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기아들 위한 따뜻한 나눔 콘서트!

 

STOP HUNGER!2012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

 

 

전 세계에는 먹지 못하고, 배우지 못하고, 병에 걸려 힘들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그런 기아들을 위한 나눔을 실천하는  STOP HUNGER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콘서트2012 2 28,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기아문제를 부각시키며 STOP HUNGER 캠페인을 알리고 나눔의 실천을 함께 할 후원자들을 모집하는 동시에, 노래로 모두를 하나로 만드는 나눔 콘서트이다이 콘서트가 다른 일반 콘서트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바로 이렇게 단순한 콘서트가 아니라 기아 문제에 대해 다양하게 알 수 있는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콘서트의 주제이기도 한 기아들에 대한 사진전을 보며 행사 시작을 기다리던 중 정정섭 기아대책 회장의 개회사로 콘서트가 시작되었다. 정 회장은 세계에 굶주리고 있는 기아들을 위해 다른 나라의 도움을 받았던 우리가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자고 강조했다. 이어서 기아대책 서울동부지역본부장인 전응림 씨가 사회로 나선 가운데 광진구 지역 회장의 격려사와, 기아대책 홍보대사 개그맨 정범균의 유쾌한 웃음 선사, 광진구 지역아동센터연합의 가야금, , 장구 등 축하공연이 계속됐다.

  

이번 콘서트는 ‘STOP HUNGER’ 나눔 콘서트인 만큼, 다양한 볼거리와 노래뿐 아니라 기아 문제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시간이 이어졌다. STOP HUNGER 캠페인의 목표, 기아대책의 나눔 행사, 대학교 캠페인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이날 콘서트에서는 기아대책 홍보대사인 유은성, 기아대책 음악대사인 김 브라이언아카펠라 그룹인 다이아가 음악을 책임졌다. 이들은 'You are so beautiful', '행복한 만찬',  '그 사람을 살릴 수 있죠' 등 나눔과 관련된 따뜻하고 아름다운 노래들을 감미로운 목소리로 불러나갔다.

 

노래 공연이 끝난 뒤, 사회자와 가수들이 서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시간에 가수들의 기부, 나눔 활동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고, 서로에 대한 공감대를 가지고 나눔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되새겼다.

 

 

마지막으로, 이 콘서트의 본질적 의미인 “STOP HUNGER” 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STOP HUNGER  캠페인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 우리가 가져야 할 따뜻한 나눔의 자세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기아대책 회장, 이사장, 광진구청장, 송파광진구 지역회장 등 참가자 대표들이 STOP HUNGER 의 트레이드마크인 빨간 손바닥을 달고 다시 한번 강조하며 훈훈한 분위기로 마무리되었다.

 

 

 

기아대책 식량지원 나눔 콘서트의 역사

기아대책 식량지원 나눔 콘서트는 2010년 한양대에서 행해진 것을 시작으로, 2011년 콘서트에 이어, 올해로 이어오고 있다. 2010년 당시 2PM, , 리쌍, 민경훈, 마야 등의 가수들과, 2011년에는 FT아일랜드, 꿈이있는자유, 대니 정 등의 가수들이 콘서트에 참여하였다.

올해에는 지금까지의 콘서트와는 달리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가 행해지기 때문에 2 28, 3 4, 3 23일 열린 바 있고, 앞으로도 매달 열릴 예정이다.

 

청소년들이 이 콘서트에 참여하는 방법? 

기아대책 홈페이지 (http://www.kfhi.or.kr/) - 동행 행복한 이벤트 란에 들어가서 2012 기아대책 전국투어 나눔 콘서트 배너를 클릭한다 

해당 월, 날짜, 장소에 맞는 콘서트를 골라 덧글로 응모 신청하면 완료!  당첨을 기다리면 된다. 12매를 주니 친구와 같이 가는것도 좋을 것이다. 

 

한국기아대책

  한국기아대책은 1989년 국내 최초로 해외를 돕는 NGO 로 설  립 되어 현재 전세계 82개국에 1298명의 기아봉사 단원을 보내 구호개발사업 (해외어린이개발, 수자원개발, 보건/의료사업, 농업개발사업등을펴고있다. 국내에서는 321개의지역회와 286개의복지시설을통해어린이개발사업과급식,교육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다. 국제기아대책은 1971년설립되었고, 유엔경제사회이사회 (UN ECOSOC) 협의지위 자격을 인정받았다.

 

 기아대책트위터 : http://twitter.com/hungersaver

 기아대책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hungersaver 

 기아대책미투데이 : http://me2day.com/hungersaver

 

 STOP HUNGER 캠페인 

 

 

 STOP HUNGER 는 유엔새천년개발목표 (MDGs)의 첫번째 목표인 ‘절대빈곤과기아퇴치’ 를 달성하기 위해 작년부터 시작된 세계빈곤국가에 식량을 지원하는 캠페인으로,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세계 절대빈곤 인구를 1% 줄일 수 있다. STOP HUNGER 2011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고 10 15일에는 전국에서 동시에 식량키트 제작행사가 열렸다. 올해에도 진행될 예정이나, 도와줄 나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다.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On January, it was the 1000th Wednesday gathering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 problem. The news had provoked my attention to the matter and I began to research more about the rising issue of Japanese comfort women. For this reason, I visited the ‘House of Sharing’ to find out more about the problem. After the visit to the “House of Sharing”, the experience and some research helped me to learn a lot about the problem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Who are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On August 1944, the essential work order for comfort women was announced in Korea and this allowed the

Japanese military to force sexual work to Korean women. Although legally-coercive conscriptions were not brought into action, the Japanese military began to forcibly employ women. From December 1941, Japanese rebel forces began to hit their stride in female-chasing. This happened in ways like kid-napping, using violence, etc. Poor women aged between 10 and 20 were lured by the promise of successful labor options. Although it is not easy to calculate the exact number of women kidnapped, it is assumed that the whole population would be roughly 50,000~200,000, more than 80% of them Korean (Statistics from the Korea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Unfortunately, this event did not only occur to young Asian women. For instance, Dutch women living in the Java Islands were also victims of this crime.

