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토요일날 뭐하니? 난 토요창의학교 간다~

 

초,중,고에서  전면적으로 이루어진 주5일제 수업으로 이제 청소년들에게 토요일날은 학교를 가지 않고 자율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날이 되었다.

주5일제 수업으로 인해 주말 활동이 필요한 청소년들, 그리고 사교육비가 늘어나면서 토요일을 아이들과 함께 어떻게 보낼지 고민하는 학부모들이라면 비영리단체나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주말활동 프로그램을 찾아보면 어떨까. 

 

집에만, 학원에만 있지말고 다양한 체험하러 가자!

일례로 고양문화재단이 운영 중인 토요 창의학교는 토요일날을 다양한 체험활동들로 보낼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저렴한 비용의 프로그램이다.

 

 

                  토요창의학교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이 있나요?

 

창의특강이라 불리며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창의력 향상을 휘한 명사초청강연은 매달 1번 하루의 2번의 강연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각 분야에서 열심히 활동하며 학생들에게 진정한 멘토가 되어주는 많은전문가들의 강연이 있었다.

 

예를 들어 남극의눈물, 아마존의 눈물 등을 제작한 김진만PD, 구글코리아의 김태원 씨등이 상반기,하반기로 나뉘어 7번의 강연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 창의마당이라 불리며 초등학생 및 가족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주제별 야외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주제별로 사물놀이, 과학창의력, 창의마술, 책만들기, 종이시계만들기 등 온 가족이 함께 주중에 나누지 못한 시간들을 함께 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마련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교실이라 불리며 초등학교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체험형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있다. 구체적으로 야외체험(역사탐방,생태나늘이), 공연예술(타악연주, 생태연극, 댄스 아카데미), 시각예술(북아트) 등이 있다.

 

  토요창의학교 문보희 강사 인터뷰

 

 

1.토요창의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시게 된 계기는?

 

고양문화재단이 처음 생겼을때부터 인연을 맺어 재작년 문화예술 모니터링을 거쳐 작년엔 토요창의학교를 위한 간담회를 수차례 걸쳤습니다.

워낙 저는 문화예술을 좋아하고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에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아이들(학생)과 나누면서 하는 수업이 마음에 들어 강사 제의가 들어왔을때 선뜻 수락하게 되었습니다.

 

2.어떤 토요창의학교 수업을 진행하셨나요?

 

저는 토요창의학교가 열리고 있는 고양어울림누리 근처에 성라산에 있어 성라산 사계절 생태 나들이 강사로 활동했습니다.

또한 매수업마다 아이들에게 환경에 관한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아이들이 환경에 친근하게 다가가기위해 꽃, 열매, 나무 등을 위한 만들기 수업 등을 함께 했습니다.

 

 

 

3. 올 한해 토요창의학교 강사를 마치면서 소감은?

 

고양 토요창의학교가 최근 열린 방과후 학교대상 시상식에서 지역사회 파트너 부문(지방자치단체 및 비영리지역 사회기관)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강사로서 참여한 것에 대하여 더 큰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고 아이들에게 학교 교실 안에서 발견하지 못한 잠재력들을 발견하게 해준 것이 가장 큰 보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성화고등학교, 공부못하는 애들이 가는 학교?

 

 

우리나라에 있는  고등학교는 쉽게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특수 목적 고등학교(특목고),특성화 고등학교.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는 학교는 인문계 고등학교, 소위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가는 학교는 특목 고등학교라고 지칭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면 특성화 고등학교는?사실 아직까지는 누가 “너 어느 학교 다녀?”라고 물어보면 “나 00특성화 고등학교다녀”라고 당당하게 말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사람들의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편견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특성화고에 재학하는 학생들이 인문계고, 특목고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성적이 낮고 공부량도 적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점차 특성화 고등학교는 자신들의 학교취지에 맞게 발전하고 있고 무조건 공부하기 싫다고 특성화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학생 대신 공부가 아닌 다른 길로 자신의 인생을 계획하고 싶은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고 있다.

또한 몇몇 특성화고는 학교취지에 맞게 잘 발전하여 특목고를 갈 수 있는 성적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뜻을 이루고 자신의 비전의 관련된 활동들을 하기 위해 선택하는 학교인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고양영상과학고등학교2 김지수학생 인터뷰

 

 

1.고양영상 과학고등학교(특성화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된 동기는?

 

저는 중학교 3학년말에 고등학교 진학문제를 두고 많은 고민을 했었고 또한 부모님과 고등학교 진학에 대해 약간의 갈등이 있었습니다. 성적은 인문계 고등학교를 진학해도 무방하였지만 저는 저의 진로에 관련된 고양영상 과학고등학교로 진학하고 싶었습니다. 다양한 미디어관련 실습위주의 수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죠.그래서 부모님과 긴 상의 끝에 고양영상 과학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2.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특성화고등학교 하면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사실 저희 부모님도 특성화 고등학교에대한 약간의 부정적인 생각 때문에 제가 고등학교 진학문제를 두고 갈등을 겪은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부모님이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시고 공부하기 싫다는 이유만으로 특성화고를 진학하는 학생들 대신에 자신의 확고한 비전을 위해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하십니다. 따라서 지금 특성화고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는 분들도 특성화고는 어떤 수업들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비전에 있어 어떤 도움이 되는가를 아신다면 부정적인 시선은 많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3.자신의 비전에 있어 학교가 많은 도움이 됩니까?

