 옛날 ‘공화춘’ 이라는 음식점으로, 산둥 반도의 장인이 1908년에 처음 문을 연 음식점이다. 전시실은 총 4개로 이루어져있다. 제 1전시실에는 사람들이 ‘산동식’ 자장면을 먹는 모형을 통해 자장면 탄생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제 2 전시실은 1930년대 공화춘 식당 내부를 모형과 유물로 전시해 놓았으며, 제 3 전시실에서는 1970년대 자장면이 큰 인기를 끌었을 때의 모습을 재현해 놓았다. 제 4 전시실에서는 ‘현대문화의 상징- 자장면’이라는 주제로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 자장면이 한국의 현대 문화의 일부임을 보여준다. 또 1층 중앙계단 주변에서는 1960년대 ‘공화춘’ 주방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마작

 

중국어 마을 문화 체험관 1층에서 진행된 마작 체험은 마작만 하고 싶다는 학생이 나올 정도로 반응이 좋다. 규칙이 복잡해서 처음에는 어려울 수도 있지만 원어민 선생님과 같이 하다보면 규칙에 익숙해 져서 마작의 즐거움에 빠져볼 수 있다.

중국 음식점

 

자장면의 고향답게 화교들이 운영하는 한국식 자장면 집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중국어로도 주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일반 중국 음식점과는 다르다. 자신의 중국어 실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양꼬치, 훠거(중국식 샤브 샤브샤브)등 진짜 대륙음식도 맛볼 수 있다.

 

 

얼후(二胡)- 중국 전통악기

 

얼후(二胡)는 청나라 중기에 생긴 현악기로 줄이 둘이고 몸체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전통 악기이다. 외현(바깥 줄)과 내현(안 줄) 사이에 있는 궁을 움직이면 마찰에 의해 음을 발생시킨다. 또 운지법도 매우 단순해서 쉽게 배울 수 있다.

 

중국의 전통놀이

 

한중문화체험관 앞에 있는 야외쉼터 한중원에서 중국의 전통놀이를 체험해 볼 수 있다.

제기차기: 중국에서도 제기차기는 전통놀이이며 우리의 것과 흡사하다.

콩주(空竹): 비어있는 대나무라는 뜻으로 팽이의 한 종류이다. 빠르게 돌리면 시원한 바람소 리가 난다.

 유력구: 유력구는 태극권과 같은 느린 운동으로 라켓으로 모래가 들어있는 공을 회전시키고 상대에게 패스하는 동작으로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이다.

 

 

 

중국어마을 체험을 통한 기대효과

 

마침 중국어마을 프로그램을 마치고 나온 서울 강북구 정릉동 소재 대일 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중국어과 학생 40명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 일행 중 서정무 군은 “체험활동 대부분이 재미있고 신기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원어민 선생님과 대화하는 시간이 제일 좋았던 것 같아요. 원어민 선생님과 이야기 하면서 자연스럽게 수업시간에 배운 중국어를 직접 활용해볼 수 있었거든요.” 라며 중국인 원어민 선생님과의 대화가 회화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역시나 외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무엇보다도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자신이 교실에서 배운 것을 실제로 표현하고 소통해 보는 경험임을 다시 한 번 절실히 느끼게 해주었다. 학생들을 인솔하며 같이 참여한 같은 학교 중국어담당 신기혜 선생님 역시도 문화체험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백문불여일견이라고,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화면을 통해 배운 것들을 직접 체험해 보면서 더 가슴에 와 닿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 중국문화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도 더 커졌지 않았나 싶습니다. 학생들이 중국을 겉에서 보이는 이미지만을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중국의 신기한 문화들을 직접 보고 체험한 우리 학생들은 당장 100% 바뀌지는 않겠지만 최소한 편견이 없이 중국을 바라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위상이 정치, 경제적으로 미국을 뛰어넘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이 때, 중국의 문화와 언어에 관심이 많지만 아직 그 체험에 목마른 학생, 중국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 보다 깊은 이해를 얻으려는 학생 모두 인천 차이나타운 중국어 마을에서 중국을 느끼고 경험해 보는 것을 그 시작점으로 삼으면 좋을 것이다.