 

Information about the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Once captured, these young women were sent to China, Japan, South-east Asia and many different locations that were conquered by the Japanese. Once settled into the comfort stations, women suffered from a lethal sexual-slave life, hard for any human to endure. Each woman was obligated to receive 35~70 men a day. In the daytime, they served soldiers and petty officers and at night, they were constrained to serve commissioned officers. The brothels, where many of these women lived, were not even provided with acceptable sanitation facilities. Being open to these terrible environments, many women suffered from painful diseases. Three times of venereal disease examinations were held each month for every female and private actions like going out were strictly restricted.

 

What is the “House of Sharing”?

 

Currently, the surviving Korean victims of this event are habiting in the “House of Sharing”, a facility located in Gwangju City on the outskirts of Seoul. It was built with the funds from private Korean nationals and a Buddhist organization. Inside the building, there is an extended history hall that includes great artworks by the survivors, artifacts, photographs. Opened in 1998, the hall also includes a re-creation of a room in a comfort station. Through the history hall showcase, they inform the world of the Japanese military’s ‘sexual slave’ brutality. All those showcases remain as the key evid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the servant women issues. During the time when I was at the “House of Sharing”, I met the Secretary-General Kim Jung Sook of International Peace & Human Rights Center and gained the opportunity to hear her opinions through e-mail.

                        

 

1. Could you introduce the ‘House of Sharing’ for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The “House of Sharing” is a home built for the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during the early 1990s. This place was constructed with the contribution from many Korean citizens, also those who supported the Buddhism. On October 1995, the “House of sharing” first opened in Mapo, Seoul and after many moves, it settled in its current place on December 1995. Currently, 8 old women who were sufferer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dwell together in the “House of sharing”. These women have Korean language classes, drawing classes and they hold exhibitio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inform the public of the truth of Japanese military’s brutality. Also, they are participating every Wednesday in the “Wednesday protest”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for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ate the reality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nd to request a formal apology.

 

2.  How would you like to promot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For to publiciz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the “House of Sharing” had opened a History Hall from 1998 and taught some history that could not be obtained in school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is problem is being sent to others through homepages and social networks like Twitter and Facebook. Also, the “House of Sharing” is organizing volunteer groups from many schools and preparing a program where students can visit the History Hall once in every year. By offering students these opportunities, they are provided with a motivation to share this problem with many of their friends and bring others to participate as well. In addition, the “House of Sharing” is alarming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to many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through its 2 day and 1 night human rights camp.

 

3. What do you expect from students, regarding the problem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s a historical problem which has not yet been fixed. It has not ended just by being hauled and continually violated by the Japanese soldiers. Many victims of this crime are suffering from troubles, which they received as an aftermath of the crim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e victims have always mentioned to students that a soldier should make an effort to protect a country, politicians should assure a comfortable living for all of its citizens, and students should keep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tudy hard. The old women victims also emphasized that every person should try to make a good effort within their fields to make their country stronger and make sure that no more victims like themselves come out.

A doorplate of the “House of Sharing”

The History Hall of the "House of Sharing"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solv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but students should firstly take in mind the victims’ hope, “People should accept the tragic events we had to endure as a history for everyone to know”.

 

 

 

 

 

 

 

 

 

 

 

미지에 첫 발을 내딛다


 


2월 25일, 미지센터는 새로운 얼굴들로 북적였다. 미지센터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2월의 '미지 ON DAY(이하 미지온데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러 온 청소년들이었다. 

 

참가자들은 처음 본 친구들과 한 조를 이루어 앉으니 어색해하다가 이내 곧 조심스럽게 말을 떼기 시작했다. 어느 학교에서 왔는지, 그 학교는 어떤지, 여긴 어떻게 알고 왔는지 등을 물으며 새 학기 친구를 사귀듯 서로 자연스럽게 말문을 텄고, 그렇게 미지온데이는 설렘과 기대감으로 가득한 가운데 시작되었다.

 

미지온데이는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미지' 를 공식적으로 방문하는 프로그램. 2000년 5월 출범한 청소년 특화센터인 미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설립 목적인 세계시민으로의 성장과 문화 간 이해를 돕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이 날 프로그램은 전세정 청소년 운영위원의 퀴즈로 시작됐다. 미지센터를 처음 방문한 친구들이 대부분이었기에 미지가 하는 일과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각자 교류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대화가 이어졌다. 이어 미지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자 참가자들의 미지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를 체감할 수 있었다. 함께 참가한 학부모들도 국제교류기획캠프 등 미지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에 동참했고, 미지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에 대한 관심도 엿볼 수 있었다.


 


미지 소개와 프로그램 설명 시간이 끝나고 미지센터 최영란 팀장이 마련한 게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최 팀장이 제안한 게임은 한 마디로, 사탕을 나눠 갖는 게임이었는데 처음 규칙은 조원끼리 보이지 않는 주머니에서 사탕을 1개 이상씩 꼭 가져가고 한 조를 모두 돌고나서 주머니에 사탕을 남지 않게 하는 것이었다. 가장 중요한 규칙은 대화를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만약 조를 돌고도 사탕이 남는다면 다시 몇 개의 사탕을 보충 받고 다시 게임을 시작하는 것이다. 대화 없이 게임을 시작하니 모두 조용한 가운데 사탕을 가져갔다. 조원이 모두 하나씩 가져가려면 얼마나 가져가야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게임을 하자 게임은 규칙대로 진행되기 어려웠다. 생각보다 적은 사탕의 수에 사탕을 한 개도 받지 못한 조원도 있었고, 사탕을 너무 많이 집어 실패한 조도 있었다.

 

하지만 두 번째 게임을 시작하자 이야기는 달라졌다. 이번엔 주머니의 사탕의 개수와 보충받는 사탕의 수를 알 수 있었고 대화가 가능했다. 단 세 가지의 규칙만 달라졌을 뿐이었다. 특히 내가 참여했던 조의 상황은 정말 대조적이었다. 처음엔 집어가는 사탕을 한 개도 받지 못한 조원이 있어 게임이 실패한 반면에 두 번째 게임에선 남은 사탕의 수와 그 두 배가 보충된다는 것을 알고 조원들끼리 협동해서 모두 똑같이 열 개가 넘는 사탕을 받고도 게임을 계속할 수 있었다.