 

일단 대부분의 수업들이 저의 꿈과 관련된 미디어 계통 실습 위주로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모두 협력해서 이루어가는 수업들이기 때문에 저의 꿈인 PD로 진로를 찾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10개국 청소년들이 함께 만들어간 제2회

 아시아 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

 

 

아시아 태평양 환경포럼이 4박 5일에 걸쳐 성남시청에서 진행됐다.

제 2회를 맞는 이번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은 작년보다 더 큰 규모로 제10개국 청소년들이 모여 시작되었다.

한국, 호주,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카자흐스탄, 라오스, 네팔까지 정말 다양한 나라의 청소년들이 한국에 직접 와 함께하는 포럼에 참가한다는 것은 흔치 않은 기회인 만큼 참가자들의 열기는 뜨거웠다.

포럼 기간에는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의 원인과 실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각 주제에 대해 토론, 현장 방문, 오염도 측정,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10개국 대표 청소년들이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참가자 학생 인터뷰 

 

- 고양외국어고2 백주라, 퇴계원고1 정윤상, 한광고2 김승환

 

1.2012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에 참가하게된 동기는?

 

백주라: 학교에 2012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 공지가 왔는데 담임선생님께서 제가 평소에 환경에 관심이 많고 장래에 환경관련 비전이 있다는 것을 아셔서 참가하기를 권유받아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정윤상: 평소에 생물학(특히 곤충학과 동물행동학)에 관심이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환경에도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던 중에 학교 선생님이신 어머니께서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에 참가해보지 않겠냐고 권하셔서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김승환: 예전부터 해오던 환경 보호 동아리가 있었는데 동아리 선생님께서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을 소개해주셨고 참가해보면 재밌을꺼 같았고 나말고 다른 친구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어디까지 있나 궁금하기도 했기 때문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2. 2012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기간동안 가장 좋았던 점은?

 

백주라: 포럼에서 느낀 좋은 점이 많지만 그 중 가장 좋았던 점은 여러 국가에서 온 청소년들과 한국 참가자들이 함께 환경문제는 물론 문화에 대해 서로 배우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친해질 수 있었던 점입니다. 참가자들의 상식과 생각의 깊이가 깊어서 배울 점도 많았습니다.

정윤상: 다 좋았지만 특히 외국인들과 많이 친해질수 있었던것, 환경캠패인을 해볼수 있었던것, 여러 나라의 문화를 접해볼수 있었던것, 여러 나라의 생태계, 환경실태에 대해 알아볼수 있었던 것들이 좋았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좋았던것은 다양한 외국인 청소년들과 친해질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김승환: 일단 어른들이 아닌 내 또래 청소년들이 주체가 되어서 한다는게 가장 좋았고 또래 다양한 나라의 청소년들과 이야기하고 친분을 쌓을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3. 2012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 기간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프로그램은?

백주라: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으로는 환경A.D(광고)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참가자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재치가 반영되어 환경문제에대한 이슈를 부각하고 사람들을 일깨울 수 있는 내용이 인상깊었습니다.

 

정윤상: 문화가 다름에도 환경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에서 우러난 협동심을 원동력으로 여러나라 청소년들과 함께 환경 캠패인을 해본것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김승환: 10개국 청소년들이 각자 나라의 전통의상을 입고 다같이 모여서 자신들의 나라를 소개하며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10개국의 청소년 95명을 포함, 대학생 자원봉사자와 해외인솔자 등 모두 122명 서로서로 협동해가고 교류해나가며 정말 잊지 못할 4박 5일간의 일정들이 만들어낸 제2회 아시아.태평양 청소년 환경포럼이었다.

 

 

 

 

 

 

 

한국 고등학생의 관심사, 유학?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다같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수업

 

유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당연히 좋죠. 틀에 박힌 수업을 듣지 않고 피드백이 확실한 수업을 들을 수 있잖아요.” “시험에 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다양한 클럽활동도 즐길 수 있잖아요 .그래서 유학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요”

몇일간 주변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비슷한 대답들을 했다.

한국교육하면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떠올리는 단어는 '주입식' 교육일 것이다.

지금은 서술형 문제가 많이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5지선다형의 문제유형들이 시험문제의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전세계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 스트레스가 가장 높다거나, 10대 자살률 원인 중 1위가 공부라거나, 자살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등의 소식도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래서 지난 몇일 간 고등학교학생에게 유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을 때 긍정적인 답변이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실이 답답하고 힘들다고 해서 확고한 비전도 없이 유학을 선택하는 것은 막연한 도피처를 찾고 싶은 마음의 표현일 수밖에 없다.

단순히 한국 교육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유학을 선택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경제가 나빠지면서 매년 급증하던 유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하는데 그만큼 유학에는 가정의 경제력에 크게 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유학을 해본 경험이 있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은 유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근거도 장단점을 잘 파악해보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그래서 각각 교환학생과 장기 유학의 경험을 갖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2011년 미국교환학생을 갔다 온 A 학생, 5년간 미국유학을 갔다 온 B 학생

 

1.유학을 언제 가게 되었고 무슨 이유로 가게 되었나요?