 

 

'청소년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8th Charity Flea Market-WeAJa  (0) 2012.11.08
Fashion answers cultures  (0) 2012.10.30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0) 2012.10.19
We Need More Scientists  (0) 2012.09.25
Seoul International Youth Film Festival  (1) 2012.09.16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In search for eco-friendly resources and undiscoverd organisms, scientists have turned to the mystery terrains of Antarctica. Within the land where it has not yet been affected by human touch, countries of the world seek to construct stations to embark their novel research. With the name of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Korea is planning to construct its second research station near the Terra Nova Bay in Antarctica. After a national vote, the station was named after a Korean historic figure named Jang Bogo who swept pirates off the coast in the Shilla Dynasty.

From 1st of August 2012 to 5th of August 2012, a 5-day exhibition was held in COEX to introduce the up-coming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The exhibition included booths that showed 3-D video clip models of the station, the practice of the Antarctic research and the history of Korea's appearance in the Antarctic terrain. The following are some major booths that introduced the new research station to the visitors.

1.The footsteps of the Polar Research

This booth contained information of Korea's continuous efforts and results of polar research. A large timeline was pictured on the wall that pointed out some important dates. For example, in 1978~9, Korea embarked its polar research with the South Pole Ocean Krill work. Soon after on 17th February 1988, the first Antarctic research station of Korea, Antarctic King Sejong Station(남극세종과학기지), was constructed. In April 2002, the Arctic Dasan Station(북극다산과학기지) was built and subsequently, in 2009, Korea's first research icebreaker, 'Araon-ho'(아라온 호) was introduced.

2.A land of mystery, Antarctica

With models of different animals living in Antarctica, this booth introduc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cological resources of the Antarctic. Along with rare Antarctic animals, there were displays of meteorites discovered in the region.

3.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1)

This booth showed a 3-D model of 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that is planned to be completed in 2014. Through this model design, visitors were able to form an abstract thinking of how the design will look and get a more realistic experience with the 3-D effects.

4. 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2)

This booth contained life-sized models of some features of 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to introduc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the new station has.

-A duplicated heat insulation tube

Regarding the extreme temperatures of the Antarctic, freeze-resistant heat rays and urethane foams were used for the special manufacture. Eventually, pipes that are exposed to out-door environment can be protected from freezing to burst.

-A safe plant company

With 98% of the terrain covered with ice and an average temperature of -34 degrees, plant farming is impossible in Antarctica. However, the safe plant company balances the light, temperature, water and fertilizer in order to produce plants in any climate or area. The safe plant company wil provide fresh, safe vegetation to the Antarctic Scouts who only had frozen vegetables to feed on before.

-A triple windshield

To handle the extreme cold temperatures of the Antarctic, 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minimized the external areas and applied a triple windshield to limit the energy loss.

-A sewage disposal facility

In order to protect Antarctica's pure environment, a sewage disposal facility has been imported to re-use the waste water in the research station. The sewage disposal facility will apply a high-tech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internal circulation to create reusable water.

-A special wall and floor system

Acknowledging the extreme climates of the Antarctic, modular walls and floors have been selected to optimize the field construction in Antarctica. As a normal construction does not fit with the cold temperatures of the Antarctic, fabrication is completed in Korea and building materials are transported to Antarctica. Also, such walls and floors are designed with materials that are resistant against fires and noises for the safe and comfortable living of Antarctic Scouts.

-Facilities that have an efficient use of energy

The Jang 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has a wind generator that uses the strong winds of the Antarctic climate as its energy source. This power plant is not affected by the wind direction and it can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along with the fuel usage. Also, all lights within the research station are made with LED bulbs for energy saving. To add, LEDs do not require replacements and such eco-friendly method of lighting do not have any harmful materials such as lead or mercury.

Other than these booths, others provided recent researches of climate changes to awake the consciousness and the will to take action. Also, visitors had the chance to experience activities that were related to Antarctica. This meaningful exhibition allowed its visitors to develop a good understanding of the new research station and the special facilities it holds. Regarding the efforts that are being put into the construction, this exhibition gave a chance for peop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research stations in the polar region.