 

게임을 마치고 최 팀장은 주머니의 사탕을 지구의 자원으로, 보충될 사탕을 재생하는 자원으로, 조원들을 각 나라라고 생각해보라고 말했다. 처음의 어려운 용어가 담긴 설명 때보다 게임을 진행한 후 소감을 발표하는 경우가 참가자들이 많아졌다. "이해하기 쉬웠어요," "국제교류가 어떤 것인지 알 것 같아요," "게임이 정말 상징적인 것 같아요" 등 게임 후 소감발표시간은 다양한 의견으로 더욱 뜻깊었고,  게임을 통해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졌던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깝게 다가왔다.


강의가 끝나고 청소년운영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미지센터 시설을 둘러보았다. “남자친구 만들어서 꼭 오세요” 하는 농담에 웃음을 터뜨리며 어느새 친해진 참가자들은 사진을 찍으며 구경하기 바빴다. 한층 가벼워진 분위기 속에서 두 번째 강의를 마친 후 미지온데이 일정이 끝났다. 

이번 미지온데이 프로그램에서 활약이 돋보였던 미지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청운위) 전세정, 최지석 위원을 만나보았다.

 

 

1) 이번 미지온데이를 준비하면서 어떤 점을 느끼셨나요?


전세정 청소년 운영위원(이하 ‘전’) : 국제교류활동을 미지센터로 처음 접해본 저로서는 이번 미지온데이가 고등학생으로서, 청운위로서 마지막 미지센터 활동이라 의미가 아주 컸어요. 의미가 큰 만큼 제가 전달하고 싶은 바를 경험담으로 많이 담아 표현했는데 참가자분들께서 공감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최지석 청소년 운영위원(이하 ‘최’) : 청소년 운영 위원으로서 가장 자주 하는 행사가 미지온데이인만큼 국기캠(국제교류 기획캠프) 다음으로 제일 기억에 남는 행사에요. ‘내가 정말 미지센터를 대표해서 홍보하는 역할을 맡았구나.’ 하는 마음에 자부심이 들고 그만큼 열심히 준비하기 때문에 책임감도 들어요.


2) 매달마다 미지온데이의 주제가 다르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미지온데이는 어떤 주제로 준비하셨나요?

전 : 청소년 운영위원들이 13명인데 3-4명으로 팀을 나눠서 네 팀이 돌아가며 일년의 미지온데이를 맡아요. 일 년에 3번에서 4번 정도 미지온데이를 준비하는 거죠. 주로 요즘 소식이나 미지센터의 행사에 대한 정보를 주제로 삼고 홍보하고, 미지센터에서 겪었던 경험담을 공유하면서 공감대를 만들려고 노력해요.

최 : 이제 3월이면 새로운 ‘청운위‘ 분들이 활동을 새로 시작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저는 청소년 운영위원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3) 참가자의 반응을 어떻게 느끼셨나요?

 

 전 : 참가자 분들의 연령이 거의 중고등학생이시다 보니 나이차도 많지 않고, 동갑인 분들도 많아요. 앞에 나서서 발표해 본 일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강연을 한다는 게 부담이 되고 또 제일 힘든 일이기도 해요. 그런데 이번 미지온데이 참가자분들의 반응이 참 좋았던 것 같아요. 강연이 끝나고 핸드폰번호를 알려드리는 시간이 있었는데 후에 문자도 많이 왔어요.

최 : 1월 미지온데이를 시작할 때, 접수하신 분들 중에 여러 사정으로 불참하신 분들이 많아 이번에도 걱정이 많이 됐어요. 그런데 걱정했던 것이랑은 다르게 소통도 더 잘되고, 반응이 정말 좋았어요. 관심도도 열정도 많아 보였구요, 미지센터에 대해 알고 싶어서 오신 분들이 많았거든요.

 

4)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으시다면 해주시겠어요?

 

전 : 어떤 분들이든지 미지센터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다는 점,이걸 꼭 말씀드리고 싶었어요. 청소년운영위원도 미지센터 운영에 청소년이 직접 참여하는 활동이잖아요, 청소년들이 미지센터를 더 가깝게 느꼈으면 좋겠어요.

최 : 미지온데이는 청운위가 심혈을 기울여서 기획하고 진행하는 프로그램이에요. 미지센터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구요. 이번 참가자 분들이나 다른 청소년 분들도 청운위에 대해서 많은 관심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한동안 아쉬움으로 쉽게 자리를 떠나지 않는 친구들이 보였다. 청소년 운영위원에 대해 관심이 있는 참가자들은 위원들과 직접 이야기를 나누며 이것저것 묻기도 하고, 전화번호를 교환하고 사진을 찍기도 했다.

처음 시작할 때 어색하게 마주앉아 핸드폰만 만지작거리던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언니, 언니하며 작별인사를 친구들이 여럿이었다. 경험담을 나누며 가까운 공감대를 갖고 싶다던 전세정 위원과 최지석 위원의 바람은 이미 이루어진 듯 보였다.

이번 미지온데이는 국제교류와 더불어 미지센터, 그리고 다른 국제 활동들에 청소년들이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게 해주었다.




 

Running 42.195Km through the Seoul City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eld with 1,000 of international participants while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Runners will have to concentrate on the road itself during a marathon. However the viewers of the marathon can enjoy the view of the road that the runners are running down. On March 18
th the 83rd DongA Marathon Contest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will be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over the world. Besides the significance of this contest being held in Korea, there is another important meaning of this contest. As the runners run the course, they run through the Seoul City from GwangHwaMun Plaza to Jamsil Main Stadium.

         This contest has been held since 1931 not simply as a marathon but also to show the beauty of Seoul City during the run. In the terms of globalization,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viewpoints on showing the beauty of Korea’s capital and also brings many countries into one place at one time. An interview with JongHyun Eun from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executive office talks about the specialization of this contest in the global century.

              
 
Q. Are there only Korean participants or are there also foreigners? What are the percentages?

A. There are about 38 different country participants in the marathon. In numbers there are about a thousand of them and as a percentage, there is about 5% foreigners.
 
Q. Is there a special reason why the 83rd DongA Marathon Contest is called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A. The course of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42.195 Km. The course starts at the GwangHwaMun Plaza and goes through the downtown of Seoul City and ends at Jamsil Main Stadium. It was constructed to go through many different sights of Seoul City while running the marathon. Since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the only marathon that goes through the center of Korea’s capital Seoul City, this marathon was named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this year.

 

Q.  Compared to other marathon contests, what kind of special meanings does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ave in global ways? What makes this marathon different with others?