: 2011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미국 워싱턴에 있는 공립고등학교로 교환학생을 다녀왔습니다. 가게 된 이유는 한국고등학교에 입학해 6개월간 다니면서 아무런 미래에 대한 계획도 없었고 틀에 박힌 수업, 생활로 인해 고민할 시간도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수업과 다양한 체험들을 경험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중학교 2학년때 가게 되었고, 유학을 가게된 동기는 처음 엄마의 권유가 있었고 저도 고민 끝에 가고싶은 마음이 있어서 가게 되었습니다.

 

2.유학기간동안 제일 좋았던, 기억에 남는 점은?

: 제일 좋았던 점은 학교 농구 동아리에서 친구들과 함께 농구경기를 재미있게 한 것입니다.사실 한국고등학교 체육시간을 보면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남학생들만 수업에 참여하며 축구를 하고 여학생들은 벤치에 앉아 수다를 떨며 체육활동을 잘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이런 모습과는 전혀 달리 남녀노소 각자 하고싶은 운동을 재미있게 배우고 경기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기억에 남는 점은 한국 고등학교 수업의 대부분은 선생님들이 주체가 되어 수업을 하시는데 미국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진도가 덜 나가더라도 학생 모두가 참여한다는 점이었습니다.

: 유학기간 동안 제일 기억에 남았던 건 당연히 외국친구들과 지냈던 학교생활입니다. 외국친구들과 함께 학교생활을 하면서, 제가 미국에 가기 전 가져던 그들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들을 지울 수 있었고 그들의 문화나 가치관을 더 자세히, 직접 알게 되었습니다.

 

3.한국 교육과 비교해서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 위와 비슷한 답변으로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가는 토론식 수업,다양한 실외적 체험활동과 과학시간에는 실험활동들이 주를 이루는 수업이라는 점이 차이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B : 제가 있었던 미국고등학교 학생들은 사교육은 거의 하지 않고 자신들이 스스로 공부해온 실력에 맞게 대학을 가는 편이어서 공부에 크게 스트레스를 받는 생활을 하지 않고, 여러 활동 즉 예를 들어서 운동(축구팀,배구팀,농구팀등등) 아니면 악기다루는것(피아노,플룻등등)들 즉 다양한 체험활동이 주를 이루는 교육이었습니다.

 

4.유학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 자신이 가고자 하는길이 확고하고 자신의 뜻이 있을 때 선택하면 인생에서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단순히 한가지의 언어만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곳에서 직접 살면서 그들의 문화나 가치관 그리고 그들과 생활하면서 여러가지 경험을 쌓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산타원정대

 

 

12월 25일은 전 세계 사람들이 손 꼽아 기다리는 크리스마스다.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크리스마스는 특별히 더 따뜻했던 크리스마스였다. 소외되어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 없는 어린이들을 위해 직접 산타가 찾아가 방문하고 선물도 주는 산타원정대가 있었기때문이다. 이러한 산타 원정대는 초록우산 어린이 재단이 주관이 되어 진행하며 올해로 6회째가 되었다. 소외된 어린이들의 작은 소망이지만 소중하기에 소원을 들어주는 초록 우산 어린이 재단의  홍보팀 정수진씨를 인터뷰 했다.

 

 

1. 초록우산 어린이 재단에 대해 소개해주세요.(인터뷰에 응해주신 분 소개도 해주세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홍보팀 정수진입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시시각각 일어나는 따뜻한 나눔 현장을 미디어 매체에 실어 나르는 언론홍보담당으로 활동 중입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국내외 어린이들을 돕는 아동복지전문기관입니다. ‘초록우산’에는 아이들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고 사랑을 담아 펼친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재단은 1948년 한국전쟁 직후 부모 잃은 전쟁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하여 64년 동안 오로지 전 세계 어린이들의 행복과 안전한 삶을 위해 일해 왔습니다. 빈곤가정 어린이 1:1 결연활동을 국내 최초로 실시한 재단은 50만 국민 서명으로 이룬 아동 성범죄자 공소시효 캠페인 <나영이의 부탁>, 가난하지만 꿈은 부자인 아이들에게 연간 800만원의 재능양성비를 지원하는 인재양성서비스, 국제어린이재단연맹(ChildFund Alliance)을 통한 전 세계 58개국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언제나 아이들의 행복을 응원합니다.

 

 

2. 이번에 산타원정대 행사를 진행하신 것으로 압니다. 산타원정대를 만들게 된 계기와 산타원정대가 하신 일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반 가정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나 어린이날이 일 년 중 가장 손꼽아 기다리는 날이라면 저소득층 아이들에게는 여느 때보다 쓸쓸하게 느껴지는 날이기도 합니다. 산타원정대는 이러한 아이들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갑니다. 후원자․자원봉사자들이 직접 저소득가정 집집마다 찾아가 크리스마스 깜짝 선물을 마련해주기 위해 기획된 산타원정대. 행사는 적게는 몇 십에서 많게는 천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함께 모여 진행됩니다. 산타의 유형도 참 다양합니다. 발대식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산타’, 선물 준비부터 아이들 가정에 선물을 배달하는 ‘선물산타’, 산타원정대 발대식에 참여한 아이들과 즐겁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주는 ‘놀이산타’가 모두 한 마음으로 어린이들의 소원을 위해 활동합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는 전국 22개 지역본부가 있으며 산타원정대는 매년 겨울마다 각 지역본부 별로 실시합니다.(※사정에 따라 실시하지 않는 지역도 있음) 2012년에는 대구, 전북 등지에서 눈에 띄는 활동이 전개됐고 전북에서는 전북미스코리아들도 직접 산타로 변신하여 행사의 뜻 깊은 취지에 동참했습니다.