 

We Need More Scientists

 

 

Photo credit to WCUIC

 

"We need idol stars, but what we need more are scientists." This is a famous quote from a recent Korean commercial. In this commercial, the need for more scientists is publicly presented to the viewers. Scientists are experts in the field of fundamental science. Lately, however, young people have shown a preference for major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medical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majors showing utilitarian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winners chose to attend medical school. According to the Dong-A Daily News and staffing agency Incruit Corporation, thrice as many companies gave special preference to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majors this year as compared to 2010. These majors are obviously preferred by society and individuals. As the interest for certain kinds of majors are on the rise, interest in other majors has been waning. The majors that are less popular are in the field of fundamental studies.

 

There are many types of fundamental studies. World Class University (WCU) is an organization that focuses on the fundamental sciences. WCU focuses on research studies and invites elite foreign researchers and scientists to Korea. The 2012 World Class University International Conference was held on September 14. The primary purpose of this conference is for international scholars to share their research developments. The secondary purpose is to support the dreams of young students who wish to grow in the research field. During this year’s conference,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meet Nobel Prize laureates and receive educational advice from them. To learn more about students’ aspirations to become contributor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following is an interview with Dr. SeongYong Ahn from the Research University Promotion Team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r. SeongYong Ahn

 

Q. What is the main goal of the WCU International Conference?

 

A. The WCU International Conference (IC) is an international academic event that is hosted in conjunction with the World Class University Project, ru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This project is an opportunity for Korean and foreign scholars to share their research findings. WCU IC’s main purpose is the same as the reason for its founding. The WCU Project’s main goal is to raise the level of Korean universities so that Korea can bring in the research culture of scientifically advanced nations and furthermore gain recognition on an international level. WCU wishes to form an infrastructure for Korean universities to reach international standards.

 

Q. “Junior Session” is an opportunity for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present their topics and listen to various opinions and suggestions from Nobel Prize laureates. This shows a promising future in the sciences for Korean youths. In order for Korean students to have a promising future, what kinds of support structures do we need?

 

A. First, the basic perception on pursuing one’s career in the sciences and engineering needs to change. Currently, students are still stuck in an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via cramming-based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social perception of well-performing students is that they neglect science and engineering. Those who do pursue care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often consider medical school their ultimate goal. In order for science improvement to happen, many top students need to make an effort to be interested in the fundamental sciences. Competitions such as the Science Olympiads cannot have much meaning if their only purpose is to enter a better university. Youths should cultivate personal interest in the sciences and schools and government programs should support and provide programs that will help draw students’ attentions to this field. Korea needs a social system that can grow out of cramming-based teaching methods and grow into an environment where science prodigies can grow.

 

Q. In order for there to be a first Korean Nobel Prize laureate in the sciences, what kind of changes are needed for Korea’s education?

 

A. Nobel Prize laureates are not decided by education. Even if there are academic prodigies, it will be impossible for them to earn Nobel Prizes until Korea changes scientists’ research environments and culture. First, government supported policies need to change in order to support scientists to pursue creative research. If research results are demanded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as in the present reality, they will lose the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by the Nobel Foundation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example, Japan continues to provide research funding as an investment for the future. Even if the results are not visible right away, they provide funding continuously for more than ten years. Through this kind of system and research culture, they have been able to rise to a global level in the field of fundamental science and as a result have turned out many Nobel Prize laureates.

 

Q. What kind of improvements can Korea’s education gain by inviting distinguished foreign scholars to this country?

 

A. By inviting distinguished foreign scholars to Korea, the biggest outcome Korea can gain is a mutual exchange in advanced education. This also creates international networks for Korean scientists. International scholar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can share and debate each other’s research topics. Through such networking and active communication, Korean scientists can develop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toward their science research. Distinguished foreign scholars coming into Korea have worked as a bridge for our scientists to increase their international awareness. Therefore Korean scientist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continue their education in leading foreign universities or conduct research in conjunction with foreign scholars.

 

*These opinions are the personal opinions of Dr. SeongYeong Ahn, not the opinions of WCUIC.

          

            The 2012 World Class University International Confere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fundamental sciences. By sharing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with scientifically advanced nations, Korea hopes to learn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sciences and research.  Not only should people concentrate on the fundamental sciences, but they should also emphasize basic studies such as the humanities. It is welcoming news that WCU is trying to reinforce the importance of the fundamental sciences through such events. The future of Korea’s fundamental science development is in the hands of the next generation. Who knows? Perhaps one of the student participants may end up becoming the first Korean Nobel Prize laureate in the scienc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