A.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83rd DongA Marathon Contest) was made by DongA Ilbo in the year of 1931. It is a marathon contest with the 2nd longest history in the world; following the Boston Maratho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s the Korean marathon history. Not only did this contest distribute development toward the history of marathon in Korea but also expanded the sport of marathon as a public sport rather than a sport for just elite runners. As a matter of fact, gold medalist Son Ki Jung from the 1936 Berlin Olympic, gold medalist Hwang Young Jo from the 1992 Barcelona Olympic and gold medalist Lee Bong Joo from 2001 Boston Marathon are all DongA Marathon participants. Through these medalists, Korea was able leave big foot prints in the history of marathon in the world.

 

 Q. The nam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Contest’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global century that we currently live in. What kind of special global aspects does this contest have?


A.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as been labeled as the top rank ‘Gold Label’ in the IAAF(International Amateur Athletic Federation) since the 81st contest in 2010-which is the first history of any Korean marathons to be ranked in label. Until the 83rd marathon contest, it has been certified 3 years in rows along with Boston, New York, Chicago, London, Berlin and worldwide leading contests. We invite foreign elite runners, a thousand of foreign masters participants, 20 thousand Korean masters participants, 3,500 volunteers, Seoul City public service personnel, marathon organizing committee and about a thousand of Seoul City citizens who cheer for the participants. This marathon is broadcasted in 77 different countries while we show the beautiful scenes of Seoul and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raise the sports capability of South Korea.

         

             If over 18 years old and able to finish the course in 5 hours anyone can participate in this contest. The recruit for runners to participate in this contest is usually held in December. There is a fee of 40, 000 won and the money collected from this contest goes to Ethiopia Dijeluna Tijo Area to support young marathon runners, their families and societies.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shows Seoul’s beauty, Korea’s interest in marathon and also contributes gathering of many countries into one.

 

 

Foreigners and Koreans can register to enter in the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n two ways.

1) You can register on your own by logging onto http://marathon.donga.com/seoul/international_e1.html (english version website).
Click on REGISTER on the left side of the web page.

2) You can register through an agency that registers for you in foreign countries.



 


28회 한국여성대회

 

 


3
8일 여성의 날을 맞아, 한 국내 항공사의 여승무원 복장문제로 인한 기자회견이 있었다. 바지를 입지 못하게 하는 회사측과, 편리성과 기내의 안전을 위해 바지를 입게 해달라는 승무원 노조측 의견이 충돌했기 때문이다. 이 논란을 두고, 사람들은 항공사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치마만 입도록 강요하는 것은 여성의 성을 상품화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여성들의 인권을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예에서 보듯 여성 인권 문제는 '여성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21세기에도 현재진행형이다.
세계적으로 '여성 인권'을 소리높여 외치는 날인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한국에서도 여성의 날 기념행사가 열렸다. 지난 10일, 서울시청광장에서 여성의 날 104주년을 기념해서 열린 28회 한국여성대회에 다녀왔다
 

 

거리퍼레이드 (출처: http://38women.co.kr)

 

오전 11시부터 시작한 시민난장 ‘2012년 약속장터’에서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 인권을 위해 활동하는 단체들이 부스를 운영했다. 성폭력, 성 매매 문제가 많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 우리의 상황을 반영하듯, 여성의 성 문제에 대한 홍보부스가 눈에 많이 띄었다. 한 성폭력 관련 단체의 부스에서는 시민들이 직접 송판에 성폭력이 난무하는 사회의 현실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을 쓴 후, 그 송판을 격파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 행사의 한 참가자는 "성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사회는 있어서는 안된다"는 말을 송파에 쓰고 격파를 했다.

다른 부스에서는 한국에 이주해온 여성들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베트남과 몽골의 문화 체험 부스와 미혼모들에 대한 사회의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등이 진행되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시민난장

오전1, 본격적인 세계 여성의 날 기념식이 시작되었다. 제일 처음 막을 연 무대는 우리가 만들어요라는 율동으로 모두가 함께 하는 무대였다. 2천 개의 좌석에 있던 시민들도 함께 음악에 맞추어 율동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제목처럼, 여성의 인권을 위해 우리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잘 전달되는 무대였다

다음으로 이어진 대회사, 축사는 여성의 인권과 평등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여성의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정치계와 시민단체의 약속으로 진행되었다. 그 다음 순서는 2012년 '올해의 여성운동상' 시상으로,  전국민간서비스산업연맹 전국학습지산업노동조합 재능교육지부가 수상했다. 재능교육지부는 학습지 교사의 노동조건을 개선시키기 위해 2007 12월부터 농성을 지금까지 계속 해오고 있다고 한다. 여성의 인권을 위한 노력에, 많은 박수 갈채가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3.8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여성선언과 퍼포먼스 ‘2012 약속해로 시민들은 기념식이 마무리됐다. 
 


기념식을 마무리 한 후, 모든 참가자들은 거리퍼레이드를 진행했다. 서울광장을 시작으로 대한문을 지나 서울역광장까지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거리 퍼레이드를 즐기며 여성의 날을 즐기고, 또 여성의 인권을 외쳤다.

 

2012 약속해 (출처: http://38women.co.kr)


‘2012 약속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된 이번 한국여성대회는 여성의 인권을 위한 즐거운 참여의 행사였다. 많은 체험거리와 즐거운 퍼포먼스로 이루어진 기념식은 남녀노소 누구나 여성의 날을 즐기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이렇게 세계 여성의 날 행사가 매년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아직 사회 곳곳에 여성에 대한 차별과 여성의 인권침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나라를 봐도, 과거보다 여성의 인권이 많이 신장되었지만 아직 차별 없는 세상이라고 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 성폭력, 성 매매, 미혼모를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 기업에서의 여성 차별, 여성 연예인의 성 상품화,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의 차별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세계 여성의 날

 

세계여성의 날은 1908년 미국 루트거스 광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생존권과 참정권을 요구하며 거리고 나섰던 것을 기념하며 시작되었다.