 

 

3. 청소년이 어려움에 처한 어린이를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저금통 동전 모으기부터 소액후원까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청소년들도 용돈을 아껴 어려운 아이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나눔이 습관이 되면 후원금은 추후에라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돈이라도 꾸준히 나눔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단의 이홍렬(방송인) 홍보대사는 “나눠야지, 나눠야지, 생각만 하면 평생 나눌 수 없게 된다. 지금 당장 월 1만원부터라도 후원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꼭 현금 후원이 아니더라도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는 전국 약 60여 개의 지역본부, 복지관 등에서 상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기관 청소와 같은 단순한 자원봉사부터 중증장애영유아들을 돌보거나 어린이들의 권익을 지키고 모금활동에 나서는 가두캠페인까지도 직접 참여해볼 수 있어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의 자원봉사자들은 ‘반디(VANDI)’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으니 관심이 있다면 반디 홈페이지(vandi.childfund.or.kr)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어가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4. 마지막으로 청소년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해주세요.

 

 

지난해 12월, 기초생활수급가정에서 어렵게 생활하던 한 여고생이 서울대학교 인문학부에 합격했습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으로부터 2004년부터 지원받던 이 여고생의 부모님은 뇌성마비 1급 장애를 가진 장애우입니다. 만약 누구도 이 아이의 재능을 눈치 채지 못했거나 도움의 손길을 먼저 내밀지 않았더라면 아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한 아이의 삶을 바꿀 수 있습니다. 연말에 거리의 자선냄비를 무심코 지나다가, 혹은 식당 카운터에 비치된 저금통을 보면 동전 몇 개라도 보태고 싶은 마음이 드는 여러분이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2013년 새해 다짐에 ‘착한 일 한 걸음’ 보태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인터뷰는 서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어린이를 돕는 일, 어린이재단이 합니다!”

국내 최초 불우아동 1:1 결연사업, 50만 국민 서명으로 이루어낸 아동성범죄자 공소시효 폐지, 가난하지만 꿈은 부자인 아이들을 위한 인재양성 등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만들어온 모든 것이 19만 후원자님 덕분입니다. 아동실종․유괴예방사업,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 예방 교육 등 어린이들의 안전한 삶을 위해 뛰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세계 58개국 어린이들을 돕는 국제어린이재단연맹과 함께 일합니다.

후원문의(희망나눔센터) 1588-1940 초록우산의 활동 자세히 보www.childfund.or.kr

 

 

 

 

 

Education Donatio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various meaningful volunteer activities. One of the volunteer activities that students perform is 'education donation', an act which senior students teach basic academic works to children in need. While volunteering students have a chance to gain more knowledge, they also spend their efforts for children living in poor environments. For those children who do not even have the chance to get education, this meaningful activity has bestowed a light of hope for them. This activity is held in numerous organizations, youth centers and even in churches throughout the nation.

Some places to seach for Education Donation:

 

Korea Nanum Volunteer Service Inc.(대한나눔복지회)

Photo Credit: http://cafe.naver.com/knws/

 

 

 

 

 

 

 

 

The Korea Nanum Volunteer Service Inc.(대한나눔복지회) manages a group called the Korea Nanum Youth Volunteer Service (대한나눔청소년봉사대) which is a noncommercial organization consisted of many teenage volunteers to give social service to the elders. Among its meaningful activities, the Korea Nanum Youth Volunteer Service (대한나눔청소년봉사대) cooperates with other youth organizations to help their volunteers participate in education donation. Teenage volunteering takes place every saturday and during holidays as an ordinary program.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cafe.naver.com/knws/

 

Good Neighbors (굿네이버스)

Photo Credit: http://blog.naver.com/dmsruddnwn?Redirect=Log&logNo=40175867997

Good Neighbors is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established in 1991 to protect the lives and human rights of poor world citizens and has cared for health and peace along with the United Nations. Good Neighbors also organizes volunteer activities to put 'share' 'volunteer' 'social contribution' into action. Good Neighbors has made an agreement with the Western Incheon Office of Education Support (인천시서부교육지원청) to mature students for competence and talents. Good Neighbors has organized many winter education don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of Gangseo-gu/Yangcheon-gu. Many volunteers got involved to ensure the safe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eir hidden abilit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www.goodneighbors.kr/main.asp

 

 

Local Children Facilities/ Youth Centers(지역별 아동복지관/청소년수련관)

Photo Credi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984537

Many different children facilities and youth centers have added education donation programs to open children to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hey can enjoy. Children facilities and youth centers of different regions have cooperated with different organizations to invite skilled senior students for simple and enjoyable lessons. For young children in Chlidren Facilities, the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cuses on building a good basis for their start in studying and for the adolescents in Youth Centers, the lessons makes sure that the problems children face with their school work are solve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the web page of children facility or youth center nearest from your resident.

 

 

 

With great  luck, I had the opportunity to have a talk with an Apgujeong high school student Yoon Hee Sung (18), who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donation program in a church for two years.

 


 

Q> Looking back two years, what was it like starting this volunteer activity?

At first, I didn't really have much courage and I still feel shy and uneasy when I think about my first day at the church. Since I'm not that kind of an open person, I don't really speak much and I hate standing in front of other people I do not know. I really wondered if I could get along with this well.

 

Q> What did you learn while teaching children at the church?

As I got used to giving lessons to children and sharing conversations with them, I started to get really talkative and changed into a teacher who is very eager and passoinate about her learners. Sort of like a mentor. I really wanted to tell them stories about my days at school and some fun jokes, too. I learnt that studying is not about accepting the lessons being taught. What is impotrant is that the children enjoy the materials that they and I have gone through together.

 

Q> What did you like most about this program?

To be honest, I first decided to take part in this activity for filling up my volunteering time. But when it was time for me to finish and go back to the church to get the volunteer certificate, I didn't want to show it to my students and felt ashamed of myself. All the effort and time I had spent for this program seemed worthless. The true beauty of this program is that it helped me to develop my skills of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and it was such a pleasure to help children with the best thing I can do.


 

 

The education donation program is very rewarding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it is more than a volunteer activity. This program hopes to mature successful individuals to become sound civilians for the future society.

 

Change of Sharing Cultures through the Society's Interest

    New trend of sharing through talent giving &  K-POP

One of the performance team performing

     A new trend of sharing is becoming a trend in Korea. For example, there is the 'Give Concert' by KBS. On 14th of July, 2012, KBS is holding 'Give Concert'. 'Give Concert' is concert with K-POP stars. The money earned from the concert is donated to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e(IVI). Like the 'Give Concert', lately there has been this kind of trend of sharing starting in Korea. Especially, this kind of 'giving culture' is a rising topic in our country.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K-POP, K-POP concerts are held in the meanings of sharing. Lately there is a new trend of sharing through sharing K-POP. Usually, these sharing are done by K-POP stars such as idols like Girls Generation, Infinite and etc. Therefore people think that only K-POP stars can be a part of this kind of sharing. However, there is one group that consits of regular people sharing K-POP as a meaning of sharing. This group is 'Over The Rainbow'. 'Over The Rainbow' consists of non K-POP stars but regular people. Over The Rainbow is a team that consists of staffs and performers. Their purpose is to help the orphans in Thailand through earning support. These people prepare K-POP performances and share to others.

     Over The Rainbow held the Thailand Lampang Orphanage Sponsor Concert on the 2nd of June at God's Vision Church in Seoul. This concert is held every third Saturday and Sunday of the month. It is held to sponsor children that lost their parents through drug war. Through diverse K-POP, they wish to enjoy the festival and help neighbors. People dance and sing. These voices and moves are to help the others. Today I interviewed Hayeon, the manger of the Over The Rainbow.

 

Q. Why was this even with the theme as a K-POP concert?

A. The reason for making K-POP concert the theme of our event is because K-POP is currently the most popular Korean culture in and out the country. We wanted to show a performance that lots of people can like. When we perform in Thailand, when we visit, the reaction is great. Since K-POP has a repetitive melody and a fun tune, no matter what country you are from, how old you are or your gender does not get in the way to enjoy this music. Also another strong point is that if we just have speakers, we can perform anywhere. Whether we perform on the street or on a big stage, we want to show our performance to anyone who is willing to enjoy with us.

Q. How can you participate in this festival?

A. Anyone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is festival can contact me. This festival doesn't only require dance or singing. Anyone with the heart and time to share with others can be a part of this festival. Through a quick interview about your personal interests in the field to share or hobbies, you can become a part to prepare for our festival.

Q. What was the purpose of this festival?

A. This festival's purpose was to 'Share Happily'. Korean teenagers forced to live nicely and with effort. However it is hard for them to be exposed to where they can do such nice actions. There is a saying that playing is bad. We wanted to show that that is a wrong saying. We wanted to share the thinking of sharing and playing together.

Q. What kind of global meaning does this festival have in the global century?

A. Soon Korea will be part of the '20-50 Club'. '20-50 Club' is a club that only developed countries can be a part of. Per capita income of over twenty thousand dollars and a population over 50 million is the requirement to be a part of this club. Currently countries that are part of this club is Japan, United States of America, France, Italy, Germany and United Kingdom. There are only six countries. In this year June, Korea is expected to have a population of over 50 million. So Korea will be the seventh member of this club. Many countries agree that Korea's fast growing speed from the war is a miracle and this may be the reason for the joining. However unfortunately, Korea is criticized for not being a developed country in the culture field.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due to the donation culture. In the 2010 'World Donation Index' Korea ranked 81st. It's sad to know that Korea ranked so low on donation. Through our festival, we want to help Korean culture of sharing to spread. We wish that Korea can grow as a country that not only has a strong economic growth but also a strong culture of sharing. We do not want to limit to any country or lay borders. By one strong heart we wish to make a fantastic stage and performance of sharing.