그 당시 섬유 공자의 노동자였던 여성들은 생존을 의미하는 빵과, 참정권을 의미하는 빨간 장미를 들고 그들의 권리를 주장했고, 정당에 있던 소수의 여성들이 1909 2, 마지막 일요일에 집회를 개최했다. 그리고 그 이후 1910년 코펜하겐에서 국제여성의 날을 기념하자는 결의가 채택되었고,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국은 1920 3 8, 최초의 여성의 날 기념행사를 진행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탄압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다시 1985년부터 여성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대규모 여성 문화 행사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현재 중국과 러시아, 캄보디아와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의 경우 여성의 날은 국가가 지정한 공식 휴일이며, 유급 휴가를 보장받는다.







NEW YORK: A Museum to History



From History



                Situated near the grounds of Central Park,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NH) contains more than dusty historical artifacts. I visited the AMNH on February 12th. I, like many visitors to the museum, wanted to see history, frozen in time, amid a city that constantly changes. With over 32 million specimens, 46 permanent exhibition halls, and new exhibitions, the AMNH is truly a gargantuan tome of historical artifacts and renown. From photographs of ancient Incan roads to the collection of various minerals, AMNH not only has numerous amounts of artifacts, but a diverse range of them.  Because of the incredible amount of artifacts and exhibits in the AMNH, I have chosen to write about three of the most popular exhibitions.


All that Glitters




The Harry Frank Guggenheim Hall of Gems and Minerals was the first exhibit to catch my eye, and not only because of its glittering exhibits. The museum is renowned for its rare collection of unusual minerals, ranging from dazzling gemstones to bizarre rock formations. Some of the gems, explained a guide, were so renowned throughout the world that many attempted theft to gain the gems. 




The Star of India, the largest star sapphire in the world, was a favorite among the visitors for its beauty. 12 of 20 people I have interviewed stated that the Star of India was their favorite gem. The Midnight Star Ruby, the Patricia Emerald, and the de Long Ruby were also favorites among visitors. “I love the star shape of the Star of India and the Midnight Star ruby,” said a visitor. “The smooth surface and the unusual pattern make it priceless,” said another dazzled onlooker.




The rare gemstones were not the only displays that caught the attention of onlookers. Sulfur crystals, microcline formations, a quartz-amethyst geode, and many other rock formations procured looks from onlookers. “The microcline rock formation looks more like rubber or plastic,” commented an onlooker. “I like the rock-within-rock look,” said a visitor who was observing a geode. The various mineral formations, with beautiful and bizarre looks, were well received by the visitors. 

Nothing but Bones

              When I interviewed 30 visitors on their favorite exhibitions, 20 of them stated that they have enjoyed the exhibitions that displayed skeletons and fossils the most. Exhibition halls, such as sections of the Primate Hall and all of the Fossil Halls, displayed a diverse amount of skeletons. From dinosaurs to avians, the size and age of skeletons of animals were diverse and numerous.



         I found that the larger the skeleton was, the more popular it was among visitors. Out of 10 people who visited the exhibits with the skeletons and fossils, 8 of them preferred the larger fossils, such as large mammals or dinosaurs. “I love the mammoth,” exclaimed a visitor, “because I’ve never seen such a large land animal like that in my life.” It’s awe-inspiring,” added another visitor, “because the dinosaurs’ size makes me feel insignificant in contrast.” Similarly, the other interviewees stated that the sheer size of the creatures made the fossils their favorites.

 
       Despite the favorability of larger animals, the skeletons of tiny animals also impressed crowds. The visitors admired the delicate yet fine bones of small animals. “It’s amazing how they got around and lived with such small bones and bodies,” commented a visitor. “I think they’re cuter than the larger skeletons,” piped a girl who was with her parents. 

Recreate Nature 



           Not only does the AMNH display real gems and fossils, but it also displays the creations of its naturalists, taxidermists, photographers, and artists. The dioramas, although not as popular as the rocks and the skeletons, drew a large crowd of awed visitors. The fact that the museum produced such fine creations within the museum itself, as with its display of master craftsmanship and the diversity of its subjects, was what drew the crowd. 

         “The ranges of the dioramas are amazing,” said a visitor. “From humans to trees, I was able to see a variety of figures I would never be able to see in real life.” “The models are really accurate and well made.” “I wonder how the museum was able to make such figures.” These were some of many comments and praises given to the models. Many of the interviewees thought that the real life scale of the blue whale was the best, followed by the gorilla in the jungle and primitive humans in Africa. 


To History

     
         
The AMNH truly frames the bulk of natural history for the denizens of New York, as well as those who come from distant cities and countries. Its collections are so vast only a small fraction of it can be shown at a time, therefore enabling future visits to pertain new artifacts and fossils. It is no wonder that it was voted 7th in the “Most visited museums in the World” by the magazine Travel + Leisure. Many will leave with natural wonders in their memories, not knowing that they have scratched only the surface of AMNH’s treasures.




How’s your school life?
What is different between Korean school and that of international?



“How’s your school life at international school?” was one of the most common questions I’ve got since I came to oversees, China. In responding to them, I noticed that a number of students are quite interested to know international schools of which friends from various countries and foreign teachers consist. And I thought it would be good to introduce regarding how it is different between international schools and Korean schools to global students not only Koreans.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n students who, at present, attend international schools, I will introduce the top 3 respectively. The question was ‘what is the most impressive part you have gotten while attending international school?’ 79 students responded in total and diagram below represents the result visually.








Best1. Meals


 

▲School lunch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아야어여오요우유students often bring their own lunch box


 

Meals at international schools are often a bit more costly than those of Korean schools. But students can enjoy variety of dishes such as Korean, Italian. Also it is like a course at a restaurant in that there’s salad bar like appetizer, main dish and dessert. Drinks and fruits are also prepared. More often than not, the country where the schools are located has an effect on the meals.
For an instance, the school in which I went was in Tianjin, China and rice was served in every time.  
But it is absolutely free and common to bring personal food for lunch such as cup noodles, sandwiches.
Quite a lot of Asian students bring their own meals made at home.

Forks and knives which are equipped in the cafeteria represent widespread use of western style.
 

Generally the atmosphere is more flexible than that of Korea, which I felt too. Although Koreans usually go to cafeteria along class lines, people in international schools act personally. Those of who have activities have lunch late, some who have not finished their homework skip their meals.




 

Best2. The number of students

 

There are not many chairs in class

To tell you the truth, I was quite astonished to know that in each class the number of pupils is less than 20.
In contrary to 30 to 40 students in one class
in Korea, international schools distribute their students in small groups. Moreover, each subject class has far less pupils even less than 10.