    

Over The Rainbow not only performs in Korea but also visit Thailand and perform there. There are actually many organizations of charities that shares K-POP. These organizations share K-POP as a meaning of sharing in foreign countries. Then what makes Over The Rainbow special? First, they are a part of a new trend of sharing. This new trend can be defined into two category. The trend of rise of K-POP and the trend of sharing through talent giving. Secondly, non-K-POP stars can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Lastly, it is the only group that specializes in regular people's sharing through K-POP performances. There are many organizations that seem similar to Over The Rainbow. Yet, theses differences separate this group from other charity groups. Now sharing is not only 'just sharing'. Sharing is now relative with the society's interest and the country's specializations. Now Korea is heading toward the new culture of sharing through its K-POP-forming a new trend of sharing.

 

More information on Over The Rainbow is at http://www.facebook.com/gvcrainbow

Also if one wishes to be a part of Over The Rainbow, you can do so by contacting through facebook.

 

 

Video credit to Over the Rainbow

 

 

지금은 창의력 시대

 

 

21세기는 흔히 '창의력시대'라 일컬어진다. 전세계에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스마트폰 열풍이 불어닥친 이후 스티븐잡스의 창의력이 더욱 주목을 받게 된 것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무관치 않다.

 

그러나 이렇게 멀티미디어매체가 점차 발달하고 머리보다는 눈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청소년의 생각하는 힘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줄어들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현재의 청소년 중 상당수는 어릴 때부터 창의력을 길러준다는 장난감을 갖고 놀았다. 그러한 장난감 중 대표적인 것은 우리나라 제품이 아닌 '레고' 등 외국인들이 만든 것이었고,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한국인들이 문제의식을 갖고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그 중 '포디프레임'이라는 제품이 이미 한국을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창의력을 길러주는 장난감을 수입하는 나라에서 수출하는 나라로 바뀔 수 있을까?

 

그러한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해 포디프레임 개발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포디프레임을 개발한 이유는 뭔가요?

 

A. 제가 포디프레임을 개발하게 된 크게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세상은 점점 복잡해지고,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이해하고 알아야 하는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것도 설명하기 어려운데 보이지 않는 것을 이해시키는 일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지 않습니까? 더욱이 첨단화된 입체 구조물을 사람들에게 쉽게 설명하기는 더 더욱 어려운 문제입니다.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하면 풀 수 있을까 고민하다 포디프레임을 개발하였고 이와 비슷한 이유로 학생들의 학교 교육에 대하여 생각해보았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매우 어려워 하는데 칠판, 책으로 하는 평면적인 수업이 아니라 포디프레임같은 입체적인 제품을 이용하여 직접만들어 보고 스스로 깨닫고 익히며 어떨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두 번째로는 창의력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창의력 있는 인재가 글로벌 리더로 각광받는 시대에 창의력을 길러주는 제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자신이 머릿속에서만 생각했던 것들을 직접 손으로 만들 수 있게끔 말입니다.

 

Q. '제 3의 흙'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포디프레임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자유로운 상상을 구체적인 구조물로 무한히 표현할 수 있다는 것과,  교구의 재료가 가볍고, 적은 재료로도 튼튼한 구조물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Q. 올해 5월경에 스웨덴으로 포디프레임을 이용하여 봉사하러 가는 중학생들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무엇인가요?

 

A.  스웨덴은 창의력 교육으로 인정받는 국가인데요, 우리나라 학생들이 포디프레임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스웨덴에 가서 그곳 초등학생들에게 포디프레임을 이용한 교육 나눔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포디프레임의 사전적 의미는 ‘4차원’(four dimension) + ‘프레임’(frame틀 또는 뼈대, 구조, 짜임새, )을 뜻하는 합성어이다. 포디프레임을 통해 사용자(유아에서 어른까지)가 사물이 구성되어가는 것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이름을 굳이 외국어로 붙인 것은 글로벌 시대에 맞춰 국내에 머물지 않고 세계로 나가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실제로 이러한 의지가 서서히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데 한중일 포디프레임 국제교류를 비롯해 지금까지 미국, 스웨덴, 핀란드, 오스트리아, 중국, 일본, 홍콩 등에 포디프레임을 소개하는 행사들이 펼쳐졌다. 우리 장난감이 세계로 뻗어나가 세계 청소년들의 창의력을 길러주는 시대가 멀지 않은 것 같다.

 


 


 

 

우리나라는 2011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의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 원조 '받던 국가'에서 '주는 국가'로 바뀐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 전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공식적으로 원조국가가 된 만큼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에서 여러 개발도상국 국가에 유상 및 무상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런 국가 차원의 
원조는 소프트웨어 측면보다는 도로와 건물을 지어주는 등 하드웨어에 많이 집중되어 있어서 원조를 받는 현지인들이 실질적으로 얻는 게 많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가령 도서관을 지어줘도 도서관을 채울 책과 도서관을 운영하는 사람들, 그리고 도서관에 사람들을 불러모을 프로그램이 없다면 도서관은 하나의 건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물고기를 주는' 방식의 원조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는 데 기인한다이런 중에도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사람들의 모임이 있기에 그 모임을 소개하고, 대표 활동가와 인터뷰를 해 보았다.