It is due in part to the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as they get old, they can choose which subject they will take.

 

I consider this curriculum is considerably effective not only for students but also for teachers since teachers can give more attention to one by one which in turn is able to enhance every student’s learning ability. So I asked this topic to a teacher who is working at international school as a teacher of Korean.




Mrs. Kim Sunhee at Tianjin Rego Internatiaonl School.

 

How many years have you worked at Korean school and that of international?

Mrs. Kim: I had worked at Korean middle school roughly for 7 years and it has been 2 years working in Tianjin, China.

 

When we compare the number of students, international schools are inclined to have far less pupils. Also this school tends to be like. How do you think about this matter?

Kim: if I take this school as an example, the proportion of students per teacher responsible for them is 1:7~12 which makes a big gap with Korean school’s 1:35~40.

 

Wha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oes it have?

Kim: for teachers, they can understand each student’s disposition in a better way so they are able to teach student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s. Not to mention, instructors give much more attention to individual and it makes them feel satisfied. Also in response to teachers’ affection, students try to concentrate their focus in class. As there are few people, students can get more various and free classes such as having a heated discussion with teacher, utilizing media in a creative way.

In my view, there’s not much disadvantage to mention.



 


Best3. Teaching style/ atmosphere in class


It seems that this point has somewhat overlapped with the previous one. Since there are far less students in a class, creative, active classes are possible in some part I think. However, having not so many people would be a pivotal part of international schools’ curriculum rather. As they realize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has much effect on the ambience within a class, they may have adopted this condition.

When it comes to education conditio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are able to get much free. After becoming Year 10 (or year 9 in American one), pupils acquire a kind of qualification of choosing which subjects they want to take. According to their own time table, they go around for a specific classroom or have free class for personal study. By doing so, students feel a sort of responsibility with their behavior.
 

As a mentioned a bit previously, classes are organized in a very free manner. They can have a sincere discussion regarding a specific topic with teachers, make a world map in geography class which for me was a very surprising matter as in Korea this kind of thing is rarely done by secondary or make a drama. Breaking away from only textbook study, learning in international school is more serious as well as interesting. Therefore, students from their youth are able to get deep knowledge in their specific area which is going to be their major in university.

From my own experience, this teaching style broadened my somewhat parochial thinking and helped me to develop self-thinking ability. And I am sure that those changes will be pretty beneficial in my life.

One more thing, maybe you have already known is that speaking English in school. Not to mention, people can increase their English in a glad way.


  Sports facilities


 

Apart from those things, students surveyed said quality facilities are impressive such as sports instruments and swimming pools and that assembly which is held once or twice a week is organized by students themselves is interesting. Moreover, there are various parties held on Special day like Christmas party, graduation party.

It’s true that international school holds various kinds of activities when it comes to comparing with that of Korean. But when I meditated this matter, I could reach a point that the ‘difference’ is because each school has ‘different’ educational direction. While international school tends to set school programs in regard to getting jobs, Korean, in fact including Asian schools, focuses on entering universities which would be handed the baton and seriously prepare students to get jobs. It means Korean schools have roles of preparing the ground for students’ future.
Therefore, with this article, I don’t mean just unfairly to advocate international school programs.

This story’s purpose is to introduce how Korean students have felt between Korean school and that of international.

 

Individual has its own merits. Korean school has its own merits as well as that of oversees.
I hope schools all around the globe would share their positive ways of teaching students or organizing schools in pure wishing to provide better education to our hopes.

 

 

                                                                                                                              <Photos by Jang YunKyung>





 

Solomon and Wright


               
               Frank Lloyd Wright, architect of the Solomon Guggenheim museum, once stated th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looked like “a protestant barn” compared to the Solomon Guggenheim museum. In fact, the Solomon Guggenheim museum (also known as the Guggenheim), is in itself a work of art. When I visited New York on the 16th of January, the Guggenheim museum’s ribbon-like structures stood out amid boxy skyscrapers and flats. The interior was no less amazing: along an upward spiral path was a brilliantly designed ceiling that matched the organic design of the exterior walls.

                
               I was also drawn by its famous collection of impressionist, early modern and contemporary art. Like its design, the Guggenheim seemed to specialize in abstract art like those of Seurat and Kandinsky. I decided to go into detail of works that were popular with visitors, as well as works that the visitors found interesting
.

The Founding Fine Arts



           What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was the Solomon Guggenheim Founding Collection, the first collections of Solomon Guggenheim. I found Kandinsky’s work to be the most flamboyant in terms of colors and shapes, as his vivid use of prime colors and basic geometric shapes truly caught attention. For many of the visitors, it was the usage of color and lines that truly hit home. “I don’t understand some of the things the man is trying to explain,” said a visitor, “but I love how he expresses himself.” “I’m just in it for the shapes,” explained another visitor.


          Naturally, the work of Picasso also garnered enormous attention. Unlike Picasso’s other works or that of Kandinsky’s, Picasso’s works at the Guggenheim used copious amounts of grey and brown. Picasso’s distinct usages of cubes were also eminent in his artworks, combined with the dull colors, and reminded many visitors of the streets New York. “The paintings like a city within a city,” said an onlooker. Other people, however, had different opinions about Picasso’s works. “The sharp angles, along with the unclear but distinct shapes, gives the subject ‘volume’”, remarked a visitor.


          Seurat’s work, unlike Picasso’s or Kandinsky’s, was less about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 and more about the usage of techniques. His famous paintings composed of tiny dots gave visitors an impression of painstaking work put into his paintings. The colors of the paintings, softened by the usage of dots, blend with each other and gave the visitors an impression of serenity as well as nostalgia. “Everything matches with each other, and the paint flows with the painting rather than to contrast with it.”



Photographs of Persona


           
         At the exhibition halls of the Bohen Foundation and the Deutsche Guggenheim Commissions, there is a stark contrast with the paintings of the other exhibits. The grayscale photographs (with a small number of them in color) present the ideas of the artist without any divergent interpretations that come from vague paintings. I’ve decided to look into the works of Sally Mann, Hiroshi Sugimoto, and Sam Taylor-Wood. Many of the photographic artworks was taken by Hiroshi Sugimoto, and from his photos, it is clear that he was a minimalist. His photos contain a single subject, with no additional objects, backgrounds or persons. Many visitors felt solitude when the viewed his photographs. “The images leave a strong impression, because there are no other objects in the photos to dilute the main image,” commented a tourist.