 

재능기부를 하는 사람들의 모임, 꿈꾸는 아프리카 도서관

 


'꿈꾸는 아프리카 도서관'은 정식으로 등록된
NGO는 아니지만 여러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운영되고 있는 모임이다. 조각가, 웹디자인, 컨설턴트 등 다양한 배경과 직업을 가진 젊은이들이 뭉쳐서 아프리카 도서관을 위해서 기획 및 홍보를 하고 현지에 가서 도서관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꿈꾸는 아프리카 도서관의 대표 활동가, 정은혜 씨

 


1.
간단한 소개 및 꿈꾸는 아프리카 도서관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이유를 말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꿈꾸는 아프리카 도서관(이하 꿈아도)의 대표 활동가 정은혜입니다. IT 분야의 프리랜서로 활동하면서 한 국제 리더십 캠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70여 개국에서 파견된 여성들을 볼 수 있었는데, 아프리카 여성들은 유난히 눈에 띄었습니다. 제가 그 때 당시 갖고 있던 아프리카 이미지는 '가난한 대륙'이라는 것이었는데, 쉬는 시간마다 아프리카 여성들은 즐겁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습니다. 이런 아프리카 여성들의 모습을 보면서 아프리카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더불어, 무빙버스스쿨은 제가 예전부터 생각했던 것인데, 청년들이 버스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에게 교육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이 무빙버스스쿨을 아프리카에서 시작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으로 아프리카 6개국을 여행을 하였습니다. 제가 방문했던 국가 중 우간다는 안전함은 물론, 교육열이 강했기 때문에 우간다의 쿠미(Kumi)지역에서 처음으로 꿈아도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2. 꿈아도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중심이 되는 가치관이 있으시다면 무엇인가요?

저는 그들이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강조하기보다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강조하여 그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주고 싶습니다. 우간다의 몇몇 공립 도서관을 방문했었는데 모든 책은 해외에서 기부를 받은 것이고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해서 그런지 먼지가 소복이 쌓여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꿈아도가 도서관을 지어주는 것보다는 현지인들이 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현지 사서들에게 책을 관리하는 방법을 교육시키는 등 그들이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싶습니다.

3. 현지에서 진행하셨던 프로그램을 알려주세요.

  우간다 쿠미 지역에서 북캠프를 진행하였습니다.개미와 배짱이’, ‘양치기 소년이렇게 두 이야기를 가지고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고, 연극을 하고, 읽은 후에 조별로 토론하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습니다. 제가 캠프를 진행하기 전에 캠프 스탭들에게 미리 교육을 시켜서 캠프가 시작되었을 때는 제가 없어도 그들이 스스로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또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그리고 표현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제가 북캠프를 진행하고 참여하면서 느낀 점은 아프리카인들이 무식해서 못하는 것이 아니라, 해보지 않아서 못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들도 우리처럼 스케치북, 크레파스 같은 재료가 있다면 아이들 상상력의 나래를 맘껏 펼칠 수 있을텐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앞으로 계획이 있다면 어떤 게 있나요.

북캠프를 진행하면서 스탭이었던 한 선생님은 개미와 배짱이’, ‘양치기 소년과 같은 이솝우화를 우간단(우간다 현지 언어)으로 번역해서 영어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과도 이야기를 공유하면 좋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습니다. 그래서 올해에는 번역프로그램도 진행하려고 계획 중입니다.






꿈아도는 모든 사람의 재능을 존중하고 그 재능 기부로 아프리카의 누군가를 도울 수 있다고 굳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다. 나에게 특별한 재능이 없다고 생각할지라도 나에게 친구가 있다는 것, 대한민국에서 교육받으며 성장한 것도 재능이라고 할 수 있다. 열심히 하고자 할 열정만 있다면 누구든지 꿈아도의 자원봉사자가 될 수 있다!



꿈꾸는 아프리카의 친구가 되고싶어요~ 어떻게 참여할 수 있나요?

꿈아도에서 친구가 되어 참여하는 방법은 4가지 방법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째, cafe.naver.com/library4africa에 가입하여 멤버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나누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둘째, 직접 모임에 나와서 홍보, 후원, 운영, 프로그램 활동에 재능기부를 하며 자원봉사자로 참여한다.
셋째, 기부금과 운영비를 보내주는 방법이 있다. (재능 기부자 같은 경우는 제품을 판매하여 일부 수익금을 꿈아도에 기부하는 방식으로 기부를 하고 있다.)
넷째, 나의 친구들에게 꿈아도를 널리 홍보한다.
다섯째, 북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아프리카 현지로 파견을 나가서 자원봉사자로 활동한다.





Yae-ha Hyun

A Korean, young lady who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the daring challenges-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As I had spent my childhood years in New Zealand, settling in a foreign country was not a easy task. There were not much Korean people dwelling in the country at that time and the new environment was very strange to fit into. Many korean students, as well as other asian students, failed to mix in with the "Kiwi culture" (New Zealand culture). However, there was one lady who was recognized among the Korean residents of New Zealand. Her name was Yae-ha Hyun, who flew to New Zealand at the age of 13. Although New Zealand was a remote country to many people around the globe, Miss Hyun settled in well and achieved great results in her academic studies abroad. To hear of her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I got the chance to reach Miss Hyun through e-mail.