         
         The photographs of Sally Mann and Sam Taylor-Wood, unlike Sugimoto’s, do contain a background. The background, say the visitors, is able to give the viewer more detail into their subject matter. The background also seems to emulate a storyline alongside the subject, giving the viewers an opportunity to interpret the photo uniquely. “It is about a man living in a dreary city, and continuing a monotonous existence within this world,” explained a visitor after observing
Soliloquy IV by Sam Taylor-Wood. “It’s about a man who lives a secretive existence amid the vast city,” explained another observer of the same artwork.


Wacky Works


              
              A question that has posed me when I went to report on MoMA could also be found in the Guggenheim. For the visitors, some of the works that were in display did not qualify as art at all. When the visitors saw the Surface Veil III by Robert Ryman, many ridiculed it for containing virtually no brush or pen stroke. “No depth and just a scam – that is the Surface Veil,” scoffed a visitor who went to look the artwork. “He’s making modern art a travesty by assuming the notion notion of ‘if a person calls it art, its art’ far and wide,” remarked a tourist from England.

            
               However, some visitors gave the artists credit. “I like the sculpting of the various pieces and how they are laid out by the artist,” complimented a visitor from China. “I think it’s unique to step away from painting skills to the thought processes of the mind,” said another. The number of people who liked the so-called art numbered only four people out of 30 people interviewed. 10 of the 30 people did not like the art at all, and 16 of the other visitors said that they hated it.


              Whether an artist uses paint, a camera, a chisel, or nothing at all, art is constantly evolving. Guggenheim is an excellent timeline of various artistic styles and techniques, but it is something more. It is a sanctuary for artists to express their ideas, visitors to learn more about themselves, and progressive artists to propel the artistic world into new levels.


 

따뜻한 마음이 전달되는 공정무역 초콜릿


 겨울이 지나고 봄이 다가오는 2월과 3월. 졸업과 입학 등 선물을 주고 받는 일이 많은 이 때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초콜릿을 떠올린다. 특히 언제부턴가 우리나라에서도 당연히 초콜릿을 주고 받는 날처럼 되어버린 발렌타인 데이에는 많은 사람들이 초콜릿을 사기 위해 분주하다.  


 그런데 그 초콜릿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우리 손에까지 들어오게 되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우리가 무심코 먹는 초콜릿 중 상당수가 미성년인 청소년 노동자들이 수확한 카카오 열매로부터 만들어진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초콜릿 농장에서 일하는 어린 노동자들은 
카카오를 수확하고, 카카오가 담긴 무거운 양동이를 운반하는 데 하루를 다 보낸다고 한다. 그들이 학대받고, 배고파하면서도 이렇게 노동을 하는 이유는 다름아닌 돈 때문이다.  

 

<초콜릿의 주 원료가 되는 카카오 열매>


 

 유럽 공정무역협회에 따르면, 카카오를 생산하는 농부가 5%의 수익을 얻는다면 무역 조직 및 초콜릿 제조 회사가 70%의 수익을 가져간다. 초콜릿 생산에서 농부가 5센트를 받는다면 기업은 그 14배인 70센트의 이익을 본다는 의미이다. 또한,  국제적인 아동권익단체인 '세이브 더 칠드런 (Save the Children)' 의 2007년 2월 보고서를 예로 들면, 캐나다의 경우 '초콜릿 제조를 위해 2001년 한해에만 400억 원어치 코코아를 수입했으며, 초콜릿이 1천원에 판매되면 코코아 농민에게 돌아가는 수입은 겨우 20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강제노동을 하는 청소년들


 
카카오 열매 농장의 저수익으로 인해, 농장에서 일할 사람들을 고용할 형편이 되지 않는 농장주들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노동을 시키게 되었다. 청소년이 대부분인 미성년 노동자들은 학교에 가지도 못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노동을 할 수 밖에 없다.

국제 적도 농업 기구(IITA)의 조사에 의하면 코트디부아르, 가나, 나이지리아, 카메룬의 카카오 농장에서 약 284,000명의 청소년 노동자들이 아침 6시부터 저녁 6시 반까지 필요한 보호 장비 없이 농약과 살충제를 뿌리고 마체테라는 긴 칼을 가지고 10 m 위의 카카오 나무에 올라가 카카오 열매를 따는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노동자들이 400개 정도의 카카오 포드(럭비공 모양의 카카오 열매)를 따야 1파운드의 초콜릿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들에게는 정해진 하루 할당량이 있는데, 이를 다 채우지 못하면 심한 매질을 당하기도 한다. 노동 착취와 미성년 노동으로 만들어진 비윤리적 상품이 판매가 되면서 이러한 악순환은 계속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정무역이 탄생하였다. 

<가나 쿠아프 코쿠에서 카카오 열매를 따는 청소년>

 

 


공정무역에서 찾는 해답


 
 

 공정무역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로, 생산자는 더 높은 가격을 받고, 미성년자들은 노동을 하지 않는, 말 그대로 ‘공정한 무역’ 이다. 일례로 공정무역을 지지하는 스위스의 클라로 초콜릿을 포함한 세계의 공정무역 단체들은 농부들에게 카카오 열매 1파운드당 최소 80센트의 최저가격을 보장한다. 그 대가로, 농부들이 미성년자 노동력을 동원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공정무역 과정을 통해 생산된 무역품들에는 공정무역 라벨이 붙게된다. 국제 공정무역 기구(FLO)로부터 인증 받은 공정 무역 카카오는 가나, 카메룬,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및 벨리즈 등 8개의 국가에서 대략 42,000명의 농부가 협동조합을 만들어 생산되고 있다. 


 여러가지 이유로 공정무역을 반대하는 사람이 존재하지만,
공정무역의 미래는 밝다고 말할 수 있다. 초콜릿뿐만 아니라 커피, 설탕, 코코아, 차, 꿀, 바나나, 쌀, 와인, 향신료, 섬유제품 등 그 범위가 점점 넓어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관심도 높아져,
미국 상원의 톰 하킨 의원이 미성년 노동자를 고용하는 국가에서 만든 물건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하는 등 많은 국가에서,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공정무역을 통해 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가나 청소년과 아이들>


우리나라에서의 공정무역


  이러한 공정무역의 전세계적 움직임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공정무역연합, 아름다운 가게, 페어트레이드 코리아, 두레 생협, 울림, 얼굴있는 거래, 대학생 공정무역 단체 ‘따무’ 등 수없이 많은 공정무역 단체들이 생겨났다. 또한, 공정무역품들을 살 수 있는 곳들도 많아지고, 청소년들에게도 더 가까워지고 있다.