 


Realizing the true virtue of life overseas

It is your second year as a senior lecturer in graduate school. What is it like lecturing in front of students around your age?

The students seem just like my friends as it has only been a year since I graduated from college. When my professor offered me the assistant professor job, I actually took the chance to earn my living expenses. However, I realized that this job was really worthwhile when I helped students who were passionate about learning. Although I am not a professional lecturer,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parts that students had difficulty with and help them with those matters since it hasn’t been long from my graduation. In fact, I sometimes counsel students about general problems they face in their college years as well as the accounting subject that I teach.

As a person who has experienced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two countries (Korea and New Zealand), tell us abou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two.

I think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in Korea, students tend to study a lot for the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relax a little in their first two years of college. When they reach their senior years, they once again get focused to prepare for employment. In stark contrast, New Zeal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 on a particular subject of their choice. It is when they enter college that they start to study an immense amount of work. Colleges in NZ are easy to get into but graduating each year is tough. The contexts of college studies are more complex and broad. Another difference to point out is that in New Zealand, there are renowned schools for each department. Unlike Korea, where S.K.Y univers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Korea University) or those in Seoul are acknowledged for everything, Otago University in the South Island is recognized for medical and scientific areas. To add, Victoria University is famous for its art fields and the University of Auckland is recognized for its commerce and business subjects. Overall, lectures are discussion-based and students are evaluated for how well they can utilize their knowledge in a particular situation, rather than assessing their ability to memorize all their understandings.


What do you do when you want to take a break from studying/researching?

When I get tired, I go out from school and take a break from my routines. I usually walk along streets where it is less crowded and drop into a coffee shop. I really enjoy drinking coffee! I used to be famous among my friends for my affection to coffee. Although I cannot drink that much, a delicate café and a delicious cup of coffee makes me delighted. I also like visiting beaches to take a break. Apart from that, I enjoy many other leisure activities. Though I majored in accounting, I have been drawing since high school because I really take pleasure in drawing. Other than that, I play the piano and participate as a DJ for the radio. When I feel tired from the accounting studies and work, I relieve all my stresses by doing other activities I enjoy.

 

“Nothing really happened as I wished.”- The hard times


How did you feel when you immigrated overseas at an older age compared to other students?

I came to NZ when my middle school years were just about to end. At that time, I did not know what it was like to move to another country and was so depressed that I had to part with all my friends. But I thought that I would somehow get along with the new environment after some time. However, it was completely different. When I arrived in Auckland and lived in a new house in a new city and met new friends and teachers, it was not easy after all. Learning a new language and getting used to a new life was the most difficult job. Nothing really happened as I wished. As I had been accustomed to the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t was hard to accept the new traditions of a western country, especially the “Kiwi culture”. Not only that, but it was difficult to make new friends who spoke a different language during my age of adolescence. Although Auckland seems like my home now, in the early days of my shift, I failed to get along with the new situation and it felt as if I were lost in the middle of a big ocean.


When was your most difficult situation? How did you overcome such difficulties?

After the hard times of my immigration, the most tiring moment was when I participated in the Honors course after my college gradu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s, the Honors course is when students who have excellent university grades get selected to attend deepened lectures of graduate schools. Students participate in the lecture with scholars but unlike the 2 year master’s course, Honors is a special system that requires students to finish the same course within a year. As expected, it was not an easy job. A great participation was required as it had a small number of students. A lecture was 3 hours, and students had to perform a presentation for the whole lesson in some subjects. There was at least one presentation in a week and individuals had to prepare for their lesso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negotiations. There were no textbooks; students had to find their own way of researching renowned papers in the academic circles. By the fact that I am slow in reading and writing, I took a longer time than other students and there was simply no time to take a rest.

 

Looking ahead

What are the advantages of studying overseas?

The peculiar educational system of foreign countries can be a great advantage. Most importantly, the government and the school support their students to focus on the studies that they enjoy. The other merit is that studying overseas can widen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When staying outside the Korean terrain, it is possible to have an objective view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Korean nation. Also, a person can develop one’s abilities to look at a situation in many aspects by associating with friends of different race and cultures. If an individual accepts others who eat discrete food, speak different languages and have differing thoughts, I believe that the person will be able to grow up as a mature figure.


What is your plan for the future?

This year, I would like to study for the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AICPA) to acquire a certification. I want to get a job in Korea, but I was told that I needed to have the AIPCA in order to be an accountant in Korea. Though New Zealand follows the same public account law as England, Korea conforms to the American account system so I believe I have to begin a different study. Along with the preparation, I am going to continue the coadjutor work in the University of Auckland while I am staying in NZ. I am planning to guide students with all my abilities. I will treat myself with rests in the leftover periods.


As a senior of life, what would you like to say to students who are planning for immigration?

As I said before, moving to another country is not an easy job. You fall into a different environment after leaving your cozy house, school and friends. Everyone of any age should be aware to undergo difficulties in the early periods of their immigration. Especially when a person fails to communicate with a different language, he/she may feel uncomfortable and may face difficulties which wound their self-respect. If one is ready to fight against these problems, it is a great challenge. Once a person resides overseas, he/she can have many experiences that cannot be enjoyed in Korea. Also, people will find themselves with a wider, open mind once they overcome the hardships they encount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