아름다운가게에서 행해지는 공정무역 초콜릿판매 ‘Change your Chocolate’ 프로젝트, 한국공정무역연합에서 행해지는 수제초콜릿 만들기 행사, 대학생들이 펼치는 공정무역 행사 등 청소년들이 공정무역에 대해 더 알고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행사들은 주변에도 많이 있고,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청소년들이 공정무역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도 좋지만, 한 발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친구에게 선물할 일이 있을 때 공정무역 초콜릿을 주고받으며 마음도 전달하고, 공정무역의 의미도 전달한다면 대한민국 청소년으로서, 카카오 산지의 청소년들도 도울 수 있는 뜻깊은 일이 되지 않을까. 이번 발렌타인데이 때 초콜릿을 선물했다면, 돌아오는 화이트데이에는 공정무역 초콜릿을 선물해보자.
 


※공정무역에 관한 사회적기준

- 미성년 노동력 착취 및 소수 집단 차별 금지

- 직원 임금은 적어도 법적으로 규정된 최저임금 또는 지역 평균 임금과 일치해야 하며, 차차 상승시켜야 한다.

- 집회의 자유와 노동조합 설립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 규칙적인 노동시간과 적정한 노동계약

- 공정무역 장려금 사용에 대해 직원 혹은 협동조합의 공동결정권



<공정무역 라벨(좌), 세계 공정 무역 기구 로고(우)>


우리나라 공정무역 단체들


아름다운 가게
http://www.beautifulstore.org/

한국공정무역연합http://www.fairtradekorea.net/

그루www.fairtradegru.com/

두레 생협 www.dure.coop/

페어트레이드 코리아 www.fairtradekorea.com/

얼굴있는 거래 www.efairtrade.co.kr/

따무http://club.cyworld.com/fairtradeschool


                                                     사진 출처 : 한국공정무역연합 (http://www.fairtradekorea.net/)






2012년, 세계 각 나라는 어떻게 새해를 맞이했을까?


매년 새해가 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신각 타종행사에서 제야의 종소리를 듣거나 해돋를 보며 새해다짐을 하곤 한다.

과거에는 지난 한해를 무사히 보냈다는 의미로 관리들은 왕에게 문안 인사를 드리고 궁궐에서 대포를 쏘기도 했고, 민간에서는 사당에 절을 하거나 폭죽놀이를 했다고 한다. 또한 해지킴이라고 섣달 그믐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고 하여 집안 곳곳에 불을 밝히며 밤샘을 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어떨까?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음력 설을 중요시하는 중국. 올해 새해맞이 행사는 베이징의 역사적인 천단 공원에서 열렸다. 천단 공원은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제단. 베이징 주민과 관광객 등 수천 명은 오색찬란한 빛을 발하는 천단 공원에 모여 한 해를 정리하고 새해 소망을 빌었다.



일본에서는 수백만 명이 2012년을 맞이하기 위해 일본 도쿄 인근의 신사를 찾았다. 일본인들은 새해의 시작과 함께 각자의 염원을 담은 풍선을 하늘로 날려보내며 희망찬 한해가 되길 기원했다.

대만에서는 최고층 건물인 타이베이 101빌딩에서 2012년 새해맞이 불꽃놀이 행사가 펼쳐졌다. 수많은 시민들은 101빌딩에서 분수처럼 뿜어져 나오는 화려한 불꽃을 바라보며 보다 나은 한 해를 기원했다.

홍콩 빅토리아항 주변에 모인 40여 만명의 홍콩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화려한 불꽃놀이를 바라보며 새해 소망을 빌었다. 홍콩 최고층 빌딩인 국제무역센터(IFC)를 비롯한 고층건물에서 일제히 화려한 조명과 함께 오색찬란한 불꽃이 쏟아지자, 시민과 관광객들은 ‘해피 뉴이어’를 외치며 환호했다.특히 420m 높이의 IFC빌딩에는 ‘2012’라고 쓰인 대형 조명이 선명하게 불을 밝혀 새해를 알렸다.


러시아에서는 모스크바 붉은광장의 밤하늘이 2012년 새해를 알리는 화려한 불꽃놀이로 수놓아졌다.시민과 관광객 수만 명은 크렘린궁 시계탑이 정각 12시를 가리키자, 환호성을 지르며 새해 소망을 빌었다. 


영국 런던 의사당 건물의 대형 시계 ‘빅벤’의 종소리와 함께 영국의 2012년이 시작됐다. 종소리가 울려퍼지는 순간 화려한 불꽃이 밤하늘을 수놓았으며, 런던의 명물인 런던 아이에서도 환상적인 불꽃쇼가 펼쳐졌다. 


프랑스 파리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쏟아지는 빗줄기 속에서도 2012년 새해를 반갑게 맞이했다.새해를 알리는 불꽃놀이가 펼쳐지자 에펠탑 앞에 모인 수만 명은 서로 얼싸안거나 입을 맞추며 희망찬 한 해를 기원했다.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는 100만 명에 육박하는 인파가 운집한 가운데 새해맞이 행사가 열렸다. 타임스 스퀘어에는 예년처럼 수많은 뉴욕 시민과 관광객이 모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신년 행사인 `크리스털 공 내리기'를 지켜봤다.


이처럼 올해 2012년 신년맞이 행사에서는 각 나라의 수도, 그리고 그곳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에서 불꽃놀이 행사가 주를 이루었다. 대세는 불꽃놀이 쇼란 말인가? 예외가 있다면 우리나라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소리를 드는 것처럼 영국에서도 의사당 건물의 대형 시계 ‘빅벤’의 종소리를 들었다는 것.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세계 여러나라의 신년맞이 행사는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새해를 희망과 축복으로 맞이하기 위한 다짐을 보여준다. 불꽃놀이처럼 화려하게 시작한 한 해가 끝까지 밝고 희망차게 마무리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세계 어느나라나 매한가지인 것이다.


 

+ Recent